KR200433800Y1 -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00Y1
KR200433800Y1 KR2020060027228U KR20060027228U KR200433800Y1 KR 200433800 Y1 KR200433800 Y1 KR 200433800Y1 KR 2020060027228 U KR2020060027228 U KR 2020060027228U KR 20060027228 U KR20060027228 U KR 20060027228U KR 200433800 Y1 KR200433800 Y1 KR 200433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ehicle
unique code
driving inform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트로닉
Priority to KR2020060027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 인증과 차량 주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 인증에 따라 차량 시동이 온(on)되도록 사용자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이모빌라이저키와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키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모빌라이저키 또는 스마트키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절차 신호 또는 주행정보 전송요구를 위한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증절차 신호인 경우 상기 시동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등을 구비하는 제어모듈부가 구비된다. 아울러, 스마트키에 저장된 차량 주행정보의 이력을 운전자별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이모빌라이저키에 운전자별 고유코드를 선택적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운전자 고유코드와 차량 주행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운전자별 차량 정보와 차량별 운전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모빌라이저키, 스마트키, 운전자 고유코드, 차량 주행정보.

Description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STARTING AND TRAVELING INFORMATION MANAGEMEN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주행정보의 저장 포맷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모빌라이저키 20 : 스마트키
30 : 제어모듈부 32 : 키종류 판단부
34 : 사용자 인증부 40 : 엔진제어유닛
70 : 시스템
본 고안은 차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별 인 증에 따른 차량 시동과 차량의 주행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동을 온(ON) 시키기 위해서는 차량 시동키를 차량의 키 실린더(Key cylinder)에 삽입하여 시동 위치로의 조작을 통해 실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 전기차단방식으로 임의적인 조작 또는 복사된 시동키로도 차량 시동을 할 수 있어 차량 도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시동키에 설정된 암호와 키 실린더에 연결된 전자유닛의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연료공급을 차단해서 시동 자체를 걸지 못하게 하는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기술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상기 이모빌라이저 기술을 이용한 차량 시동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먼저 엔진 시동시 키 실린더의 안테나 코일로부터 유도된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되는 키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 저장된 정보(즉, 차량의 비밀코드)가 키 실린더의 안테나를 통해 이모빌라이저 유니트로 전달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전달된 키의 정보가 차량에 입력되어져 있는 정보와 동일한지를 이모빌라이저 유니트가 판단한다. 즉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니트는 키 실린더에 내장된 안테나를 통해 자동차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로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고, 상기 트랜스폰더에서 전송된 비밀코드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키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전달받는 신호와 차량에 입력되어져 있는 신호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니트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엔진제어유닛(ECU : Engine Control Unit)은 시동을 온 시킨다. 만일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엔지의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시동이 원천적으로 걸리지 않게 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상기 코드가 일치하게 되면 대쉬보드에 있는 지시등이 초기 2초동안 점등되었다가 꺼진 이후에 시동이 걸리게 되며, 만약 상기 코드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 시동키가 키 실린더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상기 지시등은 계속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모빌라이저 기술이 차량에 접목되면, 차량 시동이 원천적으로 걸리지 않기 때문에 차량 도난방지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현재 이모빌라이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시동키는 하나의 암호코드만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을 여러 사람이 운전해야 할 경우 운전자별로 차량 이력관리가 불가능하였다. 예컨대, 현재의 시동키만으로는 단순하게 차량 시동과 도난방지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 다른 사람이 운전을 하더라도 전체적인 차량 주행 기록만이 저장됨으로써 그 기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모빌라이저 기술을 제공하는 차량 시동키에 다수의 운전자별 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한 대의 차량에 대해 여러 운전자가 운전을 하더라도 그 운전자별로 차량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에 따라 차량 시동이 온(on)되도록 사용자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시동키 및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처리키, 상기 시동키 또는 정보처리키가 제공되면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에 따라 엔진제어유닛을 제어하여 차량 시동을 온 시키거나 또는 차량 주행이후에 저장된 주행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부, 상기 시동키 및 정보처리키가 연결되면 상기 고유코드의 등록/삭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를 기초해서 주행정보의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동키 및 