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670Y1 -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670Y1
KR200431670Y1 KR2020060024010U KR20060024010U KR200431670Y1 KR 200431670 Y1 KR200431670 Y1 KR 200431670Y1 KR 2020060024010 U KR2020060024010 U KR 2020060024010U KR 20060024010 U KR20060024010 U KR 20060024010U KR 200431670 Y1 KR200431670 Y1 KR 20043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dy
plate
finger
nu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명수
권용호
Original Assignee
함명수
권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명수, 권용호 filed Critical 함명수
Priority to KR2020060024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6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교호로 배치된 핑거들을 각각 구비하여 교량상판의 이음매에 갭(gap)을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와; 앵커매립부 각각에서 채움재로 매립 고정되며, 외측방으로 분기 연장되는 철근지지편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그 상면이 앵커매립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앵커체와; 상기 앵커체와 이에 상응하는 핑거플레이트 사이에서 개재되는 한 쌍의 덧댐판과; 핑거플레이트 및 덧댐판을 관통한 후 상기 앵커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체 및 덧댐판에 체결하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는, 상기 철근지지편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져 지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가 덧댐판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교량, 상판, 연결, 신축, 핑거, 앵커, 볼트, 너트

Description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flexible connect apparatus for brid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핑거플레이트 12 : 핑거
14 : 요홈 20 : 앵커체
26 : 절개홈 30 : 덧댐판
40 : 체결볼트 42 : 렌치홈
44 : 너트 50 : 방수씰
본 고안은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간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신축률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 상판에 서 고정수단의 조임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설치 및 보수작업이 편리한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의 교량상판(슬래브)은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상판끼리는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이격시켜 주게 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핑거조인트와 같은 신축연결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교량상판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8314호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20-0358314호를 살펴보면, 앵커매립부를 단부에 갖는 교량상판(100)의 이음매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교량상판(100)을 신축이음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용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있어서, 서로 교호로 배치된 핑거(12)들을 각각 구비하여 교량상판(100)의 이음매에 갭(gap)을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와; 앵커매립부(102) 각각에서 채움재(104)로 매립 고정되며, 그 상면이 앵커매립부(10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앵커체(20)와; 앵커체(20)와 이에 상응하는 핑거플레이트(10) 사이에서 개재되는 한 쌍의 덧댐판(30)과; 핑거플레이트(10) 및 덧댐판(30)을 관통한 후 상기 앵커체(2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상기 앵커체(20) 및 덧댐판(3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체결볼트를 앵커체에 나사결합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앵커체의 두께가 얇은 이유로 체결볼트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의 두께가 얇을 수 밖에 없어 과도한 조임조작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체결볼트의 결합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종래 신축연결장치는 그 상면에 형성된 그루빙이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되는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주행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결볼트의 하부에 너트를 구비하고, 앵커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를 고정시킬 수 있어, 체결볼트의 결합시 너트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더라도 체결볼트의 조임조작이 가능하므로, 체결볼트의 결합조작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교호로 배치된 핑거들을 각각 구비하여 교량상판의 이음매에 갭(gap)을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와; 앵커매립부 각각에서 채움재로 매립 고정되며, 외측방으로 분기 연장되는 철근지지편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그 상면이 앵커매립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앵커체와; 상기 앵커체와 이에 상응하는 핑거플레이트 사이에서 개재되는 한 쌍의 덧댐판과; 핑거플레이트 및 덧댐판을 관 통한 후 상기 앵커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체 및 덧댐판에 체결하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는, 상기 철근지지편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져 지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가 덧댐판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대한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A)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교호되게 배치된 핑거(12)들을 각각 구비하여 교량상판(100)의 이음매에 갭(gap)을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와; 앵커매립부(102) 각각에서 채움재(104)로 매립 고정되며, 그 상면이 앵커매립부(10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앵커체(20)와; 상기 앵커체(20)와 이에 상응하는 핑거플레이트(10) 사이에서 개재되는 한 쌍의 덧댐판(30)과; 핑거플레이트(10) 및 덧댐판(30)을 관통한 후 상기 앵커체(20)에 고정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상기 앵커체(20) 및 덧댐판(3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볼트(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앵커체(20)는, 일단부에는 외측방으로 분기 연장되는 2조 1세트의 철근지지편(22a, 22b)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지지편(22a, 22b) 사이에 하나의 철근끼움공(24)이 구획형성된다.
또한, 앵커체(20)의 타단부 상부측에는 상기 체결볼트(40)와 결합되는 너트(44)가 끼워져 결합되는 절개홈(26)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가 덧댐판(30)에 용착된다.
절개홈(26)은 앵커체(20)의 타단부 상단을 대략 " ┘ "자 형상으로 절개시켜 형성된 것이며, 너트(44)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홈(26)은 상기 너트(44)의 외경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너트(44)는 절개홈(26)에 삽입된 채 회전되지 않아야 하므로 외면이 각이진 형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너트가 적절하다.
