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29B1 -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29B1
KR101722729B1 KR1020160074914A KR20160074914A KR101722729B1 KR 101722729 B1 KR101722729 B1 KR 101722729B1 KR 1020160074914 A KR1020160074914 A KR 1020160074914A KR 20160074914 A KR20160074914 A KR 20160074914A KR 101722729 B1 KR101722729 B1 KR 10172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inclination angle
projecting
horizont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상
Original Assignee
류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상 filed Critical 류지상
Priority to KR102016007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 그리고 상기 상,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몸체의 수평 상태를 센싱하는 수평 센서; 및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Pavements capable of detecting til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보행자가 걷는 거리나, 유아들의 놀이터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보도블록은 벽돌 형태의 구조물로서, 점토, 콘크리트, 세라믹,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보행자의 안전 사고 예방 등의 목적으로 폐타이어를 분쇄한 고무를 재활용하여 고무 블록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도블록이 인도에 포장되기 위해서는 먼저 지면에 물 빠짐이 원활할 정도의 두께로 모래층을 깔아 평탄작업을 하고, 평탄작업이 완료된 모래층의 상부 표면에 다수의 보도블록을 미리 계획된 디자인 배열이 되도록 상호 밀착되게 포장한다.
한편, 이러한 보도블록은 최초 시공시에는 수평 상태를 잘 유지하지만 시간이 흘러 비가 오거나, 과도한 하중이 인가되면 점차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일단이 지면의 상부로 과도하게 돌출되거나 지면의 하부로 과도하게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이러한 수평 상태를 잃은 보도블록으로 보행하다가 돌출부에 발이 걸리거나 해서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야간에 이러한 보도블록의 불량 상태(수평 상태를 잃은 상태)를 인지하기 어려워 보행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발광하고 있었다면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기울어짐 상태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 충전 모듈 및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되, 각각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연결부를 갖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GPS 모듈을 내장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신호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불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대향되는 네변에 상호간 결합부가 형성된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은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 그리고 상기 상,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몸체의 수평 상태를 센싱하는 수평 센서; 및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부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발광하거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색상으로 발광하다가,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제1색상과 다른 제2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기울어짐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기울어짐 신호와 함께 위치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평 센서 및 경고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각각의 블록 몸체는 상호간 결합하여 상기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은 제1측면, 상기 제1측면의 반대면인 제2측면, 상기 제1,2측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3측면, 그리고 상기 제1,2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4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측면 및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상면 돌출 결합부, 상기 제2측면 및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상면 돌출 결합부, 상기 제3측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3하면 돌출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4측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4하면 돌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상면 돌출 결합부는 각각 하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4하면 돌출 결합부는 각각 상부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상면 돌출 결합부의 돌기는 인접한 다른 블록 몸체의 제3,4하면 돌출 결합부의 요홈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4하면 돌출 결합부의 요홈은 인접한 또 다른 블록 몸체의 제1,2상면 돌출 결합부의 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발광하고 있었다면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보행자가 이를 인식하여 불량 보도블록을 피해 보행하고, 이에 따라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기울어짐 상태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신속한 보도블록의 정비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태양 전지/태양광 충전 모듈 및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 발전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되, 각각의 기계적 결합부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연결부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기계적 결합 시 전기적으로도 함께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GPS 모듈을 내장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신호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불량 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수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대향되는 네변에 상호간 기계적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시공 시 수평 상태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관제 서버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관제 서버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서버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도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100)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고,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10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100)은 블록 몸체(110)와, 수평 센서(130)와, 경고부(140)를 포함한다.
블록 몸체(110)는 대략 또는 완전히 평평한 상면(111)과, 상면(111)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하거나 또는 완전히 평평한 하면(112)과, 상면(111) 및 하면(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113,114,115 및 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면(113,114,115 및 116)은 상면(111) 및 하면(112)에 대하여 대략 수직/직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몸체(11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콘크리트, 점토, 세라믹, 목재,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몸체(110)는 측면(113,114,115 및 116)이,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측면(113,114,115 및 116)은 인접한 블록 몸체(110)끼리 상호간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117,118,119 및 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블록 몸체(110)의 측면은 제1측면(113)과, 제1측면(113)의 반대면인 제2측면(114)과,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의 일측에 형성된(연결된) 제3측면(115)과,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의 타측에 형성된(연결된) 제3측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측면(113), 제2측면(114), 제3측면(115) 및 제4측면(116)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 라인 형태를 한다.
