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01B1 -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 Google Patents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01B1
KR102078701B1 KR1020170154699A KR20170154699A KR102078701B1 KR 102078701 B1 KR102078701 B1 KR 102078701B1 KR 1020170154699 A KR1020170154699 A KR 1020170154699A KR 20170154699 A KR20170154699 A KR 20170154699A KR 102078701 B1 KR102078701 B1 KR 10207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sertion groove
main body
photovolta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582A (ko
Inventor
최재순
박성기
김봉현
Original Assignee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콘텍이엔지
주식회사 지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콘텍이엔지, 주식회사 지오티에스 filed Critical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7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bot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삽입홈(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패널(200);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배선 관통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을 제시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파손 우려가 적고, 파손되더라도 교체비용이 적으며,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SOLAR GENERATING BLOCK FOR PAVEMENT}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유발효과가 큰 태양광·풍력산업 양대 분야 중심으로 성장 추세에 있고 국내에서도 폐기물 발전 비중을 축소하여 태양광과 풍력을 핵심 에너지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국내의 경우 탈원전을 공식화 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비중을 높일 계획에 있으며, 그 중 태양광에 대한 개발은 많이 하고 있으나 주택, 주차장, 자전거 도로 등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태양광 발전을 시행하고 있으나, 태양광 발전 패널 시설물 설치에만 국한되어 있어 해외사례와 같이 도로분야에서는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도로분야에서도 압전도로, 집전도로 등의 유사 사례가 있으나, 도로포장블록과 태양광 패널의 일체형 구조에 대한 사례는 전무하다.
도로용 포장블록은 국내의 경우 1960년대 초반부터 도시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였고 물환경, 기후변화 등 도시환경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우천시 개발 이전에는 땅속으로 스며들던 빗물이 일시에 지표면과 배수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어 집중호우시 하천변이나 저지대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식 빗물관리를 통해 지반으로 스며들게 하는 등의 지표면 유출을 저감시키고 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도로의 지표면 유출을 저감하여 홍수예방 효과가 있는 도로 포장용 태양광 발전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넓은 구조의 태양광 패널을 도로 표면에 설치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포장 전체면적이 패널로 구성되어 있어 패널 파손의 우려가 크며, 파손 시 교체해야 하는 패널의 규모가 크므로 유지보수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패널의 파손 우려가 적고, 파손되더라도 교체비용이 적으며,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한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삽입홈(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패널(200);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배선 관통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을 제시한다.
상기 본체(100), 삽입홈(110) 및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횡단면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행차량의 교통하중이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에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110)은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110)에는 복수개의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패널(200)은 상기 삽입홈(110)의 내부영역을 채우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선 관통공(120)은, 상기 삽입홈(1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저면까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하방향 관통공(121); 상기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까지 양측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측방향 관통공(1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110)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과 함께 압전패널(300)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하부에 상기 압전패널(300)이 위치하고, 상기 압전패널(300)의 배선은 상기 배선 관통공(120)을 통해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전패널(300)은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압전패널(300)의 사이에는 반경화 절연물(310)이 충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상기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양측에 배수홈(13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 발전 블록 다수가 열지어 설치되어 형성된 태양광 발전 도로포장 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의 파손 우려가 적고, 파손되더라도 교체비용이 적으며,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한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블록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블록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압전소자의 적층구조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압전소자의 적층구조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발생전력의 전압 측정결과의 그래프.
도 8은 발생전력의 전류 측정결과의 그래프.
도 9는 압전패널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삽입홈(110)이 형성된 본체(100); 삽입홈(110)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패널(200);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배선 관통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태양광 발전 블록 다수가 열지어 설치되고, 상호 배선이 연결되어 일종의 블록포장인 태양광 발전 도로포장 구조물을 형성한다.
블록의 제작은 KS F 4419(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을 따르며, 블록의 크기는 차량의 하나의 타이어의 하중만이 작용할 정도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블록의 본체(100)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패널(20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파손이 발생하더라고 그 블록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비가 작게 소요된다.
본체(100), 삽입홈(110) 및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횡단면이 사각형인 구조를 취하는 경우, 열지어 빈틈없이 설치함으로써 안정적인 블록포장구조를 이룰 수 있다.
운행차량의 교통하중이 태양광 발전패널(200)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삽입홈(110)은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삽입홈(110)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높이는 본체(100)의 가장자리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따라서 삽입홈(110)의 깊이가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높이와 같거나,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110)에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패널(200a,200b)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패널(200a,200b)은 삽입홈(110)의 내부영역을 채우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도 2).
배선 관통공(120)은, 삽입홈(110)의 중앙부에서 본체(100)의 저면까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하방향 관통공(121);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중앙부에서 본체(100)의 양측면까지 양측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측방향 관통공(122);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블록 제조의 용이성 및 하자 유무 판별의 용이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블록의 삽입홈(110)에 태양광 발전패널(200)과 함께 압전패널(300)이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운행하중 재하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발전에 함께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야간이나 날씨가 흐려서 태양광 발전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압전패널(300)에 의한 발전이 이를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하부에 압전패널(300)이 위치하고, 압전패널(300)의 배선은 배선 관통공(120)을 통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6은 압전패널(3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소자가 적층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압전소자가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도 5)와, 복수의 압전소자가 일체로 적층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도 6)를 도시한 것이다.
도 7,8은 위 2가지 경우에 생산되는 전력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전소자가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도 5)가 더욱 큰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층된 복수의 압전소자 사이의 간격을 충전할 재료로는 반경화 절연물(3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화 절연물은 수지를 그라스포 또는 일방향으로 놓여진 그라스실에 수지를 코팅하여 반경화시킨 재료로서, 열을 가하면 내열성의 고강도 절연물이 성형된다는 물성이 있다.
이는 판 구조나 테이프 구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압전소자(압전패널)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압전패널(300)은 복수(300a,300b)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적층된 복수의 압전패널(300a,300b)의 사이에는 반경화 절연물(310)이 충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본체(100)의 저면에는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배수홈(130)이 형성되는데, 이 배수홈(130)은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블록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3).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삽입홈
120 : 배선 관통공 121 : 상하방향 관통공
122 : 측방향 관통공 130 : 배수홈
200 : 태양광 발전패널 300 : 압전패널
310 : 반경화 절연물

