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398Y1 -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398Y1
KR200433398Y1 KR2020060026746U KR20060026746U KR200433398Y1 KR 200433398 Y1 KR200433398 Y1 KR 200433398Y1 KR 2020060026746 U KR2020060026746 U KR 2020060026746U KR 20060026746 U KR20060026746 U KR 20060026746U KR 200433398 Y1 KR200433398 Y1 KR 200433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ss
rubber
block
ed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욱
Original Assignee
노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욱 filed Critical 노재욱
Priority to KR202006002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잔디블럭을 통기성 및 통수성을 갖는 자연녹화 형태로 시공함으로 토양 오염 및 여름철 지열상승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무블럭의 변형 및 탄성력 저하를 방지하여 관리가 용이하며 어린이들의 부상위험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공구조는, 지표면(1)상에 다각형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고무블럭(10)이 배치되어지되, 상기 각 고무블럭(10)은 합성고무가 미립자 형태로 이루어진 EDPM층(11)과 폐타이어 분쇄물로 이루어진 폐고무층(12)이 각각 상부층과 하부층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 고무블럭(10)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는 잔디(23)가 식재되어진 잔디층(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잔디, 블럭, 탄성, EDPM, 놀이터, 광장, 공원

Description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A LAWN GRASS BLOCK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 고무블럭의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디블럭의 시공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토사 지지판 상세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표층 10 : 고무블럭
11 : EDPM층 12 : 폐고무층
13 : 홈부 20 : 잔디층
21 : 자갈층 22 : 토사층
23 : 잔디 24 : 토사 지지판
24a: 통공
본 고안은 탄성 고무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면서 통기성을 확보함과 함께 고탄성으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잔디 고무블럭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 등의 놀이터나 공원, 산책로 등에는 재생고무블럭이 시공되는데, 이러한 고무블럭은 폐타이너나 폐고무를 파쇄 및 분쇄시켜 얻어진 고무칩에 접착제와 안료를 혼합한 후, 상기 고무칩과 접착제와 안료의 혼합물을 금형에 넣고 성형하여 만들어 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형된 고무블럭은 기초지반층 위에 모래를 일정 두께로 깔고 컴팩터로 균일하게 다진 후,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각 블럭을 밀착시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고무블럭은 시공시 블럭간 이격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에 지표면을 완전히 폐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지면의 통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우천시 우수가 지표면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블럭위에 그대로 고이거나, 오염된 물이 정화되지 못하고 우수관으로 흘러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생 고무블럭의 특성상 여름철 복사열에 의해 쉽게 변형이 발생하여 미관을 저하시키고, 시공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어 어린이 들이 넘어졌을 경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공되는 고무블럭간 공간 확보를 통해 친환경적인 표면 통기성을 부여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무블럭의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이용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지표면상에 다수의 고무블럭이 배치되어지되, 상기 각 고무블럭은 합성고무가 미립자 형태로 이루어진 EDPM층과 폐타이어 분쇄물로 이루어진 폐고무층이 각각 상부층과 하부층을 이루며; 상기 고무블럭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는 잔디가 식재되어진 잔디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고무블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디블럭의 시공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토사 지지판 상세 구조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럭의 시공구조를 살펴보면, 다수의 고무블럭(10)을 육각 모형의 형틀에서 성형 생산함에 있어 도 1에서와 같이 각 고무블럭(10)은 다양한 색상의 EDP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합성고무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색상의 칼라 EDPM층(11)이 상층부를 이루고 있으며, 폐기되어지는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얻은 칩을 이용한 폐고무층(12)이 하층부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상부 EDPM층(11)을 이루는 합성고무칩은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성 분의 3원 중합체로서,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고온 또는 저온에서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반발탄성이 크고 압축영구 줄음률이 적은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합성고무칩을 입경 2~4mm 크기로 입자화 한 후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제인 폴리우레탄바인더와 약 75중량% : 25중량%의 비율로 혼합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하부의 폐고무층(12)을 이루는 칩 역시 폐타이어를 분리 수거하여 입경 약 3~7mm 크기로 분쇄하여 얻은것을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약 75중량%:25중량%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이다.
그리고, 고무블럭(10)의 저면은 도 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13)를 형성시킴으로서 모래층 지반위에 설치시 유동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2층구성을 이루는 육각형 고무블럭(10)을 놀이터 또는 광장 등의 포장시공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각 고무블럭(10)간 밀착시켜 평면 배열형태로 배치하되, 도 2에서와 같이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고무블럭을 배치하지 않아서 공간부를 형성한 후 해당 위치에 잔디(23)가 식재되어진 잔디층(20)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잔디층(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자갈층(21)을 형성한 후 상부에는 일반토사와 유기질비료(부엽토 등)를 약 4~5:1의 비율로 혼합한 토사층(22)을 잔디(23)와 함께 구성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토사층(22)의 모래가 자갈층(21)의 공극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갈층(21)과 토사층(22) 사이에는 도 4에서와 같은 육각형태의 토사지지판(24)을 설치함이 바람직 하게 된다. 토사지지판(24)에는 다수의 통공(24a)을 형성하여 통기성 및 통수성을 확보토록 하였다.
한편, 자갈층(21)위에 토사지지판(24)을 얹어놓을 경우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므로, 잔디층(20)과 맞닿는 각 고무블럭(10)의 측벽면 일정 높이에 안착턱(미도시)을 돌출 형성시킴이 바람직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잔디블럭의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잔디블럭은 놀이터, 공원, 광장 등에 시공하게 되는데, 기초 지반층위에 약 5cm 두께로 모래 또는 마사토를 깔고 평면진동기(컴팩터)로 균일하게 다진 후 실줄에 따라 한줄씩 고무블럭(10)을 잔디층(20)과 함께 설치함이 바람직 하다.
즉, 이때에는 육각형상의 고무블럭(10)을 하니컴형태로 배열하게 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고무블럭(10) 사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고무블럭이 빠진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공간 부위에 잔디(23)가 식재된 잔디층(20)을 형성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잔디층(2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에 고른 크기의 작은 자갈을 일정 높이(안착턱 높이)로 메워서 공극을 이루는 자갈층(21)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토사지지판(24)을 안착턱에 안착 설치하고, 그 위에 다시 토사와 잔디(23)를 고무블럭(10)과 동일한 높이로 식재하여 토사층(22)을 형성한 후 잔 디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물을 뿌려서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고무블럭(10) 저면이 홈부(1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모래 등의 지반층 위에 설치시 홈부(13)에 의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본 고안의 잔디블럭은 폐고무를 사용함으로 자원재활용에도 일조하며, 특히 높은 탄성력이 유지되는 EDPM 합성고무에 의해 블럭의 변형발생은 물론 어린이들의 낙상사고로 인한 골절, 타박상 등의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잔디층(20)으로 인해 전체 설치면적의 30% 이상을 자연녹화시킬 수 있게 되어, 충분한 녹지공간을 확보함과 함께 자연보호 및 주 이용층인 어린이가 자연속 놀이터에서 즐겁게 뛰어놀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잔디층(20)은 자갈층(21) 및 토사지지판(24)의 통공(24a)구조로 인해 통수성 및 통기성을 갖게 됨으로, 여름철 지열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잔디블럭 시공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무블럭이 육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의 고무블럭 사이에 형성된 잔디층으로 인해 통기성 및 통수성이 확보되어 친환경적 자연녹화에 따른 토양오염 및 여름철 지열상승으로 인한 놀이터의 이용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폐고무칩을 주재료로 이용하고 있는 고무블럭의 상층부를 별도의 EDPM층으로 형성시킴으로 외부충격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잔디블럭의 관리가 용이하게 됨과 함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어린이들의 부상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고무블럭의 저면을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서 초기 설치시 위치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6)