또한, 블록 몸체(110)의 결합부는 제1측면(113) 및 상면(111)으로부터 외측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측면(114) 및 상면(111)으로부터 외측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와, 제3측면(115) 및 하면(112)으로부터 외측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측면(116) 및 하면(112)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상면 돌출 결합부(117,118), 제3,4하면 돌출 결합부(119,120)의 외측 끝단은 대략 삼각 형태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상부 표면은 블록 몸체(110)의 상면(111)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그러나,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하부 표면은 각각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의 대략 중앙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112),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두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블록 몸체(110)가 갖는 두께의 대략 절반 정도일 수 있다. 더불어,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를 각각 하부에서 바라보면 대략 사각 형태 또는 마름모 형태를 한다. 따라서,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외측 끝단은 대략 볼록하게(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를 하나,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와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각 내측 끝단과 대응하는 각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은 각각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1오목부(121) 및 제2오목부(122)를 갖는다. 더욱이,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 및 제2상면 돌출 결합부(118)의 하부 표면에는 각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123) 및 제2돌기(124)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기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하부 표면은 블록 몸체(110)의 하면(112)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그러나,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상부 표면은 각각 제3측면(115) 및 제4측면(116)의 대략 중앙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112),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두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블록 몸체(110)가 갖는 두께의 대략 절반 정도일 수 있다. 더불어,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를 각각 상부에서 바라보면 대략 사각 형태 또는 마름모 형태를 한다. 따라서,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외측 끝단은 대략 볼록하게(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를 하나,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와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각 내측 끝단과 대응하는 각 제3측면(115) 및 제4측면(116)은 각각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3오목부(125) 및 제4오목부(126)를 갖는다. 더욱이,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 및 제4하면 돌출 결합부(120)의 상부 표면에는 각각 하부 방향으로 움푹 파인 제3요홈(127) 및 제4요홈(128)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홈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보도블록(100)은 제1,2상면 돌출 결합부(117,118)의 제1,2돌기(123,124)가 인접한 다른 2개의 보도블록(100)의 제3,4하면 돌출 결합부(119,120)의 제3,4요홈(127,128)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한 보도블록(100)은 제3,4하면 돌출 결합부(119,120)의 제3,4요홈(127,128)이 인접한 또 다른 2개의 보도블록(100)의 제1,2상면 돌출 결합부(117,118)의 제1,2돌기(123,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보도블록(100)이 지면 위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호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설명하면, 수평 센서(130)는 블록 몸체(110)의 상면(111)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블록 몸체(110)의 수평 상태를 센싱한다. 수평 센서(13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경고부(14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평 센서(130)에 의한 블록 몸체(11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5° 내지 30°)보다 크면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경고부(14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블록 몸체(110)의 상면(111)에 배열된 다색의 발광 다이오드(14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경고부(140)로부터 블록 몸체(110)의 상면(111)에 배열된 발광 다이오드(141)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고부(140)로서의 발광 다이오드(141)는 수평 센서(130)에 의한 블록 몸체(11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예를 들면, 15°)보다 크면 발광 및/또는 점멸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과도하게 기울어진 보도블록(100)을 피해서 보행하도록 하여 보행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평상 시에 경고부(140)로서의 발광 다이오드(141)가 제1색상(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녹색)으로 발광하고 있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센서(130)에 의한 블록 몸체(11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예를 들면, 15°)보다 크면 제1색상과 다른 제2색상(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으로 발광 및/또는 점멸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과도하게 기울어진 보도블록(100)을 피해서 보행하도록 하여 보행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블록 몸체(110)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성된 스피커(142,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발광 다이오드(141) 및/또는 스피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고부(140)로서의 스피커(142)는 수평 센서(130)에 의한 블록 몸체(11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예를 들면, 15°)보다 크면 미리 정해진 