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29Y1 -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29Y1
KR200432029Y1 KR2020060025126U KR20060025126U KR200432029Y1 KR 200432029 Y1 KR200432029 Y1 KR 200432029Y1 KR 2020060025126 U KR2020060025126 U KR 2020060025126U KR 20060025126 U KR20060025126 U KR 20060025126U KR 200432029 Y1 KR200432029 Y1 KR 200432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fety net
elevator hall
bodie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연
Original Assignee
(주)대진가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가설산업 filed Critical (주)대진가설산업
Priority to KR2020060025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 건물의 골조 공사시 엘리베이터 홀안에 설치되는 안전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 몸체(11)(12)의 내측 상하단과, 중앙의 폭 조절대(25) 좌우로 설치되는 좌우 연결대(21)(22) 및 세로지지대(30)를 상하에서 힌지축(40)으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좌우 몸체(11)(12)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3단 절첩되므로, 좌우 몸체를 전후방향으로 일체 형성함과 함께 3단 절첩함에 따라 견고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홀 전방의 개구부를 통한 설치 및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좌우 몸체로 안전망을 별도의 와이어로 엮는 방식을 배제하고 직접 엮어 설치하기 때문에 안전망 설치 작업성을 편리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신축건물,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절첩식, 3단

Description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Safety net frame for elevator hole}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힌지축 연결부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로서,
도 5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11,12: 몸체
21,22: 연결대 25: 폭조절대
26: 체결볼트 30: 세로지지대
35: 너트 40: 힌지축
50: 설치구 55: 와이어
본 고안은 신축 건물의 골조 공사시 엘리베이터 홀안에 설치되는 안전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 프레임을 접이식으로 구성하되, 상하방향은 일체 형성하고, 폭방향은 3단 접이식으로 형성하므로 견고성을 확보하면서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건물의 골조 공사시 엘리베이터 홀안에는 10m마다 1개씩 의 안전망을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는 실용신안등록 제150256호에서와 같이 파이프로 사각프레임을 형성하되, 상하 및 폭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길이를 상하 조절하며 나사 고정하도록 함과,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중앙을 지점으로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며 나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한 안전방 지지대는 길이 조절식이다.
이러한 안전망 지지대는 안전망을 설치한 상태로 엘리베이터홀의 전후길이보다는 길고 폭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로 길이 조절하여 셋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대 상단을 와이어로 묶어 상부 위치에서 메달리게 공급하여 하단을 별도의 고정부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를 서서히 낙하시켜 상기 안전망 지지대의 상단이 엘리베이터홀의 벽면에 상하로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전망 지지대는 지지대를 전체적으로 펼쳐진 상태로 엘리베이터홀에 삽입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였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홀은 내부공간이 2420mm×2420mm 정도로 지지대의 폭사이즈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홀 전방의 개구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1/2이 보다 작은 폭 사이즈인 1150mm 정도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대를 개구부로 엘리베이터홀에 삽입하여 설치함과 분리함에 매우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지대의 폭방향 중앙을 힌지 구조로 제공하여 좌우측을 양분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안전망 지지대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상기 지지대를 폭방향으로 양분되게 절첩한 구조의 경우에도 상기 엘리베이터홀 전방의 개구부가 엘리베이터홀 내부공간의 폭사이에 1/2 보다 작은 사이즈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양분되게 절첩되는 구조에 의해서는 개구부로 삽입하여 설치함과 분리함이 여전히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지지대는 안전망의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즉, 지지대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거나 폭방향으로 양분되게 구성하더라도 안전망을 끝단을 구멍을 엮어 끼는 작업이 곤란하여 별도의 와이어 지지대와 안전방을 상호 엮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지재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낙하물의 충격에 대한 견고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분할 형성하여 이를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게 연결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위가 낙하물의 충격에 파손되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대를 접이식으로 구성하되, 전후방향을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폭방향을 3단 접이식으로 형성하므로 견고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홀 전방의 개구부를 통한 설치 및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지지대를 폭방향으로 3단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안전망을 종래 별도의 와이어로 엮는 방식을 배제한 상태로 직접 엮어 설치하기 때문에 안전망 설치 작업성을 편리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홀에 경사 설치하되;
좌우 몸체의 내측 상하단과, 중앙의 폭 조절대 좌우로 설치되는 좌우 연결대 및 세로지지대를 상하에서 힌지축으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좌우 몸체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3단 절첩되는 안전망 지지대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 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좌우 몸체(11)(12)의 내측 상하단과, 중앙의 폭 조절대(25) 좌우로 설치되는 좌우 연결대(21)(22) 및 세로지지대(30)를 상하에서 힌지축(40)으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좌우 몸체(11)(12)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3단 절첩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폭 조절대(25)의 좌우로 설치된 좌우 연결대(21)(22)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체결볼트(25)를 풀어 좌우로 슬라이드 조절하며 간격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로지지대(30)의 상하단에는 너트(35)를 내 삽입 구성하여 상기 좌우 몸체(11)(12)와 좌우 연결대(21)(22)를 삽입 관통한 힌지축(40)의 나사부(41)를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40)이 결합되는 상기 좌우 몸체(11)(12)의 내측 상하단(11')(12')과 좌우 연결대(21)(22)의 양측단(21')(22')은 압착하여 힌지축(40)의 삽입 설치시 돌출됨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몸체(11)(12)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하부를 직경이 다른 파이프로 분할 형성하여 연결부위를 상호 삽입 연결하되, 상하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상호 용접하여 결합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 몸체(11)(12)의 용접부위를 상하로 형성하지 않는 것은 용 접열에 의해 상하 부분의 취약성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위치의 좌우 몸체(11)(12)나 좌우 연결대(21)(22)상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통상의 설치구(50)가 결합 구성되고, 상부에는 와이어(55)가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설치구(50)는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재(51)는 외측에서 체결하도록 구비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내측에서 체결하도록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대는 안전망(60)을 좌우 몸체(11)(12)에 직접 엮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20은 엘리베이터홀(11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지지대는 엘리베이터홀(110)의 폭 사이즈에 맞게 좌우 연결대(21)(22)를 폭 조절대(25)상에 폭 조절하며 조정한 상태로 체결볼트(26)로 체결하여 설치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지지대(10)는 도 4에서와 같이 좌우 몸체(11)(12)를 내측으로 접게 된다.
즉, 지지대(10)는 폭 방향으로 3단 절첩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0)는 엘리베이터홀(110)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20) 보다 작 은 폭사이즈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용이하게 엘리베이터홀(110)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홀(110) 내부로 삽입된 지지대(10)는 상부에서 와이어(55)를 메달아 잡은 상태에서 3단으로 절첩된 좌우 몸체(11)(12)를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펼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 하부를 통상의 설치구(50)로 콘트리트 구조물(100)상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0) 하부가 고정 설치되면, 상기 지지대(1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55)를 천천히 내려놓아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110) 상부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지지대가 일정 경사를 이루며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지지대(10)를 분리시에도 좌우 몸체(11)(12)를 내측으로 3단으로 접어 폭사이즈를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는 엘리베이터홀(110)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20) 보다 작은 폭사이즈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엘리베이터홀(110)내부에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은 지지대(10)의 좌우 몸체(11)(12)를 내측으로 3단으로 절첩하게 되면서 엘레베이터홀(110)의 전방의 개구부(120)의 폭 사이즈가 작게 형성되면서 삽입 설치 및 분리 시공을 간편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를 3단 구성하기 때문에 좌우 몸체(11)(12)의 폭 사이 즈가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안전망(60)을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로 엮어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망(60)을 직접 좌우 몸체(11)(12)에 삽입하며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망 지지대는 접이식으로 구성하되, 전후방향을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폭방향을 3단 접이식으로 형성하므로 견고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홀 전방의 개구부보다 작은 폭사이즈를 형성하여 삽입 설치 및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되고, 또한 상기 지지대의 좌우 몸체는 폭사이즈가 컴팩트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안전망을 종래 별도의 와이어로 엮는 방식을 배제한 상태로 직접 엮어 설치하여 안전망 설치 작업성을 편리하게 제공하는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홀에 경사 설치되는 안전망용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좌우 몸체(11)(12)의 내측 상하단과, 중앙의 폭 조절대(25)좌우로 설치되는 좌우 연결대(21)(22)를 상하에서 힌지축(40)으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좌우 몸체(11)(12)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3단 절첩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몸체(11)(12)의 내측에는 상하단에 너트(35)를 내 삽입한 세로지지대(30)를 설치구성하여 좌우 몸체(11)(12)의 내측 상하단과 좌우 연결대(21)(22)로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40)의 나사부(41)를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KR2020060025126U 2006-09-19 2006-09-19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KR200432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126U KR200432029Y1 (ko) 2006-09-19 2006-09-19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126U KR200432029Y1 (ko) 2006-09-19 2006-09-19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29Y1 true KR200432029Y1 (ko) 2006-11-28

