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95Y1 -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 Google Patents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95Y1
KR200385595Y1 KR20-2005-0007634U KR20050007634U KR200385595Y1 KR 200385595 Y1 KR200385595 Y1 KR 200385595Y1 KR 20050007634 U KR20050007634 U KR 20050007634U KR 200385595 Y1 KR200385595 Y1 KR 200385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grate
window
security window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현 윤
Original Assignee
경 현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현 윤 filed Critical 경 현 윤
Priority to KR20-2005-0007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범창 창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창살의 외부에 교체할 수 있는 보강대를 끼워 이중구조를 취하도록 한 것으로서, 방범 창살이 쉽게 휘어지지 않아 안전하고, 흔들림과 유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없으며, 보강대의 교체가 용이함으로 주거환경 따라 조화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The window to protect home}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범창 창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창살의 외측에 교체할 수 있는 보강대를 끼워 이중구조를 취하도록 한 것으로서, 방범 창살이 쉽게 휘어지지 않아 안전하고, 흔들림과 유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없으며, 보강대의 교체가 용이함으로 주거환경 따라 조화롭게 설치할 수 있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외부에서 사람이 들어올 수 없도록 일정 간격의 창살(30)을 창틀(11) 내에 배열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것으로서, 창문(1)의 외 측에 고정된 고정형과 일측 록킹장치를 개방하면 방범창이 회동하여 열리는 회동형 방범창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범창들은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구를 사용하거나 일정 힘 이상을 가할 때 창살이 양측으로 벌려져 외부 침입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등의 사례가 빈번하였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굵은 봉을 창살로 사용하여 방범의 기능을 한층 높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 같은 방범창은 디자인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범의 기능만을 고려한 것으로, 사용자가 실내에서 볼 때 같혀있는 듯한 기분이 들어 답답함을 느낄 수 있고, 용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미관상 보기 안 좋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범창 창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창살의 외부에 교체할 수 있는 보강대를 끼워 이중구조를 취하도록 한 것으로서, 방범 창살이 쉽게 휘어지지 않아 안전하고, 흔들림과 유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없으며, 보강대의 교체가 용이함으로 주거환경에 따라 조화롭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아울러 전체 결합구조가 결함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창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창살로 구성된 방범창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가로바(12)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 가로바(12)의 양단과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상·하부를 갖는 세로바(20)로 구성돤 창틀(11)과;
상기 상·하부 가로바(12) 사이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12)의 외측에 교체 가능한 보강대(40)가 끼워져 구비된 창살(3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세로바와 모기장 결합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체결된 상태에서 모기장이 패킹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에 보강대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가로바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에 보강대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준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세로바의 평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10)은 상·하부에 위치한 가로바(12)의 양측과 좌·우측에 위치한 세로바(20)의 상·하부 양측을 대응시켜 사각으로 연결한 창틀(11)과, 상기 창틀(11)의 내부에 보강대(40)가 끼워진 창살(30)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구성한다.
상기 방범창(10)은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가로바(12)와 세로바(20) 및 창살(30)과 보강대(40)가 나사결합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가로바(12)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빔 형상으로, 창틀(11)의 외측과 내측에 외측바(13)와 내측바(15)로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된다.
상기 외측바(13)는 암걸림턱(14)을 창틀(11)의 공간부(11a)측 방향 일면에 구비하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내부 일측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나사결합공(60)이 구비된다.
또한, 내측바(15)는 외측바(13)의 암걸림턱(14)과 대응되게 슬라이드 결합되되는 수걸림턱(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창틀(11)의 전면에 해당하는 일면에 모기장의 끝단부를 끼워넣고 패킹(9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제 1 결합홈(17)이 있고, 내부 일측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사결합공(6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암걸림턱(14)은 창틀(11)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된 일면의 양측단을 각각 내측으로 꺾어 수걸림턱(16)이 대응되게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걸림턱(16)은 암걸림턱(14)과 대응되게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일면의 양측 단을 각각 외측으로 꺾어 구비된다.
상기 제 1 결합홈(17)은 창틀(11)의 전면 즉, 모기장(80)을 끼워 넣는 창틀(11)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내측바(15)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와 넓이로 길이방향 연장된 홈을 이루고있다.
한편, 상기 세로바(20)는 가로바(12)와 동일하게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사각 빔 형상이지만, 가로바(12)와 세로바(20)를 각기 다른 빔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원형 및 다각 형상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제작의 용이성과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사각 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바(20)는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 가로바(12)의 좌·우측 양단에 세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로바(12)의 양단 즉, 세로바(20)와 가로바(12)의 사이에 모기장(8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모기장 결합구(7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상·하부 양측을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가로바(12)의 양 측단과 대응되게 체결하여 사각 형상의 창틀(11)를 구성 한다.