경고음(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이렌 소리, 귀뚜라미 소리 등등)을 출력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과도하게 기울어진 보도블록(100)을 피해서 보행하도록 하여 보행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자체적으로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점멸하거나, 또는 발광하고 있었다면 다른 색상으로 발광/점멸하거나, 또는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보도블록(100A)은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의 제1돌기가 인접한 다른 보도블록(100B)의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의 제3요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한 보도블록(100A)은 제3하면 돌출 결합부(119)의 제3요홈이 인접한 또 다른 보도블록(100C)의 제1상면 돌출 결합부(117)의 제1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보도블록(100A,100B 및 100C)이 지면 위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호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대향되는 네변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시공 작업 중 또는 시공 작업 완료 후에도 양호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센서(130)와, 발광 다이오드(141) 및/또는 스피커(142)를 갖는 경고부(140)를 포함하고, 또한 경고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즉, 수평 센서(130)가 보도블록(100)의 기울어짐 신호(예를 들면, 5°이상 기울어짐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50)에 출력하면(112), 제어부(150)는 발광 다이오드(141) 및/또는 스피커(142)를 갖는 경고부(1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경고부(140)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보행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도블록(100)은 통신부(160), GPS 모듈(170), 태양 전지(180) 및 배터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160)는 유,무선 네트워크망(201)을 통해 관제 서버(202)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수평 센서(130)에 의한 보도블록(10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큼을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으면, 상술한 기울어짐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202)에 전송한다. 따라서, 관제 서버(202)의 관리자는 보도블록(100)의 상태(수평 상태 또는 기준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GPS 모듈(170)은, 통신부(160)가 기울어짐 신호를 관제 서버(202)로 전송할 때, 자신의 위치 신호를 함께 관제 서버(202)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GPS 모듈(17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위치 신호를 통신부(160)에 전달함으로써, 통신부(160)는 보도블록(100)의 기울어짐 신호와 위치 신호를 함께 관제 서버(202)에 전송한다.
태양 전지(180)는 보도블록(100)의 태양 빛이 조사되는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190)는 보도블록(10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태양 전지(180)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터리(190)는 수평 센서(130), 경고부(140), 제어부(150), 통신부(160), GPS 모듈(170) 등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보도블록(100)이 별도의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통신부(160)를 내장함으로써, 수평 상태를 잃고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클 경우, 기울어짐 상태 신호를 외부의 관제 서버(202)에 전송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태양 전지(180) 또는 태양광 충전 모듈과 배터리(190)를 내장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GPS 모듈(170)을 내장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신호를 관제 서버(202)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불량 보도블록(100)의 위치를 신속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도블록(100A,100B)은 내부 전원이 아니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도블록(100A,100B)에 전원 연결부(123a,127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 연결부(123a,127a)는 각 보도블록(100A,100B)의 결합부(117,119)에 형성됨으로써, 보도블록(100A,100B)의 결합부(117,119)가 상호간 기계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전원 연결부(123a,127a)도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측 보드 블록(100A)의 결합부(117) 중 돌기(123)에 콘센트 형태의 전원 연결부(123a)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보드 블록(100B)의 결합부(119) 중 요홈(127)에 플러그 형태의 전원 연결부(127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보도블록(100A)의 결합부(117) 중 돌기(123)가 타측 보도블록(100B)의 결합부(119)중 요홈(127)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때, 돌기(123)의 콘센트 형태의 전원 연결부(123a)가 요홈(127)의 플러그 형태의 전원 연결부(127a)에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보도블록(100A,1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전원 연결부에 의해 모든 보도블록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
110; 블록 몸체 111; 상면
112; 하면 113; 제1측면
114; 제2측면 115; 제3측면
116; 제4측면 117; 제1상면 돌출 결합부
118; 제2상면 돌출 결합부 119; 제3하면 돌출 결합부
120; 제4하면 돌출 결합부 121; 제1오목부
122; 제2오목부 123; 제1돌기
124; 제2돌기 125; 제3오목부
126; 제4오목부 127; 제3요홈
128; 제4요홈 130; 수평 센서
140; 경고부 141; 발광 다이오드
142; 스피커 150; 제어부
160; 통신부 170; GPS 모듈
180; 태양 전지 190; 배터리
201; 네트워크망 202; 관제 서버

Claims (10)

