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56U - 발광블럭 - Google Patents

발광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56U
KR20170001156U KR2020150006294U KR20150006294U KR20170001156U KR 20170001156 U KR20170001156 U KR 20170001156U KR 2020150006294 U KR2020150006294 U KR 2020150006294U KR 20150006294 U KR20150006294 U KR 20150006294U KR 20170001156 U KR20170001156 U KR 20170001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case
piec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47Y1 (ko
Inventor
수에유 루
Original Assignee
수에유 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에유 루 filed Critical 수에유 루
Priority to KR2020150006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4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발광블럭은 케이스와 전기적연결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서로 연결된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을 갖추고 있고, 케이스 외부에는 대응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용치공간이 형성되며, 전기적연결장치는 케이스 용치공간 내의 메인 연결조각 내면에 근접하게 집중 설치되고, 대응결합구조는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과 투광가능조각 주변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연결장치가 케이스를 덮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케이스가 비교적 넓은 발광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우수한 발광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발광블럭{LIGHT-EMITTING TOY MODULE}
본 고안은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용치공간 내에 전기적연결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기적연결장치는 용치공간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어 전기적연결장치가 케이스를 덮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장 우수한 발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광원을 방사하는 블럭의 경우, 블록 내에 발광체와 도전 장치를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공고 제US3,696,548호의 내용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면, 블럭의 각 측벽 상에 도전단자를 직접 설치하고, 전선을 이용해 각 도전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하고, 이를 통해 두 개의 인접한 블록을 서로 삽입 연결시키면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게 되며, 더 나아가 각 블록 내의 발광체에서 광체를 방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도전단자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광체에서 방사되는 광원이 도전단자와 전원케이블의 방해를 받아 발광 효과가 대폭 감소되며, 또한 도전단자와 블록을 반드시 동시에 가공해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가공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전기적연결장치를 케이스 내의 용치공간 한 측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적연결장치가 케이스를 덮는 면적을 감소시켜 케이스가 비교적 넓은 발광 면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전기적연결장치의 도전커넥터와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을 도전판 한 측과 주변에 집중 설치함으로써 다수 개의 전기연결점을 집중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 있으며, 즉 예를 들어 정방체 발광블럭의 경우, 그 도전커넥터가 메인 연결조각으로 하여금 대외 도전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4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이 4개의 투광가능조각으로 하여금 다른 발광블럭의 도전커넥터와 도전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간편하게 집중되는 구조가 완성되어 발광블럭의 5면이 모두 필요한 도전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전기적연결장치의 발광체를 도전판 표면 및 중앙 위치에 설치하여 발광체에서 방사하는 광원이 케이스의 각 투광가능조각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원이 장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발광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대응결합구조를 케이스 메인 연결조각과 투광가능조각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투광가능조각이 비교적 넓은 발광 면적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발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발광블럭은 케이스와 전기적연결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서로 연결된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을 갖추고 있고, 케이스 외부에는 대응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용치공간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메인 연결조각의 투광가능조각 상의 메인 연결조각과 근접한 측방 표면에 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전기적연결장치는 케이스의 용치공간 내에 설치되고, 전기적연결장치는 도전판을 갖추고 있으며, 도전판에는 발광체, 도전커넥터,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이 전기적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고, 발광체는 도전판 표면과 중앙 위치에 설치되며, 도전커넥터는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을 관통하여 메인 연결조각 외부면으로 노출 설치되며,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은 각각 케이스의 투광가능조각의 삽입구멍과 서로 대응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연결장치가 용치공간의 한 측에 집중 설치됨으로써 전기적연결장치가 케이스를 덮는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케이스가 비교적 넓은 발광 면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발광블럭 중,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 외부에 대응결합구조가 설치되어, 발광블럭의 메인 연결조각이 또 다른 발광블럭의 투광가능조각과 서로 마주보며 연결되며, 대응결합구조는 케이스 메인 연결조각 주변에 설치된 돌출체와 투광가능조각 주변에 설치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투광가능조각이 비교적 넓은 발광 면적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발광블럭은 케이스와 전기적연결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서로 연결된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을 갖추고 있고, 케이스 외부에는 대응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용치공간이 형성되며, 전기적연결장치는 케이스 용치공간 내의 메인 연결조각 내면에 근접하게 집중 설치되고, 대응결합구조는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과 투광가능조각 주변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연결장치가 케이스를 덮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케이스가 비교적 넓은 발광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우수한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2는 도1 발광블럭을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 외관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의 부분 절개 입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인 발광블럭의 주요 구성부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인 발광블럭을 서로 연결했을 때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했을 때의 국부 구성부품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했을 때의 국부 구성부품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9는 도8 발광블럭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인 발광블럭 단말부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11은 도10 발광블럭 단말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 외관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인 발광블럭 단말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13은 도12 발광블럭 단만부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 외관도이다.