Family

ID=4178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126U KR200432029Y1 (ko) 2006-09-19 2006-09-19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KR101519197B1 (ko) 2013-04-15 2015-05-11 김정화 엘리베이터 개구부 추락 방지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KR101519197B1 (ko) 2013-04-15 2015-05-11 김정화 엘리베이터 개구부 추락 방지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029Y1 (ko) 접이식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JP5188485B2 (ja) 位置決め部品および建具
ITPD20130086A1 (it) Tenda per esterni e procedimento per l'assemblaggio di detta tenda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EP2242890A1 (en) Interlock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JP4948992B2 (ja) 階段
US20110073410A1 (en) Swimming Pool Ladder With a Barrier
KR200484991Y1 (ko)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JP3180696U (ja) 手摺取付金具
KR200425987Y1 (ko) 어닝의 지주 및 수평지지대 고정구조
US20150192309A1 (en) Split air conditioner
KR200385595Y1 (ko)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KR100741313B1 (ko) 천정판 부착용 엠-바의 연결구
KR20230171717A (ko) 어닝 측면 차양장치
JP4923074B2 (ja) 軒樋支持具セット
KR200453529Y1 (ko) 관체 지지밴드의 조립구조
KR20080071048A (ko) 확장형 발코니의 낙하물방지망 설치용 브라켓 및 이브라켓을 이용한 낙하물방지망 설치 및 해체방법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0421271Y1 (ko) 정션박스 고정 구조
JP4648064B2 (ja) 空気調和機用屋根装置
JP2000160959A (ja) 開閉装置の開閉体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装置
JPH0329951Y2 (ko)
JP2004211344A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およびパネル建込み方法
JP3119523U (ja) 折畳み式テントフレーム
JP2008240330A (ja) 屋外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