또한, 상기 세로바(20)의 상하부 양측 즉, 외부에서 내부로 통공된 공구삽입공(21)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내부 세로바(20)의 통공부를 지나 타단 벽면으로 동일 선상에 있는 나사결합공(60)이 상기 가로바(12)의 내외측바(13,15)의 양측 끝단에 구비된 나사결합공(60)과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즉, 세로바(2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 공구삽입공(21)을 통해 드라이버나 전동공구의 머리부를 삽입시켜 나사(50)를 끼워넣은 후 동일 선상에 있는 타단부의 나사결합공(60)에 나사(50)를 끼워 통과시키면, 통과퇸 나사(50)의 끝부가 가로바(12)를 구성하는 외측바(15)와 내측바(13)의 양측 나사결합공(60)에 끼워져 가로바(12)와 세로바(20)가 연결된다.
모기장 결합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11)의 공간부(11a)측 가로바(12)의 일면에 부착되며, 가로바(12)를 통해 들어온 공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공구삽입공(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창틀(11)의 내부 측에 해당하는 가로바(12)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부착하는 것으로서, 창틀(11)의 전면부로 제 1 결합홈(17)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결합홈(17)은 모기장 결합구(70)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와 넓이의 홈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모기장(80)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 넣고 패킹(90)을 끼워 고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내측바(15)의 일면에 구비된 제 1 결합홈(17)에 모기장(80)의 상· 하부 단부를 끼워넣고, 세로바(20)의 일면에 구비된 모기장 결합구(70)의 일측 제 2 결합홈(71)에 모기장(80)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넣은 후, 여기에 패킹(90)을 끼워 고정하면 패킹(90)의 착탈에 의해 모기장(80)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하부에 위치한 가로바(12)의 양 측부를 좌·우측에 위치한 세로바(20)의 상·하부 양측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연결하면, 내부가 통공된 사각 형태의 창틀(11)가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보강대(40)가 끼워진 창살(30)이 설치된다.
상기 창살(30)은 사각 빔 형상으로 창틀(11)과 동일하게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며, 그 상·하부 끝단 부는 창틀(11)의 상하 부에 위치한 가로바(12)의 내측바(15)와 체결하여 고정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창살(30) 외측에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동일한 형상의 보강대(40)를 고정하기 위해 소정 위치에 나사결합공(60)을 두 개 또는 다수 개 구비한다.
즉, 창살(30)의 내부 길이방향측 중앙에는 나사결합공(60)이 구비되어 있어, 그 나사결합공(60)이 구비된 양 측단을 상·하부에 있는 가로바(12)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후 그 단부를 상기 가로바(12)의 내측에 위치한 내측바(15)의 나사결합공(60)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위치시킨다.
그 후, 내측바(15)의 외부 측에서 나사(50)를 나사결합공(60)을 통해 끼운 후 내측바(15)를 관통한 나사(50)의 끝부가 창살(30)의 일단부에 구비된 나사결합공(60)에 끼워져 창살(30)의 상·하 단부가 동일하게 상·하부 가로바(12)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보강대(40)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내부를 갖으며, 길이방향 일측면 상·하부에 나사결합공(60)을 구비하고 있어, 상술한 창살(30)의 일측면에 구비된 두 개 또는 다수 개의 나사결합공(60)과 동일 위치로 맞춘 후 나사(50)를 끼워 보강대(40)를 창살(30)의 외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작자가 제작할 경우 창살(30)의 일측부로 부터 동일한 형상의 보강대(40)를 끼워 넣은 후 나사(50)를 이용해 보강대(40)의 일측 나사결합공(60)으로 나사(50)를 끼워 창살(30)에 구비된 나사결합공(60)과 일치시켜 끼워 넣으면, 보강대(40)가 창살(3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 후, 창살(30)의 상·하 단부를 가로바(12)의 내측 즉, 창틀(11)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바(15)의 나사결합공(60)에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내측바(15)의 외부로부터 나사(50)를 끼워 통과된 나사(50)를 끝 부를 창살(30)의 일 측 단에 구비된 나사결합공(60)에 끼워 넣고, 그 하부도 역시 상부와 동일하게 하부에 있는 내측바(15)에 고정한다.
그리고 창살(30)이 고정된 내측바(15)의 외부측 수걸림턱(16)의 일측 끝단부로 부터 이와 대응되는, 단부를 갖는 외측바(13)의 암걸림턱(14)을 밀어 넣어 슬라이드 결합시켜 체결하는 것으로서, 하부에 있는 가로바(12) 역시 상부 가로바(12)와 같이 동일하게 체결한다.
이때, 가로바(12)와 이에 다수개의 창살(3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한 후, 상·하부에 위치한 가로바(12)의 양측과 세로바(20)의 상·하부 양측에 있는 나사결합공(60)을 일치시키고, 외부로부터 세로바(20)의 공구삽입공(21)을 통해 나사결합공(60)을 통과시켜 가로바(12)의 양측에 있는 나사결합공(60)에 나사(50)를 끼워 고정한다.
이와 반대로, 방범창(10)을 분리할 경우 상·하부 가로바(12)의 좌·우 양측에 나사(50)로 체결되어있는 세로바(20)를 분리한 후 가로바(12)의 외부측에 있는 외측바(13)의 암걸림턱(14)을 내측에 있는 수걸림턱(16)이 있는 내측바(15)로 부터 슬라이드 시켜 빼낸다.
