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84A -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84A
KR20130038484A KR1020110102866A KR20110102866A KR20130038484A KR 20130038484 A KR20130038484 A KR 20130038484A KR 1020110102866 A KR1020110102866 A KR 1020110102866A KR 20110102866 A KR20110102866 A KR 20110102866A KR 20130038484 A KR20130038484 A KR 20130038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ain body
mercury
disaster detec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호
Original Assignee
송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호 filed Critical 송원호
Priority to KR102011010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484A/ko
Publication of KR2013003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전극용 단자선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 내부의 수은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와, 상기 수은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재해 감지 장치를 매설 및 거치시켜 미세한 진동이나 지반의 변화 등 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수은 스위치가 작동하여 재해 감지 장치로부터 재해 알림 장치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Disaster predicting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재해 감지 장치를 매설 및 거치시켜 미세한 진동이나 지반의 변화 등 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수은 스위치가 작동하여 재해 감지 장치로부터 재해 알림 장치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해 감지 시스템이란 산사태, 화재, 침수, 범람 등의 재해 발생 사실을 감지하여 특정인 또는 불특정다수인에게 재해발생 사실을 알려 재해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해의 확대로 인한 인명피해나 물품파손 등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재해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센서를 이용한 재해감지 시스템은 산사태와 같은 재해를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사태와 같은 재해를 감지하기 위하여 물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물체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측정하는 가속도계가 내장된 센서철판을 축대에 설치하여 축대붕괴, 산사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은 물론, 축대붕괴에 따른 산사태 발생시 그 힘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산사태와 같은 재해를 효과적으로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재해 감지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재해 감지 장치를 매설 및 거치시켜 미세한 진동이나 지반의 변화 등 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수은 스위치가 작동하여 재해 감지 장치로부터 재해 알림 장치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전극용 단자선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 내부의 수은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와, 상기 수은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본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가능하도록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하단 중앙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감싸며 형성되는 보호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감지 시스템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전극용 단자선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 내부의 수은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와, 상기 수은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로 구성되는 재해 감지 장치; 및 상기 재해 감지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재해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해 알림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재해 감지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과, 상기 솔라판을 통하여 흡수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해 알림 장치는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지판과, 재해 발생 징후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재해 발생 징후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하는 경광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사태, 수해 또는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재해 감지 장치를 매설 및 거치시켜 미세한 진동이나 지반의 변화 등 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수은 스위치가 작동하여 재해 감지 장치로부터 재해 알림 장치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에 설치하여 폭우로 인해 하천 수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수위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재해 감지 장치에서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에 설치된 재해 알림 장치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수은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수은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100)는, 본체(110), 메인보드(120), 보호 덮개(13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10)는 재해 감지 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축대(e)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재해 발생 징후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메인보드(120)가 수용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메인보드(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인보드(120)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13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하단은 후술할 수은 스위치(121)의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보드(120)는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며, 재해 발생 징후가 나타날 경우, 재해 알림 장치(200) 또는 재해 관제 센터(300)로 위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120)에는 유리관(121a) 속에 수은(121b)과 전극용 단자선(121c)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121a) 내부의 수은(121b)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121)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은 스위치(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관(121a)의 양측에 전극용 단자선(121c)이 구비되는데, 본체(110)가 평행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수은(121b)과 전극용 단자선(121c)이 접촉되지 않아, 스위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본체(110)가 평행상태를 벗어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유리관(121a) 내에서 수은(121b)이 이동하며 전극용 단자선(121c)과 접촉되며 스위치 온(on) 상태가 되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수은 스위치(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대(e)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세한 진동이나 지반의 변화 등이 발생할 경우, 작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재해 발생 징후를 사전에 감지함으로써, 위험요소를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보드(120)에는 상기 수은 스위치(121)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재해 알림 장치(200)로 전송하는 송신부(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120)에는 메인보드(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3)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호 덮개(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은 스위치(121) 및 메인보드(120)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비, 눈, 먼지 등의 이물질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보호 덮개(130)는 외부에서 수은(121)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기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100)는 본체(110)의 하단 중앙에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112)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112)를 감싸며 형성되는 보호캡(113)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100)는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어 폭우로 인해 하천 수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수위감지센서(112)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에 설치된 재해 알림 장치(200)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장치(100)는 본체(110)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바닥면에 맞닿으며 재해 감지 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지지부(111)는 본체(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부(111)는 계곡이나 하천 수위가 급격히 올라 위험상황이라고 판단될 만한 수위에 도달할 경우, 수위감지센서(112)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 계곡이나 하천의 한계 수위에 맞게 그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감지 시스템은, 재해 감지 장치(100), 재해 알림 장치(200)를 포함하는데, 상기 재해 감지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재해 알림 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재해 알림 장치(200)는 상기 재해 감지 장치(100)의 송신부(122)로부터 통신망(400)을 통해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에 설치되며 상기 재해 감지 장치(100)의 송신부(122)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60)와, 상기 지지대(210)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220)과, 상기 솔라판(220)을 통하여 흡수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인버터(230)와, 상기 인버터(23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240)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지(400)는 상기 인버터(30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켜, 표지판(250), 스피커(270), 경광등(28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버터(300) 및 상기 축전지(4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재해 알림 장치(200)는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지판(25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표지판(250)은 문자, 사진,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해 알림 장치(200)는 재해 발생 징후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빛을 발산하는 스피커(270) 및 경광등(28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재해 감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위험신호는 통신망(400)을 통해 재해 관제 센터(3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통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해 감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위험신호는 재해 관리 센터(300)의 관리자의 단말기로 직접 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재해 감지 장치 110: 본체
111: 지지부 112: 수위감지센서
113: 보호캡 120: 메인보드
121: 수은 스위치 121a: 유리관
121b: 수은 121c: 전극용 단자선
122: 송신부 123: 배터리
130: 보호 덮개
200: 재해 알림 장치 210: 지지대
220: 솔라판 230: 인버터
240: 축전지 250: 표지판
260: 수신부 270: 스피커
280: 경광등
300: 재해 관제 센터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전극용 단자선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 내부의 수은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와, 상기 수은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감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본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가능하도록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하단 중앙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감싸며 형성되는 보호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감지 장치.
  3.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전극용 단자선이 봉입되어 좌우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관 내부의 수은이 유동하여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수은 스위치와, 상기 수은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재해 감지에 대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로 구성되는 재해 감지 장치;
    상기 재해 감지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재해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해 알림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재해 감지 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솔라판과, 상기 솔라판을 통하여 흡수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해 알림 장치는 위험신호를 송신한 재해 감지 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지판과, 재해 발생 징후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재해 발생 징후에 대한 위험상황을 보행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하는 경광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감지 시스템.
KR1020110102866A 2011-10-10 2011-10-10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38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66A KR20130038484A (ko) 2011-10-10 2011-10-10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66A KR20130038484A (ko) 2011-10-10 2011-10-10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84A true KR20130038484A (ko) 2013-04-18

