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13Y1 -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 Google Patents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13Y1
KR200432913Y1 KR2020060024391U KR20060024391U KR200432913Y1 KR 200432913 Y1 KR200432913 Y1 KR 200432913Y1 KR 2020060024391 U KR2020060024391 U KR 2020060024391U KR 20060024391 U KR20060024391 U KR 20060024391U KR 200432913 Y1 KR200432913 Y1 KR 200432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ush
block
assembly
cater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화용
Original Assignee
임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화용 filed Critical 임화용
Priority to KR2020060024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2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lubr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3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무한궤도 링크 연결용 부쉬와 핀을 기대의 상부에 설치한 고정판의 조립위치로 각각 공급하여 부쉬와 핀을 조립하고, 다음의 위치에서 그리스 주입을 행하는 부쉬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조립위치에 형성한 이동홀 주변에 부쉬와 핀의 정렬을 위해 안치홈이 형성된 제1받침블럭과 가이드블럭을 설치하여, 제1받침블럭의 일측에는 안치턱을 형성한 고정블럭과, 핀의 이동을 제어하는 볼트가 체결된 스토퍼를 설치하고, 가이드블럭 타측에는 핀을 부쉬에 삽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된 유도대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대의 푸쉬로드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 및 역구동하는 실린더를 연결하여서 된 조립블럭부재를 설치구성으로 무한궤도의 링크를 연결하는 부쉬와 핀을 공급하면서 자동적으로 핀을 부쉬에 정확하고 안정되게 조립하며, 또한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현장에서의 생산성 향상과, 조립작업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무한궤도, 링크, 부쉬, 핀, 고정블럭부재, 그리스주입블럭부재, 로딩부재

Description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pin inserting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 bush used to a link of a caterpillar}
도 1는 본 고안의 고정에 대한 진행 순서도.
도 2은 본 고안에 대한 조립장치의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대한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대한 조립장치의 측면도.
도 5은 본 고안 중 조립블럭부재 및 고정블럭부재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 중 부쉬에 핀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기대 101 : 고정판 103 : 이동홀
300 : 조립블럭부재 310 : 제1받침블럭 312 : 안치홈
313 : 고정블럭 315 : 턱 350 : 스토퍼
360,360A: 센서 363 : 홀 400 : 고정블럭부재
410 : 제2받침블럭
본 고안은 지면과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는 구조를 가진 무한궤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링크의 연결시 사용되는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면과의 마찰이 극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무한궤도는 토목용 특수차량(블도저, 포크레인)과 군용특수차량(탱크, 장갑차 등)의 동력전달용 바퀴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무한궤도는 링크와 링크를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각 링크들의 연결구성은 링크의 상호 형합되는 부분에 부쉬가 삽입된 핀의 양단이 삽입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하였고, 이러한 핀과 부쉬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부쉬에 형성된 홀에 핀의 일단을 맞춘 상태에서 망치 혹은 수공구로 핀을 타격하여 이때의 충격으로 핀이 부쉬의 홀로 삽입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부쉬를 프레스와 같은 기계적 장치에 고정시켜서 프레스의 크랭크축이 하강하면서 부쉬의 홀에 일치된 상태의 핀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삽입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조립방법은 핀의 일단에 충격을 수차례 가하기 때문에 핀의 끝단이 찌그러지는 현상과 핀의 직진도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핀의 형상 변형은 부쉬의 홀로 삽입되는 상태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고, 핀이 변형된 상태에서 부쉬의 홀로 삽입된 경우에는 휨부분에서 마찰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무한궤도 구동시에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무한궤도용 링크를 연결하는 부쉬와 핀의 구성에서는 회전마찰력에 대 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핀과 부쉬 사이의 틈새로 그리스 즉, 그리스를 주입하였는데, 핀과 부쉬 사이의 틈새가 좁아 점도가 높은 그리스를 주입하기란 용이하지 않은데, 변형된 핀을 삽입시킨 경우에는 휨이 발생된 부분으로 인해서 그리스 즉, 그리스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무한궤도의 링크연결용 부쉬 및 핀을 취급 및 조립함에 있어서는 핀과 부쉬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한 