이 후, 가로바(12)의 내측에 있는 내측바(15)의 통공부 나사(50)를 풀러 상하부 내측바(15)의 내측에 고정된 창살(30)의 양끝단을 가로바(12)로 부터 분리하고, 창살(30)의 외부에 끼워진 보강대(40)의 일면에 나사(50)를 풀어 보강대(40)를 창살(30)로 부터 빼내면 방범창(10)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창틀(11)의 상·하부측 가로바(12)와 그 내측에 창살(30)을 견고히 고정 가능하고,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방범창(10)이 완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창살에 외측바를 끼워 이중구조를 취하므로 창살의 휨이 방지되고, 나사결합구조로 체결과 분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결합부의 노출이 없고,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미려하며, 흔들림과 유동이 없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세로바와 모기장 결합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체결된 상태에서 모기장이 패킹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에 보강대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가로바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창살에 보강대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준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의 세로바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범창 11 - 창틀
11a - 공간부 12 - 가로바
13 - 외측바 14 - 암걸림턱
15 - 내측바 16 - 수걸림턱
17 - 제 1 결합홈 20 - 세로바
21 - 공구삽입공 30 - 창살
40 - 보강대 50 - 나사
60 - 나사결합공 70 - 모기장 결합구
71 - 제 결합공 80 - 모기장
90 - 패킹

Claims (7)

  1. 창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창살로 구성된 방범창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가로바(12)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 가로바(12)의 양단과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상·하부를 갖는 세로바(20)로 구성돤 창틀(11)과;
    상기 상·하부 가로바(12) 사이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12)의 외측에 교체 가능한 보강대(40)가 끼워져 구비된 창살(3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2)는,
    창틀(11)내의 공간부(11a)측 일면에 구비되며, 소정길이 연장된 양측 단을 각각 내측으로 꺾은 암걸림턱(14)을 구비한 외측바(13)와;
    상기 암걸림턱(14)과 대응되게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일면의 양측단을 각각 외측으로 꺾은 수걸림턱(16)을 구비한 내측바(1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1)에 구비된 세로바(20)는,
    창틀(11)내의 공간부(11a)측 일면에 구비되며, 모기장(80)의 끝 단부를 끼워넣고 패킹(9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제 2 결합홈(71)을 구비한 모기장 결합구(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살(30)은,
    길이방향 일면에 다수개의 나사결합공(60)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대(40)는,
    창살(30)의 나사결합공(60)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60)을 구비하여 나사(50)에 의해 창살(30)로 부터 보강대(40)가 체결 및 분리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15)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모기장(80)의 끝단부를 끼워넣고 패킹(9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와 넓이를 갖는 홈 형상의 제 1 결합홈(17)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6. 제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15)는,
    창틀(11)의 외 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된 나사결합공(60)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나사결합공(6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진 나사(50)에 의해 창살(30)의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40)는,
    사각 또는 다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방범창.
KR20-2005-0007634U 2005-03-21 2005-03-21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KR200385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34U KR200385595Y1 (ko) 2005-03-21 2005-03-21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34U KR200385595Y1 (ko) 2005-03-21 2005-03-21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95Y1 true KR200385595Y1 (ko) 2005-05-31

Family

ID=4368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34U KR200385595Y1 (ko) 2005-03-21 2005-03-21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99B1 (ko) 2012-07-19 2013-11-01 조병식 방범창의 설치구조
KR101495718B1 (ko) * 2012-09-10 2015-02-25 안기풍 수지재 창살이 결합된 방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99B1 (ko) 2012-07-19 2013-11-01 조병식 방범창의 설치구조
KR101495718B1 (ko) * 2012-09-10 2015-02-25 안기풍 수지재 창살이 결합된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7763A1 (en) Restriction mechanism for curtain assembly
ES2793973T3 (es) Conector esquinero para elementos de perfil en forma de barra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KR200385595Y1 (ko)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KR20210000838U (ko) 가변형 방범창
JP4914161B2 (ja) 縦桟の取付け構造
KR200418365Y1 (ko) 파티션 패널의 고정구조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101061713B1 (ko) 천장판의 고정 구조
KR100750806B1 (ko) 방범창
KR200446157Y1 (ko) 조립 분해식 방범 및 방호창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JP6857037B2 (ja) 構造体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JP4013879B2 (ja) 棚付き間仕切パネル
KR200238316Y1 (ko) 경제적 견고성을 갖는 방범창 창살
KR20130114878A (ko) 방범 및 방충 창호
CN208550443U (zh) 一种储物柜
KR20030044944A (ko) 철책
JP4632251B2 (ja)
KR200393561Y1 (ko) 복합 기능창
JP4493430B2 (ja) 面格子取付構造
JP6353805B2 (ja) 門柱およびサイディング塀
JP4048493B2 (ja) 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