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91Y1 -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91Y1
KR200484991Y1 KR2020170003572U KR20170003572U KR200484991Y1 KR 200484991 Y1 KR200484991 Y1 KR 200484991Y1 KR 2020170003572 U KR2020170003572 U KR 2020170003572U KR 20170003572 U KR20170003572 U KR 20170003572U KR 200484991 Y1 KR200484991 Y1 KR 200484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bracket
bar
ceilin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만 filed Critical 이영만
Priority to KR2020170003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로서, 건축물에 설치된 M바에 직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는 본체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M바를 따라 연장된 브라켓 판; 상기 본체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브라켓 판에 형성된 체결구; 상기 브라켓 판이 상기 M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 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일 면이 개방되어 천장형 선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일 면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AN}
본 고안은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탈부착이 간편한 체결 구조를 갖는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도 1a 및 도1b는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다. 종래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은 M바를 절단하고 천장에 앵커볼트를 추가로 설치하여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천장 마감재 안쪽으로 설치되거나(도 1a), M바에 직접 천장형 선풍기 박스대를 설치하고, 암수겸용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설치되고 있다(도 1b).
그러나 도 1a의 방식은 M바를 절단하고 앵커 볼트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b의 방식은 선풍기 유지 보수시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부유시키는 힘이 M바의 위로 향하기 때문에 M바가 위로 들려지는 문제가 있으며, 암수겸용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떼어낼 때 별도의 도구가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고리와 고리줄에 의해 선풍기 설치 구조물이 M바에 고정되므로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다시 제 위치로 설치하는 경우 고리줄이 천장 마감내 내부에서 엉키는 문제가 있으며(고리줄은 강성이 아니므로), 결국 다시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설치할 때에는 1인의 작업자가 암수겸용 볼트 너트를 조이는 동안 다른 적어도 1인의 작업자가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잡아주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3956호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1인의 작업자가 손쉽게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천장에서 떼었다가 다시 설치할 수 있고, 떼어진 구조물이 적정 높이에서 부유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천장현 선풍기 설치 구조물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은, 건축물에 설치된 M바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는 본체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M바를 따라 연장된 브라켓 판; 상기 본체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브라켓 판에 형성된 체결구; 상기 브라켓 판이 상기 M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 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일 면이 개방되어 천장형 선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일 면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행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행거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행거의 타단은 ㄱ 또는 ㄷ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로부터 체결 해제되면, 상기 행거의 타단은 상기 M바에 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은 2개 이고, 각 본체 고정 브라켓은 인접하는 2개의 M바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며,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줄어드는 제2 부분; 및 소정각도 위를 향해 휘어진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는 천장의 마감재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에 체결된 경우,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의 하면은 천장의 마감재와 나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인원의 작업자가 손쉽게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와 체결구를 통해 손쉽게 천장형 설치 구조물이 천장의 고정부분(M바)과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으며, 행거를 통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천장과 설치 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구조물을 약간 들어 올림으로써 행거가 다시 접히게 되고 작업자는 체결부재를 체결구에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줄어들어 인력 사용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추가적인 재료가 종래 구조물에 비하여 적으므로 재료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1b는 종래의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M바(10)에 본체 고정 브라켓(10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본체(200)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30)의 평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240)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8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동작모드 상태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동작모드 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은 건축물에 설치된 M바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는 본체 고정 브라켓(100)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
건축물은 집, 교실, 사무실, 카페 등 다양한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바(10)는 건축물에 고정되어 설치된 자재로서 천장 마감재(11)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M바(10)에 단위 천장 마감재(11)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천장 마감재(11)가 어레이를 형성하여 천장의 밑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체 고정 브라켓(100)은 M바(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 고정 브라켓(100)은 M바(10)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본체 고정 브라켓(100)은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M바(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체 고정 브라켓(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는 두 면이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절곡된 세 면(110,110',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일 면(브라켓 판, 110)은 M바(10)의 하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 면(110')은 M바(1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면(110'')은 M바(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면(110)은 브라켓 판(110)이라고 칭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체 고정 브라켓(100)은, M바(10)를 따라 연장된 브라켓 판(110), 본체(200)와 체결되기 위해 브라켓 판(110)에 형성된 체결구(120), 브라켓 판(110)이 M바(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브라켓 판(11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120)는 빈 구멍으로서, 체결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구(120)는 브라켓 판(1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브라켓 판(110)에 복수개 존재할 수도 있다.