정보처리키는, 사용자 고유코드 및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 및 주행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트랜스폰더, 상기 메모리와 트랜스폰더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클럭주파수를 제공하는 클럭주파수제공부, 상기 시스템과 소정 전송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전송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모듈부는, 상기 시동키 또는 정보처리키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동키인 경우 상기 시동키의 고유코드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 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정보처리키인 경우 차량주행정보의 전송 요구에 대응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동키에 의한 사용자 인증 또는 상기 정보처리키에 의한 차량 주행정보의 전송을 표시하는 발광소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시동키는 이모빌라이저키이고, 상기 정보처리키는 스마트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시동키에 복수의 운전자가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별로 차량 주행에 의한 이력 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시동을 위한 차량 시동키로서의 제 1키이(이하, '이모빌라이저키'라 함)(10)와, 차량주행정보를 저장하는 제 2키이(이하. '스마트키'라 함)(20)가 제공된다.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고유코드가 저장되는 제 1메모리(12),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의 송수신을 위한 트랜스폰더(14), 그리고 상기 제 1메모리(12)와 트랜스폰더(14)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클럭주파수를 제공하는 클럭주파수제공부(1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메모리(12)는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를 리드(read)/라이트(write) 가능한 메모리이어야 한다. 상기 스마트키(20)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제 3메모리(22),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전송받고 후술하는 시스템(70)에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폰더(24), 그리고 상기 제 3메모리(22)와 트랜스폰더(24)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클럭주파수를 제공하는 클럭주파수제공부(26)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 및 스마트키(20)에는 키 실린더와의 무선방식에 의해 데이터(즉, 사용자 고유코드, 주행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이외에 시스템(70)과 유선방식으로 연결가능한 전송 포트(18)(28), 예컨대 RS232C 방식을 제공하는 포트가 구비된다. 상기 RS232C포트는 일 실시예로서 다른 포트, 즉 USB포트 등과 같이 다양한 전송 포트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 또는 스마트키(20)가 접촉되었을 때 키 종류를 판단하고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모듈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모듈부(30)는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 또는 스마트키(20)가 접촉되었을 때 키 종류를 판단하는 키종류판단부(32)와, 상기 이모빌라이저키(32)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접촉하면 제어부(38)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의 제 1메모리(12)에 저장된 사용자 고유코드를 리드(read)하고 사용자 인증과정을 행하는 사용자 인증부(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RF송수신부(35)가 구비된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하나의 사용자 고유코드와 후술하는 차량운행기록부(60)로부터 전달받는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제 2메모리(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 또는 스마트키(20)와의 동작에 따라 상이한 색상을 점멸시키도록 복수개의 발광소자, 즉, 발광다이오드(37)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 즉 키종류판단부(32), 사용자 인증부(34), RF송수신부(35), 제 2메모리(36), 발광다이오드(37) 등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8)가 구비된다.
상기한 제어모듈부(30)는 차량 내부에 제공되며, 차량의 엔진, 자동변속기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ECU)(40)에 연결된다. 상기 엔 진제어유닛(40)은 상기 제어모듈부(30)에 구비된 사용자 인증부(34)의 인증결과에 따라 차량 엔진시동을 수행하는 시동유닛부(즉 시동 릴레이)(50)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차량 주행시 차량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운행기록부(60)가 연결된다.
다음,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가 전송포트(18)를 이용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고유코드를 부여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고유코드를 삭제하는 기능과, 상기 스마트키(20)로부터 전송포트(28)를 통해 전달받고 상기 스마트키(20)의 제 3메모리(22)를 초기화하는 관리프로그램(72)이 설치되는 시스템(7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프로그램(72)은 운전자별 운행정보의 이력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프로그램(72)에는 운전자, 고유코드, 차량 주행거리, 분당 주행거리, 주행시간, 출발지/목적지, 및 개인별 신상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70)은 사용자 고유코드를 부여할 수도 있지만, 차량 소유주 또는 그와 관련된 사용자의 확인을 이루어진 다음에 사용자 고유코드가 부여되도록 암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시스템(70)은 별도의 차량의 A/S사업부에서 관리하는 고유코드 생성프로그램(미도시)에 의해서만 생성된 고유코드를 통보받아야만 고유코드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00단계에서 차량을 주행하고자 하는 운전자는 시스템(70)에 이모빌라이저키(10)를 전송포트(18)를 이용하고 접속하고, 관리프로그램(72)에 의해 자 신의 고유코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의 제 1메모리(12)에 고유코드가 등록된다. 이때 고유코드는 후술하여 상세 설명하겠지만 제어모듈부(30)의 제 2메모리(36)에 등록된 코드이어야 시동을 걸 수 있다. 즉 차량의 제어모듈부(30)에 고유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운전자인 경우에는 자신의 고유코드를 상기 제어모듈부(30)의 제 2메모리(36)에 등록해야 하는 선행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고유코드 등록은 임의대로 할 수 없고, 차량 사업부 A/S에서 차량 소유주와 관련이 있음을 인증하는 절차 이후에만 신규로 등록가능하다.
