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079Y1 -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079Y1
KR200433079Y1 KR2020060026111U KR20060026111U KR200433079Y1 KR 200433079 Y1 KR200433079 Y1 KR 200433079Y1 KR 2020060026111 U KR2020060026111 U KR 2020060026111U KR 20060026111 U KR20060026111 U KR 20060026111U KR 200433079 Y1 KR200433079 Y1 KR 200433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athroom
fan
air supply
liv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to KR2020060026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동주택용 급, 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있어, 주거공간의 환기 방식과 욕실이나 주방의 급속배기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의 급,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주거실 바닥 배관의 저면으로 배설된 급기배관(10)은 외부의 급기팬11)과 침실 및 거실의 급기그릴(12)과 각각 연결 배관되어 있고, 공동욕실, 부부욕실 및 주방에 설치된 배기그릴(13)로부터 천정면을 통하여 공동 수직피트(14)로 배설된 배기배관(15)에 있어서, 상기배기배관(15) 상에는 배기팬(16) 및 모터댐퍼(17)가 각각 장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댐퍼(17)에 의해 주거실 배출공기 보다 욕실 및 주방의 배출공기가 급속히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의 연동구동을 위해 전원스위칭회로(18)가 각각 연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Description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An Air Distribution Linked Type Ventilation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
도 1은 본 고안의 급,배기 연동 구조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기배관 11 : 급기팬
12 : 급기그릴 13 : 배기그릴
14 : 공동수직피트 15 : 배기배관
16 : 배기팬 17 : 모터댐퍼
18 : 전원스위칭회로
본 고안은 공동주택용 급, 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있어, 주거공간의 환기 방식과 욕실이나 주방의 급속배기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있어, 주거공간과 욕실이나 주방의 급기와 배기가 개별적,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어, 효과적인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환기장치 설비가 공동주택 구조상 천장공간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좁은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제약 상의 문제점이 있는바, 기존의 공동주택용 천장공간으로서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주거 천정면이 낮아져 답답한 환경이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아니면 공동주택의 층고가 높아져서 그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급기 배관은 바닥배관의 저면부를 통하여 주, 거실로 급기 되도록 설치되고, 배기 배관은 욕실과 주방의 고정압 배기팬에 의해 공동 수직피트를 통하여 안정적인 배기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의 급,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주거실 바닥배관의 저면으로 배설된 급기배관은 외부의 급기팬과 침실 및 거실의 급기그릴과 각각 연결 배관되어 있고, 공동욕실, 부부욕실 및 주방에 설치된 배기그릴로부터 천정면을 통하여 공동 수직피트로 배설된 배 기배관 상에는 배기팬 및 모터댐퍼가 각각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팬과 모터댐퍼의 연동구동을 위해 전원스위칭회로가 각각 연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급,배기 연동 구조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의 급,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주거실 바닥 배관의 저면으로 배설된 급기배관(10)은 외부의 급기팬11)과 침실 및 거실의 급기그릴(12)과 각각 연결 배관되어 있고, 공동욕실, 부부욕실 및 주방에 설치된 배기그릴(13)로부터 천정면을 통하여 공동 수직피트(14)로 배설된 배기배관(15) 상에는 배기팬(16) 및 모터댐퍼(17)가 각각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댐퍼(17)에 의해 욕실 및 주방의 배출공기가 급속히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 있고,
상기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의 연동구동을 위해 전원스위칭회로(18)가 각각 연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19는 욕실 및 주방 배기팬(16) 스위치이고, 20은 전원스위칭회로(18) 제어 신호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급기팬(11)의 구동으로 급기배관(10) 및 급기그릴(12)를 통하여 실내의 환기를 함에 있어, 본 고안의 고안자가 개발한 특허등록제0419258호를 이용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한다.