도14는 본 고안인 발광블럭 단말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15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사용 방식의 발광블럭과 기초받침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16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사용 방식을 조합한 후의 정면도이다.
도17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사용 방식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1에서 도7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발광블럭(1)은 케이스(11)와 전기적연결장치(13)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상기 케이스(11)는 서로 연결된 메인 연결조각(111)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112)을 갖추고 있고, 상기 투광가능조각(112)는 투광 혹은 반투광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 중, 상기 케이스(11)는 정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는 메인 연결조각(111)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112)의 외부에 대응결합구조(12)가 형성되고, 케이스(11) 내부에는 용치공간(113)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한 메인 연결조각(111)의 4개 투광가능조각(112) 상의 메인 연결조각(111)과 근접한 측방 표면에 삽입구멍(1121)이 설치된다. 또한 대응결합구조(12)는 케이스(11) 메인 연결조각(111) 주변에 설치된 돌출체(121)와 케이스(11) 투광가능조각(112) 주변에 설치된 오목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기적연결장치(13)는 상기 케이스(11)의 용치공간(113) 내에 설치되고, 도전판(131), 도전판(131)과 전기적 연결을 하고 있는 발광체(132), 도전커넥터(133)와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정방체 형상의 발광블럭(1) 실시예의 경우, 4세트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을 갖추고 있다. 도전판(131)은 케이스(11)의 메인 연결조각(111) 내면에 위치 고정되어 있고, 발광체(132)는 도전판(131) 표면과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체(132)가 각 투광가능조각(112)을 향해 광원을 방사하게 한다. 여기서 발광체(132)는 발광 다이오드 혹은 기타 소형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은 각각 케이스(11) 투광가능조각(112)의 삽입구멍(1121)과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도전커넥터(133)는 케이스(11)의 메인 연결조각(111)을 관통하여 메인 연결조각(111) 외부면으로 노출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연결장치(13)가 용치공간(113)의 메인 연결조각(111) 내면에 근접한 위치에 집중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정방체 발광블럭(1)의 경우, 도전커넥터(133) 메인 연결조각(111)으로 하여금 대외 도전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4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이 4개의 투광가능조각(112)으로 하여금 다른 발광블럭(1)의 도전커넥터(133)와 도전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간편하게 집중되는 구조가 완성되어 발광블럭(1)의 5면이 모두 필요한 도전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3에서 도6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메인 연결조각(111)과 바로 마주보는 방향의 투광가능조각(112)이 도전연결 기능을 갖추게 하기 위해, 전기적연결장치(13)에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이 설치되며, 상기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은 메인 연결조각(111)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투광가능조각(112)에 설치되고, 도전케이블(136)과 도전판(131)은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된다. 상기 도전케이블(136)은 광원이 덮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광가능조각(112)의 주변을 경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은 메인 연결조각(111)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또 다른 투광가능조각(112)에 설치되고, 상기 투광가능조각(112)과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구멍(1121)이 설치된다.
도5에서 도7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도면에서 정확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두 개의 발광블럭(1)이 서로 대응 연결되었을 때, 하나의 발광블럭(1)의 메인 연결조각(111)이 다른 하나의 발광블럭(1)의 투광가능조각(112)과 서로 대응되며, 메인 연결조각(111)에서 노출된 도전커넥터(133)가 투광가능조각(112)의 삽입구멍(1121)에 삽입되며, 상기 도전커넥터(133)가 삽입구멍(1121)에 삽입된 후, 삽입구멍(1121)과 서로 대응되어 있는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 혹은 연신 도전연결받침(135)과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두 개의 발광블럭(1)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메인 연결조각(111)에서 노출된 도전커넥터(133)가 투광가능조각(112)의 삽입구멍(1121)에 삽입된 후, 대응결합구조(12)의 메인 연결조각(111) 상에 설치된 돌출체(121)가 투광가능조각(112) 주변에 설치된 오목부(122) 내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 결합이 완성된다.
도7 내지 도9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도면들은 또 다른 실시예의 발광블럭(1')에 관한 것이고, 상기 케이스(11')는 메인 연결조각(111'),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112'), 케이스(11')에 설치된 대응결합구조(12')를 갖추고 있으며,케이스(11') 내부에는 용치공간(113')과 전기적연결장치(13')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적연결장치(13')는 도전판(131'), 발광체(132'), 도전커넥터(133'),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 도전케이블(136')과 도전판(131')이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여 형성된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응결합구조(12')는 케이스(11') 메인 연결조각(111') 주변에 설치된 돌출체(121')와 케이스(11') 투광가능조각(112') 주변에 설치된 오목부(122')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두 개의 돌출체(121')에는 통공이 설치되어 도전커넥터(133')가 이곳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서로 인접한 메인 연결조각(111)의 오목부(122')를 이용하여 이를 관통하여 삽입구멍(1121')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을 각각 삽입구멍(1121')과 서로 대응시키고, 도전커넥터(133')가 삽입구멍(1121')을 관통하여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과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게 한다. 또한 연신 도전연결받침(135')은 투광가능조각(112)을 관통하여 오목부(122') 내부까지 뻗어 나오게 되며, 상기 오목부(122') 역시 삽입구멍(1121')이 되어지며, 도전커넥터(133')가 삽입구멍(1121')을 관통하여 연신 도전연결받침(135')과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된다.