본 고안은 설계적 치수로 가공된 핀과 부쉬의 공급을 원할하면서 안정되게 작업위치로 공급한 상태에서 핀과 부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핀과 부쉬 사이의 틈새로 그리스를 원활하게 공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목적은 무한궤도 링크 연결용 부쉬와 핀을 기대의 상부에 설치한 고정판의 조립위치로 각각 공급하여 부쉬와 핀을 조립하고, 다음의 위치에서 그리스 주입을 행하는 부쉬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조립위치에 형성한 이동홀 주변에 부쉬와 핀의 정렬을 위해 안치홈이 형성된 제1받침블럭과 가이드블럭을 설치하여, 제1받침블럭의 일측에는 안치턱을 형성한 고정블럭과,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가이드블럭 타측에는 핀을 부쉬에 삽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된 유도대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대의 푸쉬로드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 및 역구동하는 실린더를 연결하여서 된 조립블럭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조립진행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대한 평면,정면,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부쉬와 핀의 조립구조를 보인 상세도이다.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기대(100)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고정판(101)을 설치고정하고, 상기 고정판(101)에는 공정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홀(103)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홀(103)에 의해 위치이동용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작업진행중에 다음 위치로의 이동과 최초의 작업위치로의 이동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활동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조립블럭부재(300)는 기대(100)의 상부에 설치한 고정판(101)을 분할시킴으로 형성되는 이동홀(103)의 입구측 주변에 설치하고, 부쉬(B)와 핀(P)을 동축선상에 일렬형태로 대기시키는 제1받침블럭(310)과 가이드블럭(320), 그리고 핀(P)을 부쉬(B)측으로 밀어주는 푸쉬로드(331)가 구비된 푸쉬실린더(330)와, 부쉬(B)의 통과하는 핀(P)의 길이를 제어하는 스토퍼(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블럭부재(300)는 부품공급부재(200)의 호퍼(220)(230)로 부터 공급되는 부쉬(B)에 조립작업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1받침블럭(310)의 상면에 부쉬(B)를 대기시키는 'V'형 안치홈(312)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01)의 이동홀(103) 주변에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1받침블럭(310)중 일측의 제1받침블럭(310)에는 부쉬(B)의 일측단이 걸리도록 안치턱(315)을 형성하여 조립 작업 시 부쉬(B)의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블럭(313)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블럭(313)에 형성되는 'V'형 안치턱(315)은 제1받침블럭(310)의 'V'형 안치홈(312)보다 좁은 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한 턱을 형성하게 되어 부쉬(B)의 끝단 주연이 각도의 차이로 형성되는 턱에 걸리는 작용을 한다.
상기 고정블럭(313)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쉬(B)를 관통하는 핀(P)의 계속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 스토퍼(350)에는 핀(P)의 삽입길이를 제어하는 볼트(353)를 설치한다.
상기 볼트(353)는 스토퍼(350)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삽입되는 핀(P)의 정지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볼트(353)를 회전시켜 스토퍼(350)에서 볼트의 돌출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립블럭부재(300)중 핀(P)에 조립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블럭(320)은 상기 제1받침블럭(310)의 'V'형 안치홈(312) 보다 좁은 각으로 'V'형 슬라이드홈(323)을 형성하여 제1받침블럭(310)과 동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고정판(10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320)과 동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유도대(325)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대(325)의 상단으로 지지부쉬(327)를 설치하여서 이에 핀(P)을 부쉬에 삽입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된 푸쉬로드(331)를 설치한다. 그리고, 푸쉬로드(331)의 끝단과 푸쉬실린더(330)의 로드를 브라켓트(335)로 연결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구조에는 제1받침블럭(310)의 공간과, 스토퍼(350)의 공간과, 가이드블럭(320) 등에서 부쉬(B) 및 핀(P)의 유무상태가 감지되는 것에 의 하여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360)를 설치한다.
상기 센서(360)를 고정판(101)에 설치하기 위하여 브라켓트(361)를 형성하여 일단에 센서(360)를 설치하고, 타단에는 통상의 고정나사를 끼워 블럭 또는 고정판(101)에 고정나사를 설치 고정한다.
특히, 가이드블럭(320)에 센서(360)를 설치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홈(323)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홀(363)을 형성하고, 센서(360)가 설치된 브라켓트(361)를 가이드블럭(320)의 홀(363)저면으로 설치하여서 핀(P)의 유무를 감지하게 한다.
