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673B1 -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673B1
KR101967673B1 KR1020170036841A KR20170036841A KR101967673B1 KR 101967673 B1 KR101967673 B1 KR 101967673B1 KR 1020170036841 A KR1020170036841 A KR 1020170036841A KR 20170036841 A KR20170036841 A KR 20170036841A KR 101967673 B1 KR101967673 B1 KR 10196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d group
safety tripod
emergency safety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942A (ko
Inventor
이충훈
정재윤
오세윤
김형준
이지수
김학용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된 배터리의 방전시 외부의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도록 구성된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비상용 안전 삼각대는 발광부 및 발광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발광부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1 LED 그룹과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2 LED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 LED 그룹과 제2 LED 그룹의 점소등 및 점멸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탑재된 동작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점멸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지시에 응답하여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스위칭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버와,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고, 전원 입력부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설치된 직류 배터리로부터 또는 외부의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SAFETY TRIPOD WHICH CAN BE POWERED BY MIBILE PHONE}
본 발명은 비상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장된 배터리의 방전시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도록 구성된 비상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시에 예기치 못하게 자동차의 어떤 한 부분에 고장이 발생되어 더 이상 주행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예컨대 도로의 갓길로 인도해서 고장난 부분을 정비할 때에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 주의를 환기시켜주기 위해 비상용 안전 삼각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비상용 안전 삼각대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후방에 설치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전 삼각대를 법률적 규정에 따라 100미터 후방에 설치해야 하나,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져 운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비상용 안전 삼각대를 설치한다는 것은 심리적 부담감이 심화될 뿐만 아니라, 야간에서의 안전 삼각대 설치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경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를 인지하게 하는 반사식 안전 삼각대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아 편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반사식 안전 삼각대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반사된 빛을 인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상 안전 삼각대의 인지 거리가 매우 짧거나 이를 발견하기 어렵고 또한 반사된 빛 자체의 휘도가 광도가 높지 않아 이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어 추가적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0-0129831호에는 엘이디 차량용 안전 삼각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서의 안전 삼각대는 반사식이 아닌 발광식의 LED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향상된 인지 거리를 제공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의 안전 삼각대는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차량의 후방으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안전 삼각대를 설치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배터리와 같은 휴대전지를 이용하는 비상 삼각대 역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비상시 안전을 위한 삼각대로서 기능하지 않는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으로 차량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될수 있으며 비상 삼각대의 전지 방전시 비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발광부 및 발광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가 제공된다. 발광부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1 LED 그룹과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2 LED 그룹을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제1 LED 그룹과 제2 LED 그룹의 점소등 및 점멸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탑재된 동작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점멸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지시에 응답하여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스위칭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버와,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 입력부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설치된 직류 배터리로부터 또는 외부의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제어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 및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공급받는 전원이 DC 전원인지 아니면 외부의 이동 단말인지를 감지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컨트롤러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류 및 전압 감지부로부터의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 변환부를 통해 공급 전원을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정격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전원 변환부는 이동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 및 변환된 AC 전압을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정격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전원 변환부는 AC-DC 컨버터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함에 따라 발생되는 맥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회로 또는 역률 보정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용 안전 삼각대가 외부의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배터리 방전시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주요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컨트롤러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10)는 발광부(100)와 구동회로부(200)으로 구성된다.
발광부(100)는 두 개의 LED 그룹(110,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 LED 그룹은 비상 삼각대의 중앙부에 "STOP"이란 문자를 흰색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제2 LED 그룹은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주변을 따라 붉은색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비상용 안전 삼각대(10)은 그 전면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측면 및 후면은 경량의 금속재료로 형성되는데, 발광부는 합성 수지재와 금속 재료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파손이 방지되며 전면과 측면의 사이에는 밀봉재로 봉입되어 방수기능도 하게된다.
특히 측면 및 후면의 경우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장기 비사용 안전 삼각대(10)이 장기간 사용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방열판으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제2 LED 그룹(120)이 장착되는 기판의 표면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판(130)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상용 삼각대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후속차량의 전조등 빛에 의해 반사되어 후속차량의 운전자 등이 안전 안전삼각대을 인식할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발광부(100)는 고휘도 엘이디(12)로 이루어지며 LED의 기판과 후면의 프레임 사이에는 발광부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200)가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컨트롤러(200)의 주요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여러 구성요소로서 도시되고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칩 또는 싱글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국의 마이크로칩테크놀러지사(Microchip Technology Co.)의 PIC 컨트롤러을 이용하여 발광부(100)의 컨트롤러를 구성하였다.
PIC 컨트롤러는 전지로 장시간 동작시키려는 용도에는 안성맞춤인 소규모의 원칩 마이크로컴퓨터로 메모리나 입출력 회로가 모두 1개의 IC에 들어가 있어 편리하다. 특히, PIC16C84, PIC16F84는 메모리가 EEPROM이기 때문에 몇 번이라도 프로그램을 즉시 소거하고 간단하게 라이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는 LED의 점소등 및 점멸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메모리(210)와, 상기 메모리(210)에 탑재된 동작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1 LED 그룹(110) 및 제2 LED 그룹(120)의 점멸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안전 삼각대의 제1 LED 그룹(110) 및 제2 LED 그룹(120)의 스위칭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드라이버(230)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모드 입력 단자로서 제1 및 제2 LED 그룹(110,120)의 점멸 모드를 선택하도록 기능하는 모드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따라서 메모리(210)는 제1 및 제2 LED 그룹의 점멸 방식에 대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점멸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멸 알고리즘은 각 발광 다이오드를 소정 시간 예컨대, 0.5초 단위로 모두 점멸하거나, 점등상태를 유지하거나, 일부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상태로 유지하고 나머지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시키거나, 각 발광 다이오드를 순차 점멸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점멸 모드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전원입력부(250) 및 전원변환부(260)을 더 포함한다. 전원입력부(250)은 비상용 안전 삼각대(10)에 내장된 DC 전원(272), 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이동 단말(274)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전원입력부(250)은 DC 전원(272) 또는 이동 단말(27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을 컨트롤러(200)에 공급하고 또한 안전 삼각대의 제1 LED 그룹(110) 및 제2 LED 그룹(120)의 스위칭 전원을 전원 변환부(260)을 통해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단말은 예컨대 휴대폰의 배터리 일수 있으나 휴대폰 배터리로 한정되지 않으며, 동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휴대폰의 배터리는 통상 DC 3.0V ~ 4.2V의 출력 전압을 갖는다.
전원 변환부(260)은 휴대폰 배터리, 또는 차량 직류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비상용 안전 삼각대(10)의 전원에 맞는 전압으로 승압/강압한다. 이때 제어부(220)은 전원 변환부(260)의 승압/강압 동작을 제어하여 비상용 안전 삼각대(10)의 정격에 맞은 전압 및 전류 용량으로 변환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 입력부(250)으로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는 USB 전원 입력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변환부(260)는 DC-AC 인버터 및 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260)는 이동 단말로부터 비교적 낮은 전압의 직류를 수신함에 따라 낮은 전압의 직류를 높은 전압의 교류로 변환하고(DC-AC 인버터)로 변환한 다음 이 교류를 AC-DC 컨버터(20b)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하여 다시 직류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교류를 직류로 변환함에 따라 맥류 성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평활회로 즉, 역률 보정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를 이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상용 안전 삼각대 110: 제1 LED 그룹
120: 제2 LED 그룹 130: 반사 표면
200: 컨트롤러 210: 메모리
220: 제어부 230: 드라이버
240: 모드 스위치 250: 전원 입력부
260: 전원 변환부 272: 직류 전원
274: 이동 단말