다음, 제 102단계에서 제어모듈부(30)는 차량 시동을 온 하기 위해서 이모빌라이저키(10)가 일정 간격 접촉되는가를 감지한다. 이때 스마트키(20)가 접촉될 수 있음은 물론이기 때문에 상기 감지된 키가 어떤 종류의 키인지를 키종류판단부(32)가 판단하게 된다. 제 104단계에서 상기 키종류판단부(32)의 판단결과 이모빌라이저키(10)인 경우, 제어모듈부(30)의 제어부(38)는 차량 시동을 위한 조작으로 인식하게 되고, 제 106단계로 진행되어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의 제 1메모리(12)에 저장된 사용자 고유코드를 리드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의 리드동작은 상기 제어모듈부(30)의 RF송수신부(35) 및 상기 이모빌라이저키(10)의 트랜서폰더(14)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를 리드한 다음에 제 108단계에서 제 2메모리(3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코드 그룹 중에서 상기 리드한 고유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엔진제어유닛(40)에게로 차량 시동개시를 위한 신호를 전 송한다. 그러면 상기 엔진제어유닛(40)은 시동유닛(50) 즉 스타트릴레이를 작동시켜 차량 시동을 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고유코드가 일치하였음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녹색)(37)를 소정 횟수 온/오프시킨다(제 110단계)(제 112단계). 그러나 상기 고유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8)는 시동 불가능상태임을 알리는 비프음(Beef Sound)을 소정 시간동안 출력시킨다(제 109 단계).
이후, 상기 차량 시동이 걸리고 난 후 차량 주행이 시작되면 그때의 차량 주행정보는 상기한 운전자의 고유코드를 기초해서 차량운행기록부(60)에 저장된다(제 114단계). 상기 차량운행기록부(60)에 저장된 차량 주행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엔진제어유닛(40)을 통해 상기 제어부(38)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38)는 이를 제 2메모리(36)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 104단계에서 상기 키종류판단부(32)의 판단결과 스마트키(20)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8)는 차량 시동동작이 아니고 차량 주행정보를 전송받고자 하는 것으로 인지한다(제 120단계). 통상적으로 상기 스마트키(20)의 접촉은 차량 주행이 완료된 다음에 운전자가 자신의 주행정보를 시스템에 저장하기 위한 동작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주행정보는 차량 주행에 따라 그 주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차량운행기록부(60)로부터 상기 제어부(38)가 제 2메모리(36)에 상기 주행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스마트키(20)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38)는 데이터 전송중임을 발광다이오드(37)를 이용하여 표시하면서, 상기 제 2메모리(36)에 저장되어 있는 주행정보를 RF송수신부(35)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20)의 제 3메모리(22)로 전송한다(제 122단계)(제 124단계).