또한, 스토퍼(350)와 제1받침블럭(310)사이에 또 하나의 센서(360A)를 를설치하여 핀(P)의 도달유무를 감지하게 한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부호 400은 조립블럭부재(300)에서 조립된 부쉬(B)를 이동시켜 그리스를 주입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고정블럭부재이고, 500은 부쉬(B)와 핀(P)사이로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실린더부재이고, 510은 구동실린더부재의 실린더이다. 또한, 600은 부쉬(B)와 핀(P)을 조립위치에서 그리스주입위치 및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이고, 700은 이동된 부쉬(B)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재, 730은 부쉬(B)가 구름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사진 슬라이드판 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부쉬(B)를 조립블럭부재(300)을 구성하는 제1받침블럭(310)의 안치홈(312)에 공급하고, 핀(P)을 가이드블럭(320)의 슬라이드홈(310)에 공급하여 부쉬와 핀(P)을 도 1에서와 같이 동축상에 정렬시킨다.
상기 부쉬(B)와 핀(P)이 동축선 상에 정렬이 되면 제1받침블럭(310)과 가이드블럭(320)에 위치한 센서(360)에서는 부쉬와 핀의 존재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전달하고, 제어장치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푸쉬 실린더(330)와 연결된 유공압장치(도시생략)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유,공압장치에서는 푸쉬실린더(330)에 유,공압을 전달하게 되며 전달되는 유공압에 의하여 푸쉬실린더(330)는 푸쉬로드(331)를 조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푸쉬로드(331)가 푸쉬실린더(330)에 의해 조립방향으로 이동하면 푸쉬로드(331)의 선단이 가이드블럭(320)의 슬라이드홈(323)에 정렬된 핀(P)에 접촉되면서 밀게된다.
상기 푸쉬로드(331)에 의해 밀리는 핀(P)은 부쉬(B)방향으로 이동하여 도1 에서와 같이 일치하는 부쉬(B)의 통공으로 삽입된다. 이때 부쉬(B)는 끝단이 제1받침블럭(310)의 고정블럭(313)에 형성된 안치턱(315)에 걸려 있어서 부쉬(B)에 핀(P)삽입력이 전달되지만 부쉬(B)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고정블럭(313)의 안치턱(315)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부쉬(B)에 핀(P)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부쉬(B)를 관통하는 핀(P)은 계속 전진하며 도 6과같이 스토퍼(350)의 볼트(353)에 닿을 때 정지한다. 이와 같은 핀 삽입상태는 가이드블럭(320)의 홀(363)에 위치한 센서(360)에서는 핀(P)의 '없음'상태를 감지하고, 스토퍼(350)사이에 위치한 센서(360A)에서는 핀(P)의 '도달함' 상태로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기 적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센서(360)의 감지상태는 핀(P)이 부쉬(B)에 삽입된 상태로 판단하게 됨과 동시에 핀 조립을 완료한 상태로 판단하게 되므로 유공압장치에 전진행정을 제어시키고, 후퇴행정을 시작하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푸쉬실린더(330)의 전진동작은 정지하고 이어서 후퇴동작이 시작되어 푸쉬로드(331)는 핀(P)에서 더 이상 전진 이동력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푸쉬로드(331)가 후퇴하면서 가이드블럭(320)의 슬라이드홈(323)에 형성된 홀(363)을 지날 때 센서(360)가 푸쉬로드(331)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로딩부재(600)를 동작시켜 제1받침블럭(310)에 얹어져 있는 부쉬(B)를 이동홀(103)에서 들어 올리는 상태를 이루어 제1받침블럭(310)에 부쉬(B)를 분리시키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푸쉬실린더(330)에서 후퇴행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푸쉬로드(331)의 이동상태도 정지하여 가이드블럭(320)의 슬라이드홈(323)에 새로운 핀(P)을 공급할 수 있으며, 부쉬(B)가 제거된 제1박침블럭(310)의 안치홈(312)에도 새로운 부쉬(B)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핀(P) 조립과정에서 핀의 삽입 및 이동길이가 설계변동에 의하여 증가하거나 축소되는 경우에는 스토퍼(350)에 설치된 볼트(353)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고, 볼트(353)의 조절에 의하여 스토퍼(350)에서 볼트(353)의 돌출높이가 가변되므로 가변되는 폭에 따라서 핀(P)의 이동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핀(P)에 삽입력을 가할 때 핀(P)을 받치는 가이드블 럭(320)과, 부쉬를 받치는 제1받침블럭(310)에 의하여 정확하게 유도하는 작용으로 부쉬에 핀 삽입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쉬(B)와 핀(P)을 조립위치에 공급하면 블럭의 홈에 의하여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고, 전원을 공급할 때 구동하는 실린더 로드에 의하여 핀이 부쉬에 삽입되는 상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토퍼의 볼트로 핀의 삽입길이를 제어 및 조정할 수 있어 