도10 내지 도14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상기 도면들은 본 고안인 발광블럭 단말부(2, 3, 4)의 3종류의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10 내지 도16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상기 도면들은 발광블럭 단말부(4)를 발광블럭(1) 끝단에 연결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기타 발광블럭 단말부(2, 3)의 용도는 본 도면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다.
도10 및 도1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발광블럭 단말부(2)는 메인 연결조각(21), 투광가능조각(22), 투광가능 조형조각(23)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발광블럭 단말부(2)는 삼각체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연결조각(21) 표면에는 도전커넥터(24)가 노출되어 있고, 투광가능조각(22) 표면에는 삽입구멍(221)이 설치된다. 도12와 도1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발광블럭 단말부(3)는 메인 연결조각(31), 투광가능조각(32), 투광가능 조형조각(33)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발광블럭 단말부(3)는 둥근 아크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연결조각(31) 표면에는 도전커넥터(34)가 노출되어 있고, 투광가능조각(32) 표면에는 삽입구멍(321)이 설치된다. 도14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발광블럭 단말부(4)는 메인 연결조각(41)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 조형조각(42)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발광블럭 단말부(4)는 추체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연결조각(41) 표면에는 도전커넥터(43)가 노출되어 있다. 도1, 도10에서 도14 및 도16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발광블럭(1)과 각종 발광블럭 단말부(2, 3, 4)는 서로 조합되어 연결되어 더욱 다양한 입체적 조형을 창조해 낼 수 있다. 또한 발광블럭(1)과 각종 발광블럭 단말부(2, 3, 4)의 도전커넥터(133, 24, 34, 43)를 다른 발광블럭(1) 혹은 각종 발광블럭 단말부(2, 3, 4)의 삽입구멍(1121, 221, 321)에 삽입시켜 도전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15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사용 방식의 발광블럭(1)과 기초받침(5)의 입체 분해도이며, 도1, 도3, 도6 및 도16의 내용을 함께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의 첫 번째 사용 방식은 발광블럭(1)을 기초받침(5) 표면에 삽입 연결하고, 상기 기초받침(5)에는 전원케이블(6)이 연결 설치되거나 혹은 배터리(7)가 설치되어 지며, 또한 기초받침(5) 표면에는 복수 세트의 오목부(51)과 도전구멍(52)이 설치되고, 오목부(51)은 발광블럭(1)의 돌출체(121)와 서로 대응되어지며, 이를 통해 발광블럭(1)이 기초받침(5) 표면에 삽입 연결될 때, 발광블럭(1)의 돌출체(121)가 오목부(51)에 삽입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며, 발광블럭(1)의 도전커넥터(133)가 도전구멍(52) 내에 삽입됨으로써 전원케이블(6) 혹은 배터리(7)와 도전적 연결을 하게 되어 발광블럭(1)의 발광체(132)가 광원을 방출하게 되며, 이어서 투광가능조각(112)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어진다. 또한 다른 하나의 발광블럭(1) 메인 연결조각(111)의 도전커넥터(133)가 기초받침(5)의 발광블럭(1) 투광가능조각(112)의 삽입구멍(1121)으로 삽입 연결될 때, 삽입구멍(1121) 내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134) 혹은 연신 도전연결받침(135)과 서로 도전적 연결을 하게 되어,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발광블럭(1)이 도적적 연결을 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모든 발광체(132)가 광원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도1에서 도3과 도17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의 두 번째 사용 방식은 복수 개의 발광블럭(1)을 서로 연결시킨 후, 다시 연결받침(8)을 그 중 하나의 발광블럭(1)에 연결하고, 연결받침(8)에 연결된 전원케이블(6)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광블럭(1)에 제공하면 모든 발광블럭(1)의 발광체(132)가 광원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1' : 발광블럭
11, 11' : 케이스
111, 111' : 메인 연결조각
112, 112' : 투광가능조각
1121, 1121' : 삽입구멍
113, 113' : 용치공간
12, 12' : 대응결합구조
121, 121' : 돌출체
122, 122' : 오목부
13, 13' : 전기적연결장치
131, 131' : 도전판
132, 132' : 발광체
133, 133' : 도전커넥터
134, 134' :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
135, 135' : 연신 도전연결받침
136, 136' : 도전케이블
2, 3, 4 : 발광블럭 단말부
21, 31, 41 : 메인 연결조각
22, 32 : 투광가능조각
221, 321 : 삽입구멍
23, 33, 42 : 투광가능 조형조각
24, 34, 43 : 도전커넥터
5 : 기초받침
51 : 오목부
52 : 도전구멍
6 : 전원케이블
7 : 배터리
8 : 연결받침

Claims (4)

  1.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발광블럭은 케이스와 전기적연결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는 서로 연결된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을 갖추고 있고, 케이스 외부에는 대응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용치공간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메인 연결조각의 투광가능조각 상의 메인 연결조각과 근접한 측방 표면에 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연결조각과 복수 개의 투광가능조각 외부에는 대응결합구조가 형성되어, 발광블럭의 메인 연결조각이 다른 하나의 발광블럭의 투광가능조각과 서로 대응 연결될 수 있게 되며,