  1. 지표면(1)상에 다각형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고무블럭(10)이 배치되어지되, 상기 각 고무블럭(10)은 폐타이어 분쇄물로 이루어진 폐고무층(12) 상부에 합성고무인 EDPM이 미립자 형태로 이루어진 EDPM층(11)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 고무블럭(10)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는 잔디(23)가 식재되어진 잔디층(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무블럭(10)에 둘러싸여지는 잔디층(20)은 잔디(23)가 식재되어진 상부에 일반토사와 유기질비료가 혼합된 토사층(2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정 공극을 형성하도록 자갈층(21)을 형성하며, 상기 토사층(22)과 자갈층(21)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24a)이 형성된 토사 지지판(2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사 지지판(24)의 위치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주변 고무블럭(10)의 측벽 중단에는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10)의 상층부를 이루고 있는 EDPM층(11)은 합성고무칩 각 입자의 입경이 2~4mm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10)의 EDPM층(11)과 폐고무층(12)을 형성하는 각 입자들은 폴리우레탄 바인더에 의해 상호간 접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10)의 저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KR2020060026746U 2006-09-29 2006-09-29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KR200433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46U KR200433398Y1 (ko) 2006-09-29 2006-09-29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46U KR200433398Y1 (ko) 2006-09-29 2006-09-29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398Y1 true KR200433398Y1 (ko) 2006-12-11

Family

ID=4178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46U KR200433398Y1 (ko) 2006-09-29 2006-09-29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3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76Y1 (ko) * 2008-03-03 2010-10-14 박용철 보도블록
CN105568807A (zh) * 2015-12-26 2016-05-11 江阴市人人达科技有限公司 海绵植草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76Y1 (ko) * 2008-03-03 2010-10-14 박용철 보도블록
CN105568807A (zh) * 2015-12-26 2016-05-11 江阴市人人达科技有限公司 海绵植草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5813B2 (ja) 人工芝床材及び敷設方法
KR100778045B1 (ko) 배수 및 통풍기능이 구비된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블록다층 포장시공방법
KR100829241B1 (ko)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KR200433398Y1 (ko) 친환경 잔디블럭 시공구조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JP6849453B2 (ja) 人工芝生
KR100884964B1 (ko) 잔디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49125B1 (ko) 놀이터의 안전 바닥재 시공방법
CN202227219U (zh) 方型橡胶地砖
KR100821320B1 (ko) 투수탄성 포장공법 및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KR200444170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0572973B1 (ko)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 방법
CN113123191A (zh) 一种稳固性高易排水软基础人造草坪场地
JP2572874B2 (ja) 弾性舗装ブロックの製造法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200444169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0330766Y1 (ko) 폐타이어 고무칩를 이용한 조경용 잔디블록
KR100655500B1 (ko) 탄성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CN213927721U (zh) 一种适用于老城更新的生态停车位结构
JP2572873B2 (ja) 弾性舗装ブロックの製造法
KR200234646Y1 (ko)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KR100514660B1 (ko) 폐타이어 고무칩과 세골재를 이용한 고무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3590302A (zh) 一种预制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
CN107354836A (zh) 一种带有减速坡的沥青道路
CN206721607U (zh) 发泡型人造草坪地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