돌출 구조(1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돌출 구조(130)의 높이는 천장 마감재(1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돌출 구조(130)는 브라켓 판(110)을 변형시켜 만들어지는 구조로서 브라켓 판(110)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구조(130)의 아래쪽은 브라켓 판(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 고정 브라켓(100)과 본체(200)가 체결시 더욱 강력히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구(140)를 통해 추가로 나사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200)를 본체 고정 브라켓(100)에서 떼어내고자 하는 경우 나사구(140)의 나사부터 제거해야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M바(10)에 본체 고정 브라켓(10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 구조(130)의 윗면과 M바(10)는 나사(x1)로 고정될 수 있다. 돌출 구조(130)의 높이는 천장 마감재(11)의 두께에 대응되기 때문에 천장 마감재의 밑면과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브라켓 판(110)의 밑면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일 면(110'')이 M바(10)의 윗면에 걸쳐질 수 있따. 그 결과 나사(x1)에의한 고정력 외에도 추가적인 고정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M바(10)는 건축물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본체(200)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체(200)는 하우징(210), 지지부(220) 및 체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일 면이 개방되어 천장형 선풍기가 수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하우징(210)의 하면이 개방면이다. 이 개방면을 통해 선풍기를 삽입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210)의 개방 면에 마주하는 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 캐비티(250)가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캐비티(250)는 선풍기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선풍기 고정 브라켓이 대부분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 크기 및 대형을 갖추어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일 면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된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220)는 하우징(210)의 측면과 수직이면서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이 정육면체 형태인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 면의 모서리를 두르는 소정 면적의 금속 판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30)는 지지부(22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30)는 지지부(220)에서 소정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체결 부재(230)는 작업자에 의해 본체 고정 브라켓(100)의 체결구(120)에 체결되고,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30)의 평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30)는 지지부(220)에 고정되는 지지부(220)에 고정되는 제1 부분(231), 지지부(220)로부터 이격되는 제2 부분(2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230)는 소정각도 위를 향해 휘어진 제3 부분(23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30)는 제 1부분(231)에서 제2 또는 3 부분(232, 233)으로 향할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체결부재(230)의 평면도는 직사각형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다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 또는 제3 부분 (232, 233)의 폭이 좁은 경우 체결구(120)에 쉽게 삽입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 부분(233)이 위를 향해 더 휘어짐으로써 체결부재(230)가 체결구(120)에 더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200)를 들어 체결부재(230)를 체결구(120)에 삽입시킴으로써 본체(200)와 본체 고정 브라켓(100)을 체결(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본체를 체결부재(230)의 제1 부분(231) 방향으로 밀어서 체결부재(230)가 체결구(120)에서 빠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200)가 본체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본체(200)는 행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240)는 하우징(2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행거(240)의 일단에 위치한 고정부(241)는 하우징(2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의 오른쪽 행거처럼 하우징(210)의 측면에 행거가 위치할 수 있으며 왼쪽의 행거처럼 하우징(210) 위로 행거가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되는 행거(240)가 본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260)가 하우징(210)의 측면 일 부분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행거(240)는 두 개 이상으로 하우징(210)의 두 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행거(240)는 본체(200)가 본체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체결 해제된 경우, M바(10)에 걸림으로써 본체(200)가 공중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240)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행거(240)의 일단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241)은 ㄱ 또는 ㄷ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ㄷ 형태로 절곡된 행거(240)가 나타난다. 타 단이 절곡된 행거(240)는 M바(10)의 상면에 위치함으로써 본체(200)가 행거(240)를 통해 M바(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가이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가이드(270)는 하우징(2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선 가이드(270)는 전선이 통과하는 홀이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은 리벳으로 하우징(21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이 형성된 부분은 하우징(210)의 겉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전선 가이드(270)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선 가이드(270)를 통해 정리된 전선을 손쉽게 천장형 선풍기에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은 천장형 선풍기를 설치하거나 보수할 때, 행거(240)를 통해 천장 마감재의 높이로부터 본체(200)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때문에 그 이격된 사이로 전선 작업등을 수행하고, 작업이 끝난 뒤 본체(200)를 위로 올려 체결부재(230)와 체결구(120)를 체결시킴으로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동작모드 상태이고, 도 9a 내지 9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1000)의 동작모드 상태이다.
