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04B1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04B1
KR101130704B1 KR1020090078726A KR20090078726A KR101130704B1 KR 101130704 B1 KR101130704 B1 KR 101130704B1 KR 1020090078726 A KR1020090078726 A KR 1020090078726A KR 20090078726 A KR20090078726 A KR 20090078726A KR 101130704 B1 KR101130704 B1 KR 10113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afety
emitting diodes
mode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116A (ko
Inventor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조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호 filed Critical 조동호
Priority to KR102009007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7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감지 시 또는 수동적인 키 조작에 의해 안전표시를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드로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변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삼각프레임을 구비한 안전표시장치로서,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해 키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의거하여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는 발광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충격 감지 시 또는 수동적인 키 조작에 의해 안전표시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드로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안전표시를 비교적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일반인들이 안전표시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발광다이오드, LED, 안전표시, 삼각프레임, 무선 단말기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SAFETY DISPLAY APPARATUS BY USING LED}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 감지 시 또는 수동적인 키 조작에 의해 안전표시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드로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표시는 교통사고나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안전표시는 일반인들에게 쉽게 인식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안전표시장치는 삼각형의 반사판을 사용하거나 삼각프레임의 각 변에 소정의 전구를 점등시켜 현장 주변의 일반인들이 안전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삼각형의 반사판을 사용하거나 삼각프레임의 각 변에 소정의 전구를 점등시켜 안전을 표시하기 때문에, 그 안전표시가 비교적 약하므로 주변의 일반인들이 안전표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즉, 안전표시를 좀 더 강하게 하여 주변의 일반인들이 안전표시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격 감지 시 또는 수동적인 키 조작에 의해 안전표시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드로 수행하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각 변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삼각프레임을 구비한 안전표시장치로서,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해 키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의거하여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 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는 발광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 감지 시 상기 제어부로 충격 감지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충격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 감지부는 가속도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설정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안전표시 동작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될 경우 수신된 안전표시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무선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각프레임은 각 꼭짓점 부분 및 하측 프레임의 중앙에 힌지가 각기 설치되어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격 감지 시 또는 수동적인 키 조작에 의해 안전표시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드로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안전표시를 비교적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일반인들이 안전표시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지지다리(14)에 의해 세워질 수 있게 지지되는 삼각프레임(12)의 세 변에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16)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16)는 상기 삼각프레임(12)의 각 변(즉, 세 변)에 맞게 구비된 세 개의 인쇄회로기판(PCB)에 각각 일렬로 실장되고, 실장된 각 발광다이오드(16)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예 : 1차 또는 2차 전지)가 마련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6)가 실장된 세 개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삼각프레임(12)의 각 변에 내장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6)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 도면에 있어서, 삼각프레임(12)을 사각, 오각 등의 다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삼각이 안전표시장치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지지다리(14)는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삼각프레임(12)은 각 꼭짓점 부분 및 하측 프레임의 중앙에 힌지(hinge)가 각기 설치되어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표시장치(10)에 내장되어 안전표시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 발광다이오드(16), 키 입력부(20), 충격 감지부(22), 안테나(24), 무선신호 수신부(26), 제어부(28), 저장부(30) 및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0) - 충격 감지부(22) - 안테나(24) - 무선신호 수신부(26) - 제어부(28) - 저장부(30) -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는 컨트롤 박스 등에 내장될 수 있고,
아울러 컨트롤 박스는 상기 삼각프레임(12)의 각 변 중 하나의 변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4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안테나(42), 제어버튼(44) 및 표시창(46)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8)의 일 실시 예는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는 키 입력부(20)의 해당 키를 조작하여 발광모드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발광모드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키 신호를 제어부(28)로 입력한다.
제어부(28)는 키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스캐닝한다(S10).
제어부(28)는 단계 S10의 스캐닝 결과, 키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가 발광모드 설정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제어부(28)는 단계 S12의 판단 결과, 키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가 발광모드 설정신호가 아닐 경우 발광구동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제어부(28)는 단계 S14의 판단 결과, 키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가 발광구동신호일 경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제어하여,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가 기설정된 해당 발광모드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동작시키도록 한다(S16). 이때 제어부(28)는 발광모드를 수행시키기 위한 정보를 저장부(30)에서 추출한다.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가 동작할 때 과열될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에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을 적용시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가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28)는 단계 S12의 판단 결과, 키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 호가 발광모드 설정신호일 경우 해당 발광모드를 설정하여 저장부(30)에 저장해서 이후에 제어부(28)가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S18).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동작 외에도 다음과 같은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상기 삼각프레임(12)에 내장된 충격 감지부(22)는 충격 감지 시 제어부(28)로 충격 감지신호를 제공하여, 제어부(28)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다른 예로, 충격 감지부(22)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휴대용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트렁크 등에 적재되어 있다가 차량이 추돌이나 충돌 등의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이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28)로 충격 감지신호를 제공하여, 제어부(28)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 감지부(22)로 가속도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가속도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충격을 감지해낼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신호 수신부(2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무선 단말기(40)로부터 안테나(42)를 통해 안전표시 동작신호가 무선으로 안테나(24)를 통해 수신될 경우 수신된 안전표시 동작신호를 제어부(28)에 제공하여, 제어부(28)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무선 단말기(40)에 구비된 제어버튼(44)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40)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표시창(46)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성되어 무선 단말기(40)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표시장치에 내장되어 안전표시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 예는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5)

