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331Y1 - 발광블럭 - Google Patents

발광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331Y1
KR200433331Y1 KR2020060025897U KR20060025897U KR200433331Y1 KR 200433331 Y1 KR200433331 Y1 KR 200433331Y1 KR 2020060025897 U KR2020060025897 U KR 2020060025897U KR 20060025897 U KR20060025897 U KR 20060025897U KR 200433331 Y1 KR200433331 Y1 KR 200433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lock
block body
emitting lamp
wir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60025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3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를 들어 LED와 같은 발광램프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종 표지 또는 광고 목적으로 활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용 블럭으로도 활용가능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블럭은,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과,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블럭에 있어서, 내부에는 배선통로가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 상에서 상기 배선통로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과, 상기 발광램프를 둘러싸도록 상기 블럭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며 상기 블럭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점자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블럭, 블럭본체, 배선통로, 발광램프, 도선, 보호판, 점자돌기

Description

발광블럭{LIGHT EMITTING BLOCK}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201 : 발광블럭
10, 110, 210 : 블럭본체
11, 111, 211 : 안착홈
13, 113, 213 : 배선통로
20, 120, 220 : 발광램프
30, 130, 230 : 도선
40 : 보호판
140 : 점자돌기
240 : 보호충전체
50, 150, 250 : 컨트롤러
본 고안은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LED와 같은 발광램프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종 표지 또는 광고 목적으로 활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용 블럭으로도 활용가능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의 마감 또는 벽체의 형성을 위한 블럭의 경우에는 시멘트, 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화강석 또는 폐고무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블럭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럭들은 단지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벽체를 적층형성하는 본연의 블럭 본연의 기능만을 제공할 뿐, 다른 부가기능은 전혀 제공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종 표지 또는 광고 목적으로 활용가능한 발광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부가기능 외에도 사각장애인용 블럭으로도 활용가능한 발광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과,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광램프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판은 강화우레탄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과,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며 상기 블럭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점자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광램프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자돌기는 우레탄수지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과,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블럭 본체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보호충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은,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보도블럭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적층블럭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안착홈(1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13)가 안착홈(11)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10)의 배선통로(13)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0)와, 블럭본체(10)의 안착홈(11)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20)와, 발광램프(20)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배선통로(13)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30)과, 블럭본체(10)의 안착 홈(11)에 결합되어 발광램프(20)를 보호하는 보호판(40)과, 도선(30)에 연결되며 발광램프(20)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럭본체(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화강석 또는 폐고무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블럭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도면 상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육각형, 팔각형과 같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성형시에는 소정의 금형에 의해 상측에 안착홈(1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13)가 안착홈(11)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10)의 배선통로(13)와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안착홈(11)은 발광램프(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개 뿐만 아니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선통로(13)는 발광램프(20)로 전원을 제공하는 도선(30)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선통로(13)은 안착홈(11)에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통로부(13a)와, 이 수직통로부(13a)에 교차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며 인접하는 블럭본체(10)의 배선통로(13)와 연통되는 수평통로부(13b)로 형성된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안착홈(11)에는 발광램프(20)가 고정설치되는데, 이 발광램프(20)는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발광블럭(1)가 조합되어 각종 표지내용 또는 광고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 램프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빛의 산란이 적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파워엘이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발광램프(20)에는 도선(30)이 접속되는데, 이 도선(30)은 발광램프(2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블럭본체(10)의 배선통로(13) 및 인접하는 블럭본체(10)의 배선통로(13)를 통해 배선된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안착홈(11)의 상단에는 보호판(40)이 결합되는데, 이 보호판(40)은 발광램프(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불순물로부터 발광램프(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의 우려가 없는 강화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판(40)은 또한 발광램프(20)의 불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도선(30)에는 컨트롤러(50)가 연결되는데, 이 컨트롤러(5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도블럭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광램프(20)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 단위의 발광블럭들(1)마다 통합적으로 1개씩 설치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50)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오후 6시부터 오후 12시와 같이 소정시간동안만 발광램프(20)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거나, 또는 광량센서를 포함하여 야간에 소정광량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만 발광램프(20)로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도 있고, 제어모드에 따라서는 적정 시간주기로 발광램프(20)로 전원을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램프(20)의 점멸이 반복되도록 할 수도 있고, 소정 단위의 발광블럭들(1) 중 일부 발광블럭들(1)의 발광램프(20)만이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보도블럭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적층블럭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컨트롤러(50)를 통해 발광램프(20)를 점등시킴으로써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위 발광블럭들(1)의 발광램프(20)의 점멸을 통해 각종 표지내용 또는 광고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는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보도블럭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113)가 안착홈(111)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110)의 