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91A -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91A
KR20160018191A KR1020140102416A KR20140102416A KR20160018191A KR 20160018191 A KR20160018191 A KR 20160018191A KR 1020140102416 A KR1020140102416 A KR 1020140102416A KR 20140102416 A KR20140102416 A KR 20140102416A KR 20160018191 A KR20160018191 A KR 2016001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ensor
sensing
collap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746B1 (ko
Inventor
김강
Original Assignee
김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 filed Critical 김강
Priority to KR102014010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면의 붕괴를 사전에 감지하여 붕괴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한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비탈면에 다수 설치되고 설치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의 기울임 발생시 그 감지정보를 현장제어기(30)로 전달하는 감지기(10)와, 상기 감지기(10)의 주변에 유무선 연결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기울임 발생시 추(25)가 기울려 접점단자(24)에 접촉되면서 접점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감지기(10)에서 기울임 발생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주변감지기(20)와, 비탈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감지기(10)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해당 감지기의 설치지역을 촬영하여 그 촬영영상과 함께 수신된 감지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자서버(40)에 전달하는 현장제어기(30)와, 여러 장소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현장제어기(3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정보를 저장하고, 전달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비탈면의 붕괴 조짐여부를 예측함과 아울러 해당 비탈면의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관리자서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System for sensing collapse of the slope}
본 발명은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면의 붕괴를 사전에 감지하여 붕괴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한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연평균 강우량(1300∼1500mm)의 2/3 정도가 하절기에 집중되는 기후 특성 때문에 사면 붕괴가 자주 발생하여 해마다 인명 및 재산의 손실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커다란 피해를 입고 있다.
따라서, 사면의 붕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국내에서는 일반국도 및 고속도로 절토사면을 대상으로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도로공사의 도로연구소에서 사면 유지관리 시스템을 각각 개발 중에 있다. 이들 사면 유지관리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위험 사면 분포현황 조사, 사면 조사 및 안정해석 수행, 대책공법 수립, 그리고 사면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근간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사면 조사와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사면의 유지관리 단계를 넘어서, 위험 사면에 대한 계측을 통해 사면의 장단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사면의 불안정 요소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사면 거동 감시가 가능한 사면 자동계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면의 붕괴를 조기에 예측 및 예보함으로써, 위험 사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고 사면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계측 시스템을 통해 사면 거동과 관련된 장기적인 자료(long term data)를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이로부터 사면 붕괴 유발요인(강우량 등)과 사면 붕괴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사면 재해 예방에 계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특히 붕괴재발 가능성이 있거나 소규모 붕괴가 진행중인 사면에 자동계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예경보 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사면 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예경보 시점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사면의 붕괴 감지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공개 제2009-0116208호(사면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계측시스템), 실용신안등록 제0293128호(사면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인 감시 시스템)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09-0116208호는 파일 중 하나에 결합되는 본체와, 그 본체에 설치되는 변위계측센서와, 파일 간 상대변위에 의해 사면 침하량을 계측하도록 본체에 설치된 침하량 계측계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잡초 등 풀이 자라 숲이 우거지게 되면 침하량 게측계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사면의 변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면의 붕괴 조짐이 없는 평상시에도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므로 많은 량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93128호는 사면 감시 영상 획득수단과, 사면 계측 데이터 수집수단과, 사면 감시 영상 처리수단과, 사면 계측 데이터 처리수단과, 중앙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촬영된 영상과 계측된 사면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사면을 감시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센서를 통해 사면의 변위를 계측하게 되나, 센서의 경우 미세한 변위까지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많은 량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116208호(2009.11.11, 사면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계측시스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293128호(2002.10.11, 사면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인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숲의 우거짐에 관계없이 전류 흐름 여부를 통해 비탈면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붕괴 조짐이 있는 경우 사전에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비탈면의 붕괴 조짐이 있는 경우에만 접점이 연결되어져 전원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비탈면에 다수 설치되고 설치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의 기울임 발생시 그 감지정보를 현장제어기로 전달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주변에 유무선 연결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기울임 발생시 추가 기울려 접점단자에 접촉되면서 접점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감지기에서 기울임 발생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주변감지기와, 비탈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감지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서버로 전달하는 현장제어기와, 여러 장소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현장제어기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정보를 저장하고, 전달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비탈면의 붕괴 조짐여부를 예측함과 아울러 해당 