또한, 핑거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되는 요홈(14)이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를 촉진하고, 슬립(slip)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술한 체결볼트(40)는 핑거플레이트(10)의 통공(15)과, 덧댐판(30)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핑거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통공(15)에 머리부를 매입시키고,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는 렌치 홈(42)이 마련된 접시머리형 볼트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가 자체 핑거(12)들의 교호 맞물림에 의해 신축이음을 위한 갭을 형성하고,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에 덧댐판(30)을 설치하되, 덧댐판(30)과 핑거플레이트(10) 사이에 방수씰(50)을 개재한다.
여기서, 상기 덧댐판(30)의 외면에는 미리 앵커체(20)가 용접에 의해 용착된 상태이며, 앵커체(20)의 용착부위는 덧댐판(30)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과 일치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덧댐판(30)의 체결공의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하부측에는 앵커체(20)의 절개홈(26)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전술했듯이 핑거플레이트(10)의 통공(15)과, 덧댐판(3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볼트(40)를 삽입하며, 앵커체(20)의 절개홈(26)에는 너트(44)를 끼워 넣은 후 상기 체결볼트(40)와 너트(44)의 나사결합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연결장치(A)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렇게 결합된 신축연결장치(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교량상판(101,102)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시키게 된다.
즉, 앵커체(20)를 무수축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채움재(104)에 의해 매립시킴으로써 핑거플레이트(10)를 고정시킨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볼트(40)의 결합력이 느슨해져 핑거플레이트(10)가 들뜨게 되어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교량상판(101,102) 위에서 체결볼트(40)의 머리부에 마련된 렌치홈(42)에 렌치를 결합시켜 조여주기만 하면, 너트(44)는 이미 앵커체(20)의 절개홈(26)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공회전이 방지되어 체결볼트의 조임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앵커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너트를 고정시킬 수 있어, 체결볼트의 결합시 하부의 너트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더라도 체결볼트의 조임조작이 가능하므로,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핑거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된 요홈이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하므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차량을 보호하고, 제품의 내구성도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로 교호로 배치된 핑거들을 각각 구비하여 교량상판의 이음매에 갭(gap)을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와; 앵커매립부 각각에서 채움재로 매립 고정되며, 외측방으로 분기 연장되는 철근지지편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그 상면이 앵커매립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앵커체와; 상기 앵커체와 이에 상응하는 핑거플레이트 사이에서 개재되는 한 쌍의 덧댐판과; 핑거플레이트 및 덧댐판을 관통한 후 상기 앵커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체 및 덧댐판에 체결하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는, 상기 철근지지편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져 지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가 덧댐판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 ┘ "자 형상이며, 상기 너트의 외경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되는 요홈이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육각렌치홈을 갖는 접시머리형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외면이 각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KR2020060024010U 2006-09-06 2006-09-06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KR20043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10U KR200431670Y1 (ko) 2006-09-06 2006-09-06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10U KR200431670Y1 (ko) 2006-09-06 2006-09-06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670Y1 true KR200431670Y1 (ko) 2006-11-24

Family

ID=4178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010U KR200431670Y1 (ko) 2006-09-06 2006-09-06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70B1 (ko) * 2008-03-25 2010-11-09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70B1 (ko) * 2008-03-25 2010-11-09 진형건설(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763B2 (ja) 主桁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合成構造
KR101129488B1 (ko)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KR1012361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JP4421647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
KR100841264B1 (ko)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200431670Y1 (ko) 교량상판의 신축연결장치
JP6181960B2 (ja) 縦目地伸縮装置
RU2725438C2 (ru) Переходная структура, перекры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стык
KR101720211B1 (ko) 교량의 측방향 하중 지지형 신축 이음 장치
JP4394703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JP5784663B2 (ja) 伸縮装置およびその設置用治具
JP3022514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板体の取り付け方法
JPH0913302A (ja) 直結まくら木の設置構造および直結まくら木の設置方法
JP6908323B2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橋梁用伸縮装置
KR20210019264A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200272166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JP4686020B2 (ja) 屋根補修工法
KR200184726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808444B1 (ko)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CN201962601U (zh) 用于桥梁建筑的立体伸缩装置
JP64632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連結構造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3799154B2 (ja) 型枠材の連結構造
JP2018003586A (ja) 取付補助具及び伸縮装置
JPH03128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