우선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동작모드 시, 본체(200)는 본체 고정 브라켓(100)과 체결부재(230)-체결구(1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행거(240)는 접힌 상태가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a 내지 도 8c 또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가이드는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세로측의 일면에 전선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고, 가로측의 다른 일 면은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은 납땜 또는 리벳으로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 내지 도9c를 참조하면 보수모드 시, 본체(200)를 간단히 한쪽으로 밀어 (체결부재(230)가 체결구(120)를 빠져나옴으로써) 본체(200)를 본체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떼어진 본체(200)를 아래로 서서히 내리면 본체(200)의 접힌 행거(240)가 주변 장애물(M바 또는 본체 고정 브라켓)에 걸림으로써 자연스럽게 펼쳐져 위를 향하게 되며, 결국 행거(240)의 절곡된 단부가 M바(10)에 걸쳐짐으로써 본체(200)가 행거(240)에의해 부유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본체를 위로 올린다. 본체(200)가 위로 올라감으로써 행거(240)의 절곡된 단부가 M바(10) 위로 올라가게되며 결국 행거(240)는 다시 접힌다. 만일 접혀지지 않는다면 작업자가 본체(200)를 가볍게 흔들거나 도구로 간단히 행거(240)를 밀어 접히게 할 수 있다. 작업자는 행거(240)가 접힌 본체(200)를 더 올려 체결부재(230)가 체결구(120)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체는 다시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100 : 본체 고정 브라켓 200 : 본체
110 : 브라켓 판 210 : 하우징
120 : 체결구 220 : 지지부
130 : 돌출 구조 230 : 체결부재
140 : 나사구 240 : 행거

Claims (5)

  1.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로서,
    건축물에 설치된 M바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고정되는 본체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M바를 따라 연장된 브라켓 판;
    상기 본체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브라켓 판에 형성된 체결구;
    상기 브라켓 판이 상기 M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 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일 면이 개방되어 천장형 선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일 면의 모서리로부터 확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행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행거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행거의 타단은 ㄱ 또는 ㄷ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로부터 체결 해제되면, 상기 행거의 타단은 상기 M바에 걸리고,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은 2개 이고,
    각 본체 고정 브라켓은 인접하는 2개의 M바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며,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줄어드는 제2 부분; 및 소정각도 위를 향해 휘어진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조는 천장의 마감재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에 체결된 경우,
    상기 본체 고정 브라켓의 하면은 천장의 마감재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KR2020170003572U 2017-07-10 2017-07-10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KR200484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2U KR200484991Y1 (ko) 2017-07-10 2017-07-10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2U KR200484991Y1 (ko) 2017-07-10 2017-07-10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91Y1 true KR200484991Y1 (ko) 2017-11-16

Family

ID=6048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72U KR200484991Y1 (ko) 2017-07-10 2017-07-10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913A (ko) 2019-12-12 2021-06-22 한경환 천장형 선풍기 설치 브래킷
US11939992B1 (en) * 2019-06-21 2024-03-26 Delta T, Llc Direct mounting system for ceiling fa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956A (ko) 2002-11-20 2004-05-27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표면 처리 장치
KR200443956Y1 (ko) * 2007-10-02 2009-04-01 강명주 천장형 선풍기 박스대
KR200462071Y1 (ko) * 2011-11-15 2012-08-23 코람이엘(주)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행거 구조물
KR20120006115U (ko) * 2011-02-23 2012-08-31 자화전자 주식회사 천장 매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338915B1 (ko) * 2012-06-13 2013-1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체결이 용이한 커버를 갖는 매입형 조명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956A (ko) 2002-11-20 2004-05-27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표면 처리 장치
KR200443956Y1 (ko) * 2007-10-02 2009-04-01 강명주 천장형 선풍기 박스대
KR20120006115U (ko) * 2011-02-23 2012-08-31 자화전자 주식회사 천장 매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62071Y1 (ko) * 2011-11-15 2012-08-23 코람이엘(주)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행거 구조물
KR101338915B1 (ko) * 2012-06-13 2013-1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체결이 용이한 커버를 갖는 매입형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992B1 (en) * 2019-06-21 2024-03-26 Delta T, Llc Direct mounting system for ceiling fans
KR20210074913A (ko) 2019-12-12 2021-06-22 한경환 천장형 선풍기 설치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024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太陽電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A2507828C (en) Accessible ceiling grid system
EP3287712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water heater
KR200484991Y1 (ko) 천장형 선풍기 설치 구조물
CA2863671A1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solar panel
EP1355019B1 (en) Awning installing device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EP3721966B1 (en) Wall mounting system
EP1898016B1 (en) Suspended ceiling with downwardly pivotable panels
JP6253549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シャッターケース構造
US7387287B2 (en) Perforated section supporting device adapted to be fixed to a surface such as a ceiling
JP6430808B2 (ja) フェンス
KR102209590B1 (ko) 지지철물
JP6635416B2 (ja) レール支持用ブラケット、レール装置およびアウトセット戸装置
KR200293493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JP6857037B2 (ja) 構造体
KR200345761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JP6205178B2 (ja)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JPH10205804A (ja) 空気調和機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JP5988354B2 (ja) 屋根体の取付方法及び屋根構造体
JP3865446B2 (ja) 屋根パネルの吊り具,吊り具付き屋根パネル及び該屋根パネルの施工方法
JP200524929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