Claims (9)

  1.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삽입홈(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태양광 발전패널(200);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배선 관통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 삽입홈(110) 및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횡단면은 사각형이고,
    운행차량의 교통하중이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에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110)은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부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삽입홈(110)에는 복수개의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패널(200)은 상기 삽입홈(110)의 내부영역을 채우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선 관통공(120)은,
    상기 삽입홈(1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저면까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하방향 관통공(121);
    상기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까지 양측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측방향 관통공(122);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110)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과 함께 압전패널(300)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패널(200)의 하부에 상기 압전패널(300)이 위치하고, 상기 압전패널(300)의 배선은 상기 배선 관통공(120)을 통해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압전패널(300)은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의 압전패널(300)의 사이에는 반경화 절연물(310)이 충전되고,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상기 상하방향 관통공(121)의 양측에 배수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태양광 발전 블록 다수가 열지어 설치되어 형성된 태양광 발전 도로포장 구조물.
KR1020170154699A 2017-11-20 2017-11-20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KR10207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99A KR102078701B1 (ko) 2017-11-20 2017-11-20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99A KR102078701B1 (ko) 2017-11-20 2017-11-20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82A KR20190057582A (ko) 2019-05-29
KR102078701B1 true KR102078701B1 (ko) 2020-02-18

Family

ID=6667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99A KR102078701B1 (ko) 2017-11-20 2017-11-20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83A (ko) 2019-10-14 2021-04-22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도로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25Y1 (ko) * 2005-01-17 2005-04-11 주식회사 한울코리아 보도블록
KR200433331Y1 (ko) * 2006-09-26 2006-12-11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발광블럭
JP2013238063A (ja) * 2012-05-16 2013-11-28 Taiheiyo Precast Concrete Industry Co Ltd 平板状のブロック、及びそれを含む付加機能付きの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1619A (ja) * 2008-02-06 2011-04-07 インノワッテク リミテッド 環境発電
KR20120103099A (ko) * 2011-03-10 2012-09-19 이준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보도블럭
KR101450860B1 (ko) * 2012-09-12 2014-10-14 (주)위너스엔지니어링 발광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25Y1 (ko) * 2005-01-17 2005-04-11 주식회사 한울코리아 보도블록
KR200433331Y1 (ko) * 2006-09-26 2006-12-11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발광블럭
JP2013238063A (ja) * 2012-05-16 2013-11-28 Taiheiyo Precast Concrete Industry Co Ltd 平板状のブロック、及びそれを含む付加機能付きの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82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538B1 (ko)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을 이용한 도로 발전 구조물
CN103929119B (zh) 光伏太阳能路面结构单元、发电系统及结构单元制作方法
US20160301355A1 (en) Solar-cell pave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687155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舗装構造体および壁面構造体
RU2520597C2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элемент для армирования, отделения и дренирования больших сооружений, таких как дорожные насыпи
CN109056457B (zh) 智慧城市太阳能供电道路系统及其施工方法
CN103547856A (zh) 带有太阳能电池面板的柱
KR102078701B1 (ko) 도로포장용 태양광 발전 블록
CN110846963A (zh) 一种钢板结构和钢板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83897B1 (ko) 포장도로용 합성수지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 시공 방법
CN203788218U (zh) 光伏太阳能路面结构单元及发电系统
CN105821736A (zh) 一种透水地面系统及铺装方法
KR102070179B1 (ko) 도로포장용 복합발전 블록
KR101934537B1 (ko) 도로 발전 구조물
CN107905179A (zh) 一种寒区土石坝防冻胀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544147A (zh) 一种柔性太阳能电池组件
CN106992488B (zh) 一种装配式型钢电缆槽盒
CN209981243U (zh) 太阳能发电路块及太阳能路面发电系统
CN210069713U (zh) 一种基于智能发电的公路隧道结构
CN216765464U (zh) 光电型透水铺面构造
KR20100037710A (ko) 보.차도 블럭 부등침하방지 시공공법
CN208762815U (zh) 公路结构
CN111749076A (zh) 一种免跟踪自聚光式光伏太阳能路面及其施工方法
JP5150519B2 (ja) 等沈下地盤構造
KR101230028B1 (ko) 도로 및 철로,수로 등 토목공사로 발생한 절개지 비탈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