    전기적연결장치는 케이스의 용치공간 내에 설치되고, 도전판, 도전판과 전기적 연결을 하는 발광체, 도전커넥터와 복수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판은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 내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은 각각 케이스투광가능조각의 삽입구멍과 서로 대응되어지며, 도전커넥터는 케이스의 메인 연결조각을 관통해 메인 연결조각 외면으로 노출되어지고,
    발광블럭의 메인 연결조각이 대응결합구조를 이용해 다른 하나의 발광블럭의 투광가능조각과 서로 대응 연결될 때, 상기 발광블럭의 도전커넥터는 다른 발광블럭투광가능조각의 삽입구멍에 삽입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발광블럭의 주변테두리 도전연결받침와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합구조는 케이스 메인연결조각 주변에 설치된 돌출체와 투광가능조각 주변에 설치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연결장치에는 연신 도전연결받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신 도전연결받침은 메인 연결조각의 투광가능조각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며, 도전케이블과 도전판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되며, 또한 투광가능조각과 연신 도전연결받침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도전판 표면 및 중앙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블럭.
KR2020150006294U 2015-09-22 2015-09-22 발광블럭 KR200483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94U KR200483847Y1 (ko) 2015-09-22 2015-09-22 발광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94U KR200483847Y1 (ko) 2015-09-22 2015-09-22 발광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56U true KR20170001156U (ko) 2017-03-30
KR200483847Y1 KR200483847Y1 (ko) 2017-07-11

Family

ID=5849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94U KR200483847Y1 (ko) 2015-09-22 2015-09-22 발광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이지위드 바닥 조명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31Y1 (ko) * 2006-09-26 2006-12-11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발광블럭
JP2009512484A (ja) * 2005-10-20 2009-03-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プログラム可能な発光セグメントを備えるゲーム
KR20100129844A (ko) * 2009-06-02 2010-12-10 (주)대륙아이티에스 Led 블록 조명장치
JP3173981U (ja) * 2011-12-19 2012-03-01 林 嘉彦 発光積木の電気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981B2 (ja) 1995-12-19 2001-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廃液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484A (ja) * 2005-10-20 2009-03-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プログラム可能な発光セグメントを備えるゲーム
KR200433331Y1 (ko) * 2006-09-26 2006-12-11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발광블럭
KR20100129844A (ko) * 2009-06-02 2010-12-10 (주)대륙아이티에스 Led 블록 조명장치
JP3173981U (ja) * 2011-12-19 2012-03-01 林 嘉彦 発光積木の電気接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이지위드 바닥 조명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47Y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6819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4503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uminous effect
JP2017523571A (ja) 配線式電気部品の搭載ベース、照明モジュール、関連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ガーメント
US20160325200A1 (en) Light-emitting toy module
CN105222057A (zh) 一种灯具
US20150235735A1 (en) Sleeve seal
KR200483847Y1 (ko) 발광블럭
CN203893101U (zh) 一种灯具
US20230349521A1 (en) Light modules for luminaires and method of assembling luminaires
CN106797104B (zh) 半导体激光装置
JP3201231U (ja) 発光積み木
JP2013178984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4888079B2 (ja) ホリゾントライト
CN203813146U (zh) 带led的连接器结构
KR101479544B1 (ko) 엘이디조명장치
TWM512235U (zh) 電連接器及通訊設備
CN104300278B (zh) 电源连接器及其组装方法
TWM487986U (zh) 插拔式發光裝置
KR20150116261A (ko) 플러그와 커넥터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등기구
KR100927011B1 (ko) 샹들리에 장식등
CN204042483U (zh) 灯泡
JP3246930U (ja) 飾り台
KR101813252B1 (ko) 양면 발광 조명 장치
TWM513726U (zh) 發光積木
CN104806907A (zh) 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