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18Y1 -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 Google Patents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18Y1
KR200431018Y1 KR2020060018841U KR20060018841U KR200431018Y1 KR 200431018 Y1 KR200431018 Y1 KR 200431018Y1 KR 2020060018841 U KR2020060018841 U KR 2020060018841U KR 20060018841 U KR20060018841 U KR 20060018841U KR 200431018 Y1 KR200431018 Y1 KR 200431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ilt
pole
power pol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근
안기현
Original Assignee
박완근
안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근, 안기현 filed Critical 박완근
Priority to KR2020060018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3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of the tubular type, i.e. for indicating the level in one direction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봇대는 몸체의 길이방향상의 일 부위에 몸체의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센서는 2미터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며, 수포센서나 기타 기계적, 전기적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봇대가 기울어진 경우 그 기울기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일반인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위험한 전봇대 발견시 일반인이 이를 용이하게 신고할 수 있다.
전봇대, 기울기, 쓰러짐, 센서

Description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Electrical fence equipped with sensors for gauging tilt thereof}
도 1 및 도 2 는 실제로 기울어진 전봇대를 촬상한 사진.
도 3 및 도 4 는 기울어짐이 심하여 쓰러진 실제 전봇대를 촬상한 사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봇대의 측면도.
도 6 은 도 5 의 센서의 확대도.
도 7 은 도 5 의 상면도.
도 8 및 도 9 는 본 고안에 따라 전봇대 몸체에 설치되는 센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몸체의 기울어짐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여 쓰러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봇대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전화선 또는 통신망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전봇대(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봇대"라는 용어는 전선은 물론이고 전화선이나 통신망 등이 설치되기 위하여 마련된 구조물을 칭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는 그 하부가 지면에 묻힌 기립 상태의 바아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전봇대는 오랜 시간동안 설치 상태가 계속됨에 따라 우천이나 바람 또는 지반의 침하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진 상태가 심한 경우에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봇대 자체가 지면에 쓰러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사고 발생시에는 전기 공급의 중단이나 통신망의 파손은 물론이고 전봇대 주변에 놓여진 구조물이나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봇대가 일정 이상 기울어진 상태가 발견되는 경우 그 기울어진 정도가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일반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이 기울어진 전봇대를 발견하는 경우에도 이를 목격한 일반인은 기울어진 전봇대의 발견 사실을 신고할 곳을 알지 못하므로 무관심하게 지나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울어진 전봇대 발견시 신고할 곳을 쉽게 알려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봇대가 기울어진 경우 그 기울기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일반인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위험한 전봇대 발견시 이를 신고할 수 있는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전봇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봇대는 몸체의 길이방향상의 일 부위에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몸체의 지면으로부터 1.5 내지 2.5 미터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측정 기울기가 소정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위험을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표지 및/또는 위험 상태에 대한 신고처에 관한 정보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센서상의 일 부위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 또는 알람신호를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또는 일반인이 수작업으로 소정의 기관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봇대의 측면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센서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보대는 기립 상태로 지면(G)에 하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20)는 몸체(10)의 길이방향상의 대략 1.5 내지 2.5 미터의 높이에 설치되며,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2 미터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20)의 높이는 일반인이 시각적으로 인지할 때 가장 적절한 높이임과 동시에, 키가 작은 어린이도 센서(20)의 시각적 조회가 가능함과 동시에 어린이들의 손에 닿지 않아 장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이다. 센서(20)는 몸체(10)가 지면상에서 수직 방향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여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센서(20)는 판넬(25)상에 표시되어 기울기의 눈금표시를 제공하는 눈금판(27), 및 눈금판(27)이 표시된 판넬(25)상에서 회동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된 지침(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10)가 기울어지는 경우 몸체(10)에 부착되어 있는 판넬(25) 자체가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방을 가리키고 있는 지침(21)이 눈금판(27)상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짐 각도를 가리키게 된다.
이때, 눈금판(27)상의 일정 각도 이상인 지점(예컨대 20°이상인 지점)은 눈금과 숫자가 붉은색 등으로 기재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이 해당 각도 이상이면 위험하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몸체(10)의 기울기가 위험 상태에 이른 경우 이를 신고할 수 있는 신고처에 관한 정보를 몸체(10) 또는 센서(20)상의 일 부위에 표시하여 둘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눈금이 빨간색을 향하면 XXX-XXXX 로 전화하여 주세요." 라는 문구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센서(20)는 일 방향상의 기울기의 측정만 가능한 센서이다. 즉, 이 센서(20)는 눈금판(27)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는 기울기의 측정이 가능하다 판면에 법선 방향으로 몸체(10)가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는 기울기가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 방향상의 기울기만을 측정하는 센서(2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7 과 같이 몸체(10)의 둘레방향상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 복수의 센서(2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측정하지 못하는 방향의 기울어짐도 다른 센서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센서는 기울어진 방향과 무관하게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 는 이와 같은 센서의 일 예로서 수포센서(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은 수포센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상면도이다.
수포센서(30)는 물이나 기름 또는 부동액과 같은 액체를 케이스(31) 내에 기밀적으로 폐쇄하여 수용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케이스(31) 내의 액체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수포(33)가 형성되어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포(33)가 수포센서(30) 내의 상부(도 9 에서는 중앙부)에 위치된 경우에는 기울어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포(33)가 수포센서(30) 내의 상부(또는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그 벗어난 정도에 따라 기울기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몸체(10)에 이러한 수포센서(30)가 설치된 상태에서 몸체(10)가 기울어지면 수포센서(30)의 수포(33)의 위치를 통해 이를 알 수 있으며, 이때, 수포센서(30)에는 소정 위치에 경고표시선(35)이 표시되어 있어, 수포(33)의 위치가 경고표시선(35)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몸체(10)의 기울기가 위험 수위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센서들 외에도 전자적 장치로 구성된 센서를 장착하여 액정 표 시 패널 등에 기울어짐 각도 또는 기울어짐이 위험한 정도에 이르렀다는 표시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들의 감지 결과를 단순히 일반인이 인지할 수 있는 상태에만 두지 않고 적극적으로 관리 기관에 통지할 수 있도록 통신 장비를 부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가 감지한 각도가 일정 각도에 이르면 위험 신호를 한국전력이나 SKT 의 전봇대 보수 관리 센터 또는 기타 공공 방재기관 등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는 통신설비를 갖추어둘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설비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능동적으로 위험 신호를 보내주는 통신기기일 수 있고, 또는 일반인이 센서가 가리키는 위험 상태를 파악한 경우 버튼을 눌러 상기 기관들에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봇대가 기울어진 경우 그 기울기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일반인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위험한 전봇대 발견시 일반인이 이를 용이하게 신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8)