Family

ID=4843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66A KR20130038484A (ko) 2011-10-10 2011-10-10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4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0202A (zh) * 2017-07-14 2017-09-15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山洪灾害预警系统
CN107170203A (zh) * 2017-07-14 2017-09-15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一种监测山洪灾害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0202A (zh) * 2017-07-14 2017-09-15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山洪灾害预警系统
CN107170203A (zh) * 2017-07-14 2017-09-15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一种监测山洪灾害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1947T3 (es) Sistema de alerta de tsunami y procedimiento para proporcionar alertas de tsunami
CA2685610C (en) Sensor device to monitor deformation in structural members, such as solid structures
KR20160104948A (ko) 게릴라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2228497A (ja)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KR20130038484A (ko) 재해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582264B1 (ko)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낙석 방지 펜스의 낙석 감지 시스템
CN207685714U (zh) 一种通信工程用警示装置
JP6822150B2 (ja) 浸水監視標尺
KR100697719B1 (ko) 통신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감시 시스템
CN115428295A (zh) 导体支撑结构位置监测系统
CN102110349A (zh) 矩阵式立体层面山体滑坡监测预警系统
CN212484558U (zh) 一种山区山体滑坡灾害监测预警装置
JP3189993U (ja) 高さ制限超過通報装置
JP6298327B2 (ja) 雪崩検知装置
CN216558911U (zh) 一种电线杆塔倾斜监测装置
KR200431018Y1 (ko)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ES2541622B1 (es) Dispositivo inteligente de alerta sísmica
JP4155356B2 (ja) 架空送電線の異常振動検知機構
KR102301227B1 (ko) 함체의 지진감지장치
JP6551933B2 (ja) 損傷検知装置
EP2942764A1 (en) Road sign
TWM545294U (zh) 安全防災管理系統
CN201909622U (zh) 一种变压器架倾斜报警装置
JP5083175B2 (ja) 閃絡検出装置
KR20160018191A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2

Effective date: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