  1.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 그리고 상기 상,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몸체의 수평 상태를 센싱하는 수평 센서; 및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는 통신부와,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기울어짐 신호와 함께 상기 GPS 모듈로 측정된 위치 정보를 외부의 관제 서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발광하거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색상으로 발광하다가,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제1색상과 다른 제2색상으로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수평 센서에 의한 상기 블록 몸체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기울어짐 각도보다 크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평 센서 및 경고부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각각의 블록 몸체는 상호간 결합하여 상기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원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은 제1측면, 상기 제1측면의 반대면인 제2측면, 상기 제1,2측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3측면, 그리고 상기 제1,2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 및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상면 돌출 결합부, 상기 제2측면 및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상면 돌출 결합부, 상기 제3측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3하면 돌출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4측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4하면 돌출 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면 돌출 결합부는 각각 하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4하면 돌출 결합부는 각각 상부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면 돌출 결합부의 돌기는 인접한 다른 블록 몸체의 제3,4하면 돌출 결합부의 요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3,4하면 돌출 결합부의 요홈은 인접한 또 다른 블록 몸체의 제1,2상면 돌출 결합부의 돌기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KR1020160074914A 2016-06-16 2016-06-16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KR10172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14A KR101722729B1 (ko) 2016-06-16 2016-06-16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14A KR101722729B1 (ko) 2016-06-16 2016-06-16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29B1 true KR101722729B1 (ko) 2017-04-03

Family

ID=585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14A KR101722729B1 (ko) 2016-06-16 2016-06-16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KR20220109841A (ko) * 2021-01-29 2022-08-05 (주)엘더스티앤엘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00Y1 (ko) * 2002-02-05 2002-05-04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레일 라이트 라인
KR200431018Y1 (ko) * 2006-07-12 2006-11-13 박완근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US20080072514A1 (en) * 2006-09-27 2008-03-27 Barlow David R Interlocking floor system
KR20090085415A (ko) * 2008-02-04 2009-08-07 (주)지엠지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KR20130083136A (ko) * 2012-01-12 2013-07-22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00Y1 (ko) * 2002-02-05 2002-05-04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레일 라이트 라인
KR200431018Y1 (ko) * 2006-07-12 2006-11-13 박완근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US20080072514A1 (en) * 2006-09-27 2008-03-27 Barlow David R Interlocking floor system
KR20090085415A (ko) * 2008-02-04 2009-08-07 (주)지엠지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KR20130083136A (ko) * 2012-01-12 2013-07-22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KR20220109841A (ko) * 2021-01-29 2022-08-05 (주)엘더스티앤엘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KR102537981B1 (ko) * 2021-01-29 2023-05-30 (주)엘더스티앤엘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1616B2 (ja) 自動化されたインストラクチャベースの歩行者トラッキング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電子履物および制御ロジック
KR101722729B1 (ko)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
US10403129B1 (en) Tactile warning pad for a pedestrian notification system
WO2017151643A1 (en) Tactile warning panel apparatus and system with smart technology
CA2755566C (en) Pedestrian tile, replaceable tile section and/or resilient dome structure
KR101702343B1 (ko) 시인성 및 변별력을 향상시킨 보행신호 및 방향표시용 안전유도블럭
US20170038018A1 (en) Control of bollard luminaire for crosswalk
CN111223313A (zh) 一种电子智能化车道优先通行应急车辆的控制系统及方法
US9305472B1 (en) Illuminated traffic control paddle
JP2018053665A (ja) 地下構造物用蓋体
CN106408830A (zh) 一种电缆桩
KR101196203B1 (ko) 보도블록을 이용한 위치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013138833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етроотражаю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нанесения напечата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ретроотражающую пленку и получ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KR101289433B1 (ko) 보행자 안전차단기
KR101564902B1 (ko)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0646683B1 (ko)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JP6346464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の養生管理装置
KR100987045B1 (ko) 수평감지기능을 갖는 교통신호제어기
JP2013083113A (ja) 道路標識
KR101130704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KR20150003616U (ko) 교차로에 장착되는 도로 표지병
CN110689729A (zh) 一种相邻行车道的故障应急处理系统和方法
KR102178124B1 (ko) Led바닥형 보행신호보조장치를 갖는 보도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26236A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JP2013142241A (ja) 視線誘導標識の脚部取付け構造及び視線誘導標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