배선통로(113)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10)와, 블럭본체(110)의 안착홈(113)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120)와, 발광램프(120)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배선통로(113)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130)과, 블럭본체(110)의 안착홈에 충전되어 발광램프(120)를 보호하며 블럭본체(110)로부터 돌출되는 점자돌기(140)와, 도선(130)에 연결되며 발광램프(120)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럭본체(1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화강석 또는 폐고무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블럭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도면 상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육각형, 팔각형과 같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10)의 성형시에는 소정의 금형에 의해 상측에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113)가 안착홈(111)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110)의 배선통로(113)와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안착홈(111)은 발광램프(1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개 뿐만 아니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선통로(113)는 발광램프(120)로 전원을 제공하는 도선(130)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선통로(113)은 차후에 설명될 발광램프(120)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통로부(113a)와, 이 수직통로부(113a)에 교차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며 인접하는 블럭본체(110)의 배선통로(113)와 연통되는 수평통로부(113b)로 형성된다.
전술한 블럭본체(110)의 안착홈(111)에는 발광램프(120)가 고정설치되는데, 이 발광램프(120)는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발광블럭(101)가 조합되어 각종 표지내용 또는 광고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 램프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빛의 산란이 적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파워엘이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발광램프(120)에는 도선(130)이 접속되는데, 이 도선(130)은 발광램프(12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블럭본체(110)의 배선통로(113) 및 인접하는 블럭본체(110)의 배선통로(113)를 통해 배선된다.
전술한 발광램프(120)는 안착홈(111)에 충전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점자돌기 (14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데, 이 점자돌기(140)는 그 내부에 발광램프(120)가 수용됨에 따라 발광램프(1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블럭본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광램프(120)의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우레탄수지를 안착홈(111) 내의 발광램프(120) 상으로 부어 상부로 돌출되도록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자돌기(140)는 탄성이 우수한 우레탄수지로 형성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보행 중 점자돌기(140)를 밟더라도 자체 쿠션에 의해 시각장애인에게 가해질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선(130)에는 컨트롤러(150)가 연결되는데, 이 컨트롤러(15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도블럭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광램프(120)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 단위의 발광블럭들(101)마다 통합적으로 1개씩 설치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150)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오후 6시부터 오후 12시와 같이 소정시간동안만 발광램프(120)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거나, 또는 광량센서를 포함하여 야간에 소정광량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만 발광램프(120)로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도 있고, 제어모드에 따라서는 적정 시간주기로 발광램프(120)로 전원을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램프(120)의 점멸이 반복되도록 할 수도 있고, 소정 단위의 발광블럭들(101) 중 일부 발광블럭들(101)의 발광램프(120)만이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보도블럭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컨트롤러(150)를 통해 발광램프(120)를 점등시킴으로써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위 발광블럭들(101)의 발광램프(120)의 점멸을 통해 각종 표지내용 또는 광고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블럭본체(10) 상에 점자돌기(140)가 일체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주야간을 가리지 않고 시각장애인의 통행을 안내해 줄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201)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20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201)은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보도블럭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적층블럭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안착홈(211)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213)가 안착홈(211)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210)의 배선통로(213)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210)와, 블럭본체(210)의 안착홈(211)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220)와, 발광램프(220)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배선통로(213)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230)과, 블럭본체(210)의 안착홈(211)에 충전되어 블럭본체(210)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며 발광램프(220)를 보호하는 보호충전체(240)과, 도선(230)에 연결되며 발광램프 (220)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201)은 블럭본체(210)의 안착홈(211)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보호충전체(240)가 블럭본체(2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점과 벽체의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점에서 전술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블럭(101)과 차이가 있을 뿐, 구성 및 작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블럭에 따르면, 예를 들어 블럭본체 내에 LED와 같은 발광램프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 단위별로 조합되어 각종 표지내용 또는 광고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블럭본체 상에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점자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종 표지 또는 광고 목적으로 활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용 블럭으로도 활용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 및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강화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5.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 및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며 상기 블럭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점자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돌기는 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9. 보도 상에 다수개가 인접설치되어 보도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적층형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블럭에 있어서,
    상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배선통로가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게 그리고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배선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 내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램프;
    상기 발광램프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선통로를 통해 배선되는 도선; 및
    상기 블럭본체의 안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블럭본체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램프를 보호하는 보호충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KR2020060025897U 2006-09-26 2006-09-26 발광블럭 KR200433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97U KR200433331Y1 (ko) 2006-09-26 2006-09-26 발광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97U KR200433331Y1 (ko) 2006-09-26 2006-09-26 발광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331Y1 true KR200433331Y1 (ko) 2006-12-11