비탈면의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관리자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기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비탈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상기 주변감지기의 감지정보를 상기 현장제어기에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현장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해 감지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감지수단과 제어부 및 통신모듈의 전원과 상기 주변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변감지기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 접점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되고 전류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접점단자의 안쪽 중앙에 접점단자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추를 포함하고, 기울임 발생시 상기 추가 접점단자에 접촉되어 접점연결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상기 감지기에서는 전류의 흐름에 따른 전원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접점단자와 추가 서로 접촉된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엘이디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기와 주변감지기의 지주에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관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장제어기의 일측에는 상기 감지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감지정보를 송신한 해당 감지기의 설치지역을 촬영하여 감지정보와 함께 촬영영상을 관리자서버로 전달하도록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따르면, 기울임 발생에 따른 추의 이동을 통한 접점연결로 비탈면의 변위를 감지함으로써 붕괴 조짐이 있는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전에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되고, 계속적인 전원공급 없이 비탈면의 붕괴 조짐이 있는 경우에만 접점연결을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서 감지기와 주변감지기의 구체적인 회로연결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서 감지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서 주변감지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서 감지기와 주변감지기의 연결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의 기울임발생시 주변감지기의 접점연결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에 설치된 현장제어기와 감지기 및 주변감지기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는 비탈면에 다수 개 설치되는 것으로, 비탈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관리자서버(40)로 감지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비탈면의 붕괴 조짐이 발생하는 경우 사전에 이를 감지하도록 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러한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은 감지기(10), 주변감지기(20), 현장제어기(30), 관리자서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감지기(10)의 하나에 여러개의 주변감지기(20)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기는 그 감지기와 연결된 주변감지기의 정보를 상기 현장제어기(30)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감지기(10)는 비탈면에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설치지역의 기울임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현장제어기(3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감지기(10)는 감지기(10) 주변에 불규칙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주변감지기(20)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상기 현장제어기(30)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기(10)와 주변감지기(20)는 유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감지기(10)와 현장제어기(30)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진다.
이때, 상기 주변감지기(20)는 기울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전기접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감지기가 설치된 어느 한 곳에서 미끄러짐 등의 기울임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주변감지기의 전기접점이 연결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감지부에서는 현장제어기나 관리자서버로 접점신호 즉 감지신호를 보내어 비탈면 붕괴의 위험성을 알리게 되고, 관리자는 비탈면의 위험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변감지기(20)를 제외한 감지기(10)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적은 량의 에너지만으로 비탈면의 붕괴를 감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전기접점을 통해 기울기 발생정보를 얻게 됨에 따라 센서에 의한 오작동 등의 문제없이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기(10)와 주변감지기(2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주(11)와, 상기 지주(11)에 설치되어 비탈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2)과, 상기 감지수단(12)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상기 주변감지기(20)의 감지정보를 상기 현장제어기(30)에 전달하는 제어부(13)와, 상기 현장제어기(30)와의 통신을 통해 감지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1)는 하부가 상기 비탈면에 직접 매설되거나 그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받침판(11a)이 형성되어 기둥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거나 지면에 앙카 등으로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게 매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11)는 비탈면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지주(11)의 효과적인 설치를 위해 지주의 중간부분이 각도조절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관절부(11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주(11)를 지면에 기울어지게 설치하더라도 상기 관절부(11b)의 조작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절부(11b)는 90°간격으로 두 군데 형성되면 충분하나, 경우에 따라 60°간격으로 세 군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수단(12)은 통상의 기울기센서를 사용하거나, 주변감지기의 전기접점을 통한 기울기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기울기센서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어부(13)는 감지기와 주변감지기의 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지주(11)의 일측에 별도의 박스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지기와 주변감지기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배터리(15)가 구비되어 회로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수단(12)과 통신모듈(14)도 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15)는 통상 사용되는 수은전지나 건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주변감지기(2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에 유선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회로구성되어 있고, 기울임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류 흐름이 차단되어 있으며, 기울임이 발생된 경우에만 전기접점이 이루어지면서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감지기(20)의 전류 흐름 여부를 통해 해당 주변감지기가 설치된 비탈면의 기울임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감지기(20)는 지주(21)와, 케이스(22)와, 접점단자(24)와, 추(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21)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기(10)의 지주(11)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a은 받침판이고, 도면부호 21b는 관절부이다.