Claims (5)

  1. 발광부 및 발광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1 LED 그룹과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2 LED 그룹을 포함하고, 제1 LED 그룹은 비상 삼각대의 중앙부에 문자를 흰색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제2 LED 그룹은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주변을 따라 붉은색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제1 LED 그룹과 제2 LED 그룹의 점소등 및 점멸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탑재된 동작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점멸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지시에 응답하여 제1 LED 그룹 및 제2 LED 그룹의 스위칭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버와,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부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에 설치된 직류 배터리로부터 또는 외부의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 및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류 및 전압 감지부로부터의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 변환부를 통해 공급 전원을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정격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동작하고,
    비상용 안전 삼각대는 전면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측면 및 후면은 경량의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발광부는 합성 수지재와 금속 재료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파손이 방지되며 전면과 측면의 사이에는 밀봉재로 봉입되며,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측면 및 후면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구성되어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는 방열판으로 기능하고,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제2 LED 그룹이 장착되는 기판은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비상용 안전 삼각대가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후속차량의 전조등 빛에 의해 반사되어 후속차량의 운전자 등이 안전 안전삼각대을 인식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전원 변환부는 이동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 및 변환된 AC 전압을 비상용 안전 삼각대의 정격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5. 제4항에 있어서,
    전원 변환부는 AC-DC 컨버터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함에 따라 발생되는 맥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회로 또는 역률 보정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를 더 포함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KR1020170036841A 2017-03-23 2017-03-23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KR10196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41A KR101967673B1 (ko) 2017-03-23 2017-03-23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41A KR101967673B1 (ko) 2017-03-23 2017-03-23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42A KR20180108942A (ko) 2018-10-05
KR101967673B1 true KR101967673B1 (ko) 2019-04-11

Family

ID=6387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841A KR101967673B1 (ko) 2017-03-23 2017-03-23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6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789Y1 (ko) * 2004-10-29 2005-01-14 유선일 비상 충전 케이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704B1 (ko) * 2009-08-25 2012-03-28 조동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KR20150110986A (ko) * 2014-03-24 2015-10-05 이정순 차량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789Y1 (ko) * 2004-10-29 2005-01-14 유선일 비상 충전 케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42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309B1 (ko) 무선 급전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JP2008166165A (ja) 点灯装置
KR100692197B1 (ko)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US20160044757A1 (en) Led driv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US11251651B2 (en) Light-emitting sign device and low-power predictive diagnosis bidirectional adaptiv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MX2014009914A (es) Indicador de estado para la condicion de un componente operativamente esencial de un vehiculo de motor.
US11137122B2 (en) Vehicle-mounted illumination device
KR20090010939U (ko) 태양광을 통한 led 도로교통 표지판
KR20140147226A (ko) 실시간 기상 상태에 따라 색온도/조도를 구현하는 led 가로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2164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JP5742015B2 (ja) 照明装置
JP6481402B2 (ja) Ledモジュール及びled照明装置
KR101967673B1 (ko) 이동 단말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 비상용 안전 삼각대
JP5467212B2 (ja) 緊急時に携帯電灯を兼ねる電球形ledランプ
WO2014068910A1 (ja) 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10305009A1 (en) Vehicle baffle with solar lamp
CN109466432B (zh) 一种驻车灯光系统及车辆
JPH11222824A (ja) 自発光式道路標識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装置
KR200402417Y1 (ko)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102434923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211575064U (zh) 一种智能充气多功能检修灯
US20100165608A1 (en) Warning lamp with emergency power
CN210035341U (zh) 一种双源led车灯
JP3149105U (ja) 非常用電力を備えた警告ランプ
CN204695725U (zh) 主动发光车用警示三角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