조립된 품질상태가 매우 균일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품의 삽입력과 부품의 조립 유도상태가 안전하게 제공되어서 불량 발생율이 저하되는 이점도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무한궤도 링크 연결용 부쉬와 핀을 기대의 상부에 설치한 고정판의 조립위치로 각각 공급하여 부쉬와 핀을 조립하고, 다음의 위치에서 그리스 주입을 행하는 부쉬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조립위치에 형성한 이동홀 주변에 부쉬와 핀의 정렬을 위해 안치홈이 형성된 제1받침블럭과 가이드블럭을 설치하여, 제1받침블럭의 일측에는 안치턱을 형성한 고정블럭과, 핀의 삽입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가이드블럭 타측에는 핀을 부쉬에 삽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된 유도대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대의 푸쉬로드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 및 역구동하는 실린더를 연결하여서 된 조립블럭부재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블럭의 공간과, 상기 가이드블럭 및 스토퍼의 공간에는 부쉬와 핀의 유무그리고, 핀의 도달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푸쉬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핀의 이동길이에 대하여 돌출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KR2020060024391U 2006-09-11 2006-09-11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KR200432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91U KR200432913Y1 (ko) 2006-09-11 2006-09-11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91U KR200432913Y1 (ko) 2006-09-11 2006-09-11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13Y1 true KR200432913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391U KR200432913Y1 (ko) 2006-09-11 2006-09-11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56B1 (ko) * 2012-10-31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무한궤도용 트랙링크 조립체 조립장치
WO2016098958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태왕 차세대 기술 마스터 핀 리무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56B1 (ko) * 2012-10-31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무한궤도용 트랙링크 조립체 조립장치
WO2016098958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태왕 차세대 기술 마스터 핀 리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832B1 (ko) 자동 나사 체결장치
CA25063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tubing into a well bore
KR200432913Y1 (ko)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 조립장치의 핀 삽입구조
US9283705B2 (en) Injection uni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A2445683C (en) Rail fastener driver with enhanced fastener positioning
CN105583353B (zh) 一种高精度起重链条校正机及其操作方法
KR20180067326A (ko)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원터치 볼트 윤활유 자동 분사장치
SU153890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цемента в буровую скважину дл креплени пород
US5515752A (en) Apparatus for tightening loosening a screw member for fastening a form
EP2511202B1 (de) Fertigungs- und/oder Montagevorrichtung, insbesondere Blisterbefüllvorrichtung
KR200433823Y1 (ko) 무한궤도 링크용 부쉬조립장치의 그리스주입구조
CN110788508B (zh) 一种煤炭矿机中部槽的焊接方法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KR100783098B1 (ko) 무한궤도의 링크연결용 부쉬의 그리스 주입방법 및 그 장치
CN209411215U (zh) 一种自动升降移载装置
KR200435613Y1 (ko) 무한궤도의 링크연결용 부쉬의 그리스 주입장치
CN101954576A (zh) 一种涨断连杆的拆卸装置
CN210524361U (zh) 一种铰链轴的装配工装
CN210510180U (zh) 一种可调节的链条张紧装置
CN220554976U (zh) 一种金属衬套压装装置
JP2007529331A (ja) ファスナ取り付け装置
KR102572941B1 (ko) 선단연결기 조립 장치
CN215556857U (zh) 一种新型棒料上料机
JP3011527B2 (ja) リンクベルト自動組立装置
CN211542511U (zh) 一种用于液压机的安全导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