상기 케이스(22)는 상기 지주(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접점단자(24)와 추(25)가 설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성형하도록 하여 후술되는 엘이디램프(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50)의 발광시 빛이 외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2)는 상기 접점단자(24)와 추(25)의 설치를 위해 몸체부분(22a)과 그 몸체부분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캡부분(22b)으로 이루어지게 3개로 분리되도록 형성하고, 캡부분(22b)과 몸체부분(22a)의 결합은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캡부분(22b)과 몸체부분(22a)의 결합이 나선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 끼움결합, 나사에 의한 결합, 걸림턱에 의한 결합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접점단자(24)는 케이스(22)의 하부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추(25)는 상기 케이스(2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26)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단자(24)의 안쪽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접점단자(24)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전류흐름이 차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기울임이 발생하지 않은 최초 설치상태에서는 추(25)가 접점단자(24)에 이격된 상태에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비탈면이 기울어져 지주(21)가 기울어진 경우에 상기 추(25)가 접점단자(24)에 접촉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며,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감지기(10)에서 전류가 흘러 전원이 공급되었음을 감지하여 현장제어기(30)에 그 감지정보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점단자(24)는 일정 길이의 환봉이나 핀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0)의 내측 하부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고, 각각의 접점단자(24)는 서로 전선연결되어 있거나 전도성 패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추(25)는 와이어로프(26)에 지지된 채로 접점단자(24)의 안쪽 중앙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것이고, 추(25)와 접점단자(24)의 접촉을 통해 전기접점이 이루어져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추(25)는 2개의 접점단자(24)에 접촉하게 되어 혹여 한 지점의 접촉부분에 접촉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지점에서 접점이 연결되어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현장제어기(30)는 비탈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탈면에 다수 개 설치된 상기 감지기(10)와 유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원격지의 관리자서버(4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현장제어기(30)에는 관리자서버(4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비탈면에 설치되는 관계상 전력수급은 태양전지 등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장제어기(30)의 일측에는 상기 감지기(10)로부터 감지정보 수신시 해당 감지기(10)가 설치된 지역의 주변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서버(40)로 감지정보와 함께 전달하도록 카메라(31)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31)는 상기 현장제어기(3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지주를 구비하여 그 지주에 설치하거나 상기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한 지주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변감지기(20)에는 상기 접점단자(24)에 추(25)가 접촉된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엘이디램프(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램프(50)를 설치한 이유는, 상기 주변감지기(20)는 하나의 감지기(10)의 주변에 다수 개 설치됨에 따라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에 발광을 통해 어느 위치에 설치된 주변감지기(20)에서 접점이 연결되었는지를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관리자가 좀더 정확하고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엘이디램프(50)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모든 주변감지기(20)는 사전에 그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감지기에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접점연결시 접점연결된 해당 주변감지기를 찾아내어 현장제어기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현장제어기(30)에 경보기를 설치하여 상기 엘이디램프(50)가 발광하는 경우 경보를 울리도록 함으로써 인근을 지나가는 통행자에게 붕괴 조짐이 있음을 알려주어 갑작스런 붕괴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전류 흐름 및 차단을 위한 전선연결의 예로서, 도면부호 51은 양극전선이고, 도면부호 52는 음극전선이며, 도면부호 52a는 제1음극전선이고, 도면부호 52b는 제2음극전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는,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탈면의 붕괴 조짐으로 인해 비탈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감지기(10)와 주변감지기(20)도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주변감지기(2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추(25)가 이동되어 접점단자(24)에 접촉됨과 동시에 전기접점연결이 이루어져 제1음극전선(52a)과 제2음극전선(52b)이 서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며, 감지기(10)에서는 해당 주변감지기의 접점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현장제어기(30)에 그 감지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비탈면의 붕괴 조짐이 없는 경우에는 접점이 끊어진 상태이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미세한 기울임 발생시 그에 반응하여 기울어지면서 전기접점이 이루어짐으로써 비탈면의 붕괴 조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감지기 11: 지주
11a: 받침판 11b: 관절부
12: 감지수단 13: 제어부
14: 통신모듈 15: 배터리
20: 주변감지기 21: 지주
21a: 받침판 21b: 관절부
22: 케이스 22a: 몸체부분
22b: 캡부분 23: 수용공간
24: 접점단자 25: 추
26: 와이어로프 30: 현장제어기
31: 카메라 40: 관리자서버
50: 엘이디램프 51: 양극전선
52: 음극전선 52a: 제1음극전선
52b: 제2음극전선

Claims (6)

  1. 비탈면에 다수 설치되고 설치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의 기울임 발생시 그 감지정보를 현장제어기(30)로 전달하는 감지기(10)와,
    상기 감지기(10)의 주변에 유무선 연결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기울임 발생시 추(25)가 기울려 접점단자(24)에 접촉되면서 접점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감지기(10)에서 기울임 발생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주변감지기(20)와,