Family

ID=417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897U KR200433331Y1 (ko) 2006-09-26 2006-09-26 발광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331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36B1 (ko) * 2010-06-28 2011-05-06 주식회사 상산쎄라믹 야간 발광기능을 갖는 점토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49168A1 (ko) * 2010-05-26 2011-12-01 인영피오에프스톤(유) 광섬유가 설치된 장식용 블록
KR101251925B1 (ko) * 2011-04-01 2013-04-08 정천수 장식바닥블록
KR101633668B1 (ko) * 2015-12-09 2016-06-27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KR101681103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681112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KR20170001156U (ko) * 2015-09-22 2017-03-30 수에유 루 발광블럭
KR101822048B1 (ko) * 2016-04-11 2018-03-09 한국공항공사 항공 등화용 램프가 설치된 활주로 구조물 보수용 프리캐스트 대체모듈 및 프리캐스트 대체모듈의 시공방법
KR101934537B1 (ko) * 2017-11-20 2019-01-02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발전 구조물
KR101945891B1 (ko) * 2018-08-27 2019-02-08 주식회사 주영라이팅 발광 안전보도블록
KR101934538B1 (ko) * 2017-11-20 2019-03-2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을 이용한 도로 발전 구조물
KR20190057583A (ko) * 2017-11-20 2019-05-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
KR20190057582A (ko) * 2017-11-20 2019-05-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168A1 (ko) * 2010-05-26 2011-12-01 인영피오에프스톤(유) 광섬유가 설치된 장식용 블록
KR101033236B1 (ko) * 2010-06-28 2011-05-06 주식회사 상산쎄라믹 야간 발광기능을 갖는 점토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1925B1 (ko) * 2011-04-01 2013-04-08 정천수 장식바닥블록
KR20170001156U (ko) * 2015-09-22 2017-03-30 수에유 루 발광블럭
KR200483847Y1 (ko) 2015-09-22 2017-07-11 수에유 루 발광블럭
KR101633668B1 (ko) * 2015-12-09 2016-06-27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KR101681103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681112B1 (ko) *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KR101822048B1 (ko) * 2016-04-11 2018-03-09 한국공항공사 항공 등화용 램프가 설치된 활주로 구조물 보수용 프리캐스트 대체모듈 및 프리캐스트 대체모듈의 시공방법
KR101934537B1 (ko) * 2017-11-20 2019-01-02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발전 구조물
KR101934538B1 (ko) * 2017-11-20 2019-03-2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을 이용한 도로 발전 구조물
KR20190057583A (ko) * 2017-11-20 2019-05-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
KR20190057582A (ko) * 2017-11-20 2019-05-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KR102070179B1 (ko) * 2017-11-20 2020-01-28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
KR102078701B1 (ko) * 2017-11-20 2020-02-18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KR101945891B1 (ko) * 2018-08-27 2019-02-08 주식회사 주영라이팅 발광 안전보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331Y1 (ko) 발광블럭
US6082886A (en) Illumination system
US7131761B2 (en) Self-illuminating fabricated solid material objects
KR102304484B1 (ko)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0879447B1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유도 표지판
US20140286039A1 (en) Illuminated Warning Panel
KR101033187B1 (ko) 조명 유도용 볼라드
KR20230076530A (ko) 바닥 신호등
JP3632125B2 (ja)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CA2397577A1 (en) Light emitting tile
KR20080083391A (ko) 엘이디 매입몰딩형 바닥조명장치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100862323B1 (ko) 사이버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200051B1 (ko)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US9297505B2 (en) Architectural member and decorative article with display lighting
JPH04203109A (ja) 自発光式敷石ユニット・敷石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102304485B1 (ko) 컨트롤러 내장형 ups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JP4494723B2 (ja) 自発光式点字ブロック
KR10107146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보차도경계석
KR100961522B1 (ko) 차량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도로 매립형 조명 장치
KR101104293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50140908A (ko) 진동이 울리는 발광 보도블록
JP5052687B2 (ja) 灯具
JP4680428B2 (ja) 点字ブロック
EP1515086A2 (en) Self-illuminating fabricated solid material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