상기 스마트키(20)가 제어부(38)로부터 차량주행정보를 전송받은 다음, 상기 스마트키(20)를 시스템(70)에 연결한다(제 126단계). 그리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관리프로그램(72)이 활성화되고 데이터 다운로드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시스템(70)은 상기 스마트키(20)의 제 3메모리(22)에 저장된 주행정보 기록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주행정보 기록은 고유코드와 대응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다운로드 선택시 시스템(7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운전자 코드를 검색한 후 그 운전자 고유코드별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키(20)가 접속되고 관리프로그램(72)이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되도록 하면서 상기 주행정보를 다운로드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키(20)로부터 전송받은 운전자별 주행정보기록 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제어모듈부(30)의 제 2메모리(36)에 등록된 운전자별 고유코드에 대응되어 운전자 자신의 신상정보 및 차량 주행정보 등이 저장된다(제 128단계). 즉, 운전자별 이름과 고유코드가 기록되어 있고, 그 리스트 중에서 일정부분을 클릭조작하면 클릭된 운전자별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된다. 도3을 참조하면 주행정보 아이콘과 운전자 신상정보 아이콘이 생성되며, 그 주행정보 아이콘을 클릭하면 날짜/출발지/목적지/주행거리/분당주행거리/운행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운전자별 주행정보기록에 대한 실시 예는 다수의 운전자별 신상정보 및 주행기록 정보가 포함된 상태에서 다른 포맷의 예로서 얼 마든지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예에 설명되고 있는 본 고안은 차량 시동을 위한 키와 차량 주행정보를 위한 키를 이원화하고 각각의 키 제공에 따라 상이한 동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운전자별 주행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한 대의 차량에 다수의 운전자 정보가 등록된 상태에서 운전자 고유코드가 저장된 시동키를 통해 차량주행시 그 운전자별로 차량 주행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수의 차량에 운전자 정보가 등록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그 차량들을 이용할 때 차량별로 운전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이모빌라이저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시동키에 다수의 운전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그 운전자별 차량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 인증에 따라 차량 시동이 온(on)되도록 사용자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시동키 및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처리키,
    상기 시동키 또는 정보처리키가 제공되면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에 따라 엔진제어유닛을 제어하여 차량 시동을 온 시키거나 또는 차량 주행이후에 저장된 주행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부,
    상기 시동키 및 정보처리키가 연결되면 상기 고유코드의 등록/삭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를 기초해서 주행정보의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 및 정보처리키는,
    사용자 고유코드 및 주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 고유코드 및 주행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트랜스폰더,
    상기 메모리와 트랜스폰더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클럭주파수를 제공하는 클럭주파수제공부,
    상기 시스템과 소정 전송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전송포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부는,
    상기 시동키 또는 정보처리키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동키인 경우 상기 시동키의 고유코드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 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정보처리키인 경우 차량주행정보의 전송 요구에 대응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에 의한 사용자 인증 또는 상기 정보처리키에 의한 차량 주행정보의 전송을 표시하는 발광소자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는 이모빌라이저키이고, 상기 정보처리키는 스마트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KR2020060027228U 2006-09-30 2006-09-30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KR200433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28U KR200433800Y1 (ko) 2006-09-30 2006-09-30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28U KR200433800Y1 (ko) 2006-09-30 2006-09-30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743A Division KR100801874B1 (ko) 2006-09-30 2006-09-30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00Y1 true KR200433800Y1 (ko) 2006-12-13

Family

ID=4178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28U KR200433800Y1 (ko) 2006-09-30 2006-09-30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298B1 (ja) 2022-08-31 2024-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298B1 (ja) 2022-08-31 2024-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09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vehicle based on driver status
EP2575091B1 (en) Unattended fleet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1131772B (zh) 无线钥匙和门遥控系统
US6501369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unlimited key programming
JP459569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070188310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US11361596B2 (en) Method for shared vehicle storage management
KR101745443B1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CN104106235A (zh) 便携设备登录系统及便携设备登录方法
KR100801874B1 (ko)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7671724B2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KR200433800Y1 (ko) 차량 시동과 주행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KR101405681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172282B2 (ja)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システム
JP2005254867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11605031B2 (en) System for shared vehicle utilization management
US11427140B2 (en) Shared vehicle I/O expander
US20210326770A1 (en) System for shared vehicle maintenance and recovery
US20210327013A1 (en) Shared vehicle i/o expander method
JP2003044798A (ja) 電子機器、電子機器作動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情報記録媒体、および認証方法
EP1587036B1 (en) Device for recording drive and journey data of motor vehicles
JP3722922B2 (ja) 自動車用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
CN111033578A (zh) 用于控制车辆点火的装置、系统和方法
JP2006224694A (ja) 車載通信端末装置
JP7332434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