    비탈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감지기(10)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서버(40)로 전달하는 현장제어기(30)와,
    여러 장소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현장제어기(3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정보를 저장하고, 전달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비탈면의 붕괴 조짐여부를 예측함과 아울러 해당 비탈면의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관리자서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10)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주(11)와,
    상기 지주(11)에 설치되어 비탈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2)과,
    상기 감지수단(12)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와 상기 주변감지기(20)의 감지정보를 상기 현장제어기(30)에 전달하는 제어부(13)와,
    상기 현장제어기(30)와의 통신을 통해 감지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4)과,
    상기 감지수단(12)과 제어부(13) 및 통신모듈(14)의 전원과 상기 주변감지기(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감지기(20)는, 비탈면에 직접 매설 또는 비탈면에 설치된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주(21)와, 상기 지주(21)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3)이 형성된 케이스(22)와, 상기 수용공간(23)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 접점단자(24)와, 상기 케이스(2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26)에 연결되고 전류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접점단자(24)의 안쪽 중앙에 접점단자(24)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추(25)를 포함하고,
    기울임 발생시 상기 추(25)가 접점단자(24)에 접촉되어 접점연결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상기 감지기(10)에서는 전류의 흐름에 따른 전원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2)의 내측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접점단자(24)와 추(25)가 서로 접촉된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엘이디램프(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10)와 주변감지기(20)의 지주에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관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기(30)의 일측에는 상기 감지기(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감지정보를 송신한 해당 감지기의 설치지역을 촬영하여 감지정보와 함께 촬영영상을 관리자서버(40)로 전달하도록 카메라(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20140102416A 2014-08-08 2014-08-08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1609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16A KR101609746B1 (ko) 2014-08-08 2014-08-08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16A KR101609746B1 (ko) 2014-08-08 2014-08-08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91A true KR20160018191A (ko) 2016-02-17
KR101609746B1 KR101609746B1 (ko) 2016-04-06

Family

ID=5545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416A KR101609746B1 (ko) 2014-08-08 2014-08-08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4623A (zh) * 2019-06-25 2019-10-15 华中农业大学 一种基于Sentinel-2A卫星遥感影像提取崩岗信息的方法
KR20220025390A (ko) 2020-08-24 2022-03-03 (유)엠탑코리아 경사지의 붕괴 예경보 시스템 및 그 경사지의 보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28B1 (ko) 1998-03-20 2001-09-17 류승문 극성교번펄스폭/부호분할다중접속변조및복조방식
KR20090116208A (ko) 2008-05-06 2009-11-11 (주)지엠지 사면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계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28B1 (ko) 1998-03-20 2001-09-17 류승문 극성교번펄스폭/부호분할다중접속변조및복조방식
KR20090116208A (ko) 2008-05-06 2009-11-11 (주)지엠지 사면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계측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4623A (zh) * 2019-06-25 2019-10-15 华中农业大学 一种基于Sentinel-2A卫星遥感影像提取崩岗信息的方法
CN110334623B (zh) * 2019-06-25 2021-04-30 华中农业大学 一种基于Sentinel-2A卫星遥感影像提取崩岗信息的方法
KR20220025390A (ko) 2020-08-24 2022-03-03 (유)엠탑코리아 경사지의 붕괴 예경보 시스템 및 그 경사지의 보강방법
KR20220097376A (ko) 2020-08-24 2022-07-07 (유)엠탑코리아 경사지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46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328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장치
KR101457649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69571B1 (ko)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1365688B1 (ko)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KR20160104948A (ko) 게릴라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36464A (ko)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0097241A (ja) 自律型災害予知センサ
KR101815121B1 (ko) 통합 스마트 센서 및 관제서버를 통한 건축물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62961B1 (ko) 표면멀티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1967585B1 (ko) 결빙 감지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결빙 감지 방법
KR101609746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1211566B1 (ko) 지하수 점검을 위한 센서모듈, 이를 포함하는 지하수 관리 시스템 및 지하수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101875028B1 (ko)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06407856A (zh) 高压输电线路定位巡线检测方法
KR102031808B1 (ko) 교량변위 측정 시스템
KR102020123B1 (ko)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6150B1 (ko) 지적기준점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211787444U (zh) 一种智能标志桩
KR102176027B1 (ko) 지능형 데리네이터 시스템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KR20210042068A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59480B1 (ko)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및 추적시스템
US11148638B2 (en) Dock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