상기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에 의한 연동의 구동으로 배기되는 경우, 욕실 및 주방의 스위치(19)가 OFF 이고, 전원 스위칭회로(18)의 제어신호 스위치(20)가 ON 상태로 하면, 상기 욕실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에 전원이 공급되어 각각 구동 배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압 배기팬(16)의 배기량을 100%로 볼때, 모터댐퍼(17)를 통한 실내(침실, 거실)의 공기 30~40%와 욕실의 공기 60~70%의 공기가 배기배관(15)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팬(16)의 스위치(19)가 ON 상태로 하면, 상기 전원 스위칭회로 제어신호의 상태에 관계없이 배기팬(16)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욕실 배기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팬(16)의 스위치(19) 및 제어신호 스위치(20)가 OFF 상태로 하면, 전원이 차단되어 배기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의 연동구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급속배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방 및 욕실 배기를 공동주택의 구 조적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급속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의 급,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주거실 바닥 배관의 저면으로 배설된 급기배관(10)은 외부의 급기팬(11)과 침실 및 거실의 급기그릴(12)과 각각 연결 배관되어 있고, 공동욕실, 부부욕실 및 주방에 설치된 배기팬(16)로부터 천정면을 통하여 공동 수직피트(14)로 배설된 배기배관(15)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16) 측면으로부터 거실 또는 침실의 배기그릴에 연결된 배기배관(15)이 있어 주거실 배출공기와 욕실 및 주방의 배출공기가 동시에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기배관(15) 상에는 모터댐퍼가 장치되어 있어 주거실의 배기를 욕실팬 스위치(19)를 켜면 모터 댐퍼가 닫혀서 욕실 내부의 배기만 이루어지고, 욕실팬 스위치(19)를 끄고, 급기팬(11)이 가동되어 환기 연동을 위한 전원스위칭 회로제어신호(20)가 on된 상태에서는 욕실 배기팬(16)이 가동되고 모터댐퍼(17)가 열려서 욕실과 주거실의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배기팬(16)과 모터댐퍼(17)의 연동구동을 위해 전원스위칭회로(18)가 각각 연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KR2020060026111U 2006-09-27 2006-09-27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KR200433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11U KR200433079Y1 (ko) 2006-09-27 2006-09-27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11U KR200433079Y1 (ko) 2006-09-27 2006-09-27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079Y1 true KR200433079Y1 (ko) 2006-12-07

Family

ID=4178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11U KR200433079Y1 (ko) 2006-09-27 2006-09-27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0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349A (ko) 2016-10-21 2016-11-11 주식회사 제일테크 급배기 겸용 역류방지댐퍼와 축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환기시스템
KR20190059338A (ko) 2017-11-22 2019-05-31 주식회사 제일테크 무덕트 급배기 축열회수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349A (ko) 2016-10-21 2016-11-11 주식회사 제일테크 급배기 겸용 역류방지댐퍼와 축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환기시스템
KR20190059338A (ko) 2017-11-22 2019-05-31 주식회사 제일테크 무덕트 급배기 축열회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975Y1 (ko) 공동주택용 세대별 환기 연동 배기시스템
KR200433079Y1 (ko)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JP6415945B2 (ja) 空調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住宅空調システム
KR100756441B1 (ko) 주택 내부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35724Y1 (ko)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KR20150082144A (ko) 무동력 댐퍼 엘보우를 이용한 공동주택 및 다중시설 건물의 세대별 환기시스템
KR200420060Y1 (ko) 공동주택용 직배기에 의한 환기시스템
CN201964571U (zh) 一种室内进排气装置
KR20060014834A (ko)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JP2005036609A (ja) 建物構造
KR100975636B1 (ko) 복층 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채용되는 와이어리스형배기시스템
KR101550167B1 (ko) 복합건물용 배풍기 제어장치
JP2001289476A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KR100540976B1 (ko) 건물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6496190B2 (ja) 住宅及びその換気方法
CN220038686U (zh) 消防排烟和补风系统及多层车库
JP2013257055A (ja) 建築物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JP2016017352A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20200013835A (ko) 화장실 급기 배기 온열 시스템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200349110Y1 (ko) 다세대 주거시절의 환기 설비
KR200425261Y1 (ko) 공동주택 에어덕트의 배기 장치
JP2008002090A (ja) 住宅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