  1. 각 변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가 설치된 삼각프레임(12)을 구비한 안전표시장치(10)로서,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동작시키기 위해 키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20);
    상기 키 입력부(20)의 키 입력에 의거하여 발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발광모드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8); 및
    상기 제어부(2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는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
    를 포함하되,
    충격 감지 시 상기 제어부(28)로 충격 감지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28)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충격 감지부(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감지부(22)는 가속도 감지기이며,
    무선 단말기(40)로부터 무선 수신된 안전표시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28)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28)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32)를 통해 설정된 발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무선신호 수신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삼각프레임(12)은 각 꼭짓점 부분 및 하측 프레임의 중앙에 힌지가 각기 설치되어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78726A 2009-08-25 2009-08-25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KR10113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26A KR101130704B1 (ko) 2009-08-25 2009-08-25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26A KR101130704B1 (ko) 2009-08-25 2009-08-25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16A KR20110021116A (ko) 2011-03-04
KR101130704B1 true KR101130704B1 (ko) 2012-03-28

Family

ID=439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26A KR101130704B1 (ko) 2009-08-25 2009-08-25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803B1 (ko) * 2018-11-06 2019-12-27 신대로 실리콘 조명을 이용하는 2차 사고 방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09B1 (ko) * 2017-03-23 2019-06-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급전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KR101967673B1 (ko) * 2017-03-23 2019-04-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19A (ja) * 2000-02-09 2001-08-17 Akira Miyagi 三角形標識
JP2003301429A (ja) * 2002-04-11 2003-10-24 Hiroaki Okuda 保安表示装置
KR100510407B1 (ko) * 2002-12-16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발광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19A (ja) * 2000-02-09 2001-08-17 Akira Miyagi 三角形標識
JP2003301429A (ja) * 2002-04-11 2003-10-24 Hiroaki Okuda 保安表示装置
KR100510407B1 (ko) * 2002-12-16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발광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803B1 (ko) * 2018-11-06 2019-12-27 신대로 실리콘 조명을 이용하는 2차 사고 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16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9662B1 (en) Ultra portable traffic management system
US20090158628A1 (en) Wet floor caution sign
KR200453992Y1 (ko)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1130704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WO2005077096A3 (en) Foldable electronic display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US20090212942A1 (en) Street lamp system
CN103530974A (zh) 一种用于移动智能设备的防跌落方法和装置
JP2007050173A (ja) 消火器ボックス
KR101857221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CN103114538B (zh) 一种智能光电光幕隔离带装置
US20210394715A1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JPH1120992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2066065B1 (ko)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6678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용 위험경고장치
KR101906434B1 (ko) 다기능 비상등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JP2015184928A (ja) 車両情報表示装置を備えたカーブミラー
JP5281707B1 (ja) ステッキ
KR101375324B1 (ko)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통합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 관리 및 분실방지 방법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160047791A (ko) 차량 정지선 표시 시스템
JP6837821B2 (ja) 視覚障がい者支援システム
KR20210026236A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75830B1 (ko) 비상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재해복구로 진입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