  1. 몸체의 길이방향상의 일 부위에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일 방향상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센서가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상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기울기의 눈금표시가 되어 있는 눈금판, 및 상기 눈금판상에서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기울어진 방향과 무관하게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몸체의 지면으로부터 1.5 내지 2.5 미터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측정 기울기가 위험 상태에 이른 각도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위험을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표지 또는 위험 상태에 대한 신고처에 관한 정보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센서상의 일 부위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 또는 알람신호를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또는 일반인이 수작업으로 소정의 기관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센서가 감지한 각도가 일정 이상에 이르면 위험 신호를 보수 관리 센터나 방재기관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는 통신 설비, 또는 일반인이 상기 센서가 가리키는 위험 상태를 파악한 경우 수작업으로 눌러 상기 보수 관리 센터나 상기 방재기관에 통지 가능하도록 마련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봇대.
KR2020060018841U 2006-07-12 2006-07-12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KR200431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41U KR200431018Y1 (ko) 2006-07-12 2006-07-12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41U KR200431018Y1 (ko) 2006-07-12 2006-07-12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18Y1 true KR200431018Y1 (ko) 2006-11-13

Family

ID=4177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841U KR200431018Y1 (ko) 2006-07-12 2006-07-12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729B1 (ko) * 2016-06-16 2017-04-03 류지상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KR102041718B1 (ko) 2018-06-01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전주 경사도 측정용 밴드
KR20220076896A (ko) * 2020-12-01 2022-06-08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729B1 (ko) * 2016-06-16 2017-04-03 류지상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KR102041718B1 (ko) 2018-06-01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전주 경사도 측정용 밴드
KR20220076896A (ko) * 2020-12-01 2022-06-08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KR102489485B1 (ko) 2020-12-01 2023-01-18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03380B (zh) 物联浮球漂浮报警器及窨井安全物联监测系统
JP5047886B2 (ja) 水流計測システム及び水流計測方法
US20180216985A1 (en) Advanced flood gauge
KR200431018Y1 (ko)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CN104457902B (zh) 一种水库水雨情自动测报系统
KR101529701B1 (ko) 풍력발전기 운전 중 지반거동과 구조물 이상변위에 대한 감시 장치
CN102338656B (zh) 水位高度测量预警装置
US20230160784A1 (en) Conductor support structure position monitoring system
US7392593B2 (en) Angle meter and spirit level
CN106123860A (zh) 一种电线杆倾斜检测装置
CN204286435U (zh) 垂直度主动控制报警装置
CN205487225U (zh) 一种电缆标志桩
CN215599363U (zh) 一种基于激光扫描的输电线路防外破装置
JP6822150B2 (ja) 浸水監視標尺
JP2021196185A (ja) 浸水センサ、浸水警報システム及び災害警報システム
CN203217097U (zh) 防沙报警雨量计
CN114908818B (zh) 一种基坑变形观测装置
KR100978211B1 (ko) 육안으로 수위를 알 수 있는 자동수위계측기
JP2010096733A (ja) 熱中症指標測定表示装置及び熱中症指標報知システム
CN209657448U (zh) 一种应用雾计算的监控装置
CN216746327U (zh) 一种环保型水位识别观测装置
KR100978212B1 (ko) 수평유지 바를 이용한 수위계측기
KR102507405B1 (ko) 건축물의 지진으로 인한 진동 기울기 및 변위 측정용 스마트 계측장치
KR20130038484A (ko)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N215064479U (zh) 一种水域隧道沉降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