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485B1 -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485B1
KR102489485B1 KR1020200165844A KR20200165844A KR102489485B1 KR 102489485 B1 KR102489485 B1 KR 102489485B1 KR 1020200165844 A KR1020200165844 A KR 1020200165844A KR 20200165844 A KR20200165844 A KR 20200165844A KR 102489485 B1 KR102489485 B1 KR 10248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ole
electric pole
electr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896A (ko
Inventor
박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6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4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7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주 진단장비는 상기 배전 전주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하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부; 및 상기 배전 전주의 기울기가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각도 측정부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Angl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eccentric load of the power distribution pole}
본 발명은 배전 전주의 안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배전 전주의 편심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전주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 선로에서 전주는 선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직선로의 경우에는 케이블 자중을 받아 수직 하중인 압축력만 받지만 말단 전주 또는 각도주의 경우는 휨력을 받게 된다. 콘크리트 전주에서 휨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주 내부에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을 설치한다. 강선에 미리 긴장력(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같은 휨 하중에 대하여 변위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프리스트레스트 공법은 휨 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면을 통하여 외부의 습기가 콘크리트 전주 내부로 침투하여 강선에 녹을 유발할 수 있다. 강선에 발생한 녹으로 인하여 응식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현상에 의하여 강선에 균열이 발생하고 강선이 절단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강선의 균열 또는 절단으로 전주가 도괴되는 사고고 발생하고 있는 형편이다.
상세하게, 콘크리트 전주는 배전 케이블, 통신 케이블에 의한 장력 풍하중, 지진하중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휨력을 받는다. 전주에 휨력이 작용할 때 힘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지점은 전주와 지반이 접하는 부위이다. 상세하게, 지반의 상태에 따라 휨력의 최대점이 결정되는데 지지력이 약한 토사에서는 지반에서 약 40 cm 아랫부분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형성된다. 한편, 아스팔트 같은 강한 지반에서는 지반과 접하는 부위에 가장 큰 모멘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반의 강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지반과 지반 아래 약 40cm 영역에서 휨력이 크게 작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강선이 파단되어 도 14와 같이 전주 도괴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전주의 일정한 위치의 변위값으로 변형 형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내부 강선의 파단을 판별하였다. 또한, 고가의 3차원 스캐너나 다양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정밀도가 높지 않아 전주의 변형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나아가, 전주에 표시된 거푸집 선을 측정하여 플로팅하는 것으로 경사도를 분석할 수 있지만 분석 방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덧붙여, 콘트리트 전주 내부의 강선의 파단 부위가 지반 아래에 있으므로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도괴 위험성이 있는 콘크리트 전주를 판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전주의 구조적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전주의 강선의 균열 또는 절단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건전성을 직접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는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 전주의 기울기가 시간변화에 따라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최대 기울어짐 각도를 제공하여 배선 전주의 도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는 상기 배전 전주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하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부; 및 상기 배전 전주의 기울기가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각도 측정부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측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 값을 지시하도록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를 유동적으로 운동하게 도움을 주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지 배전 전주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무게추의 변위를 시각화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쪽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소정 간격으로 구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전주의 각도 변화값의 정도를 시각화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와 상기 각도 유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유지부는 톱니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하단에는 상기 톱니에 대응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주 진단장치는 수평을 시각화하는 수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주 진단장치는 투명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는 배전 전주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배선 전주의 각도의 변화를 시각화하여 망원경과 같은 간단한 설비만으로도 배전 전주 편심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는 각도 유지부를 구비하여, 시간변화에 따라 편하중을 받아 휘어진 배전 전주 상태에서 강선파단과 균열이 발생하여 직선화되여 전주의 기울기가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최대 기울어짐 각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배선 전주의 도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편하중을 받지 않는 휘어짐 현상이 없는 전주의 예시이다.
도 2는 편하중을 받아 활처럼 휘어진 전주 변형형상의 예시이다.
도 3은 편하중을 받아 휘어진 전주(a)에 강선파단과 균열이 발생하여 직선화 된 형상(b)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과정의 각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과정 중 각도의 변화를 수직축으로 시간의 변화를 수평축으로 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의 실시예에 관련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7의 전주 진단장비가 편하중 없이 각도가 없는 상태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는 현장 전주에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가 설치된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각도 유지부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수준기가 추가된 실시예이다.
도 13은 수준기를 전주에 부착한 모습이다.
도 14는 편하중에 의하여 강선이 파단되고 균열이 발생하여 절손사고가 발생한 전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편하중을 받지 않는 휘어짐 현상이 없는 전주의 예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배전 전주(1)의 형상을 나타낸다. 지면(2)에 수직으로 시공된 상태이다. 이는 배전 전주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16 m 길이의 전주의 경우에는 2.5 m가 지반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도 2는 편하중을 받아 활처럼 휘어진 전주 변형형상의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배전 전주(1')는 케이블에 의하여 편하중이 작용한 예시이다. 배전 전주(1')는 전주 내부에 프리스트레스트 강선을 구비하는 탄성체이므로 편하중이 작용하면 활처럼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설계하중 이내의 하중이라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외부에서 편하중이 크게 작용하여 설계하중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내부 강선이 파단되며 전주의 도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편하중을 받아 휘어진 전주(a)에 강선파단과 균열이 발생하여 직선화 된 형상(b)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편하중을 받아 휘어진 전주(1')다. 이때 편하중을 받는 휘어진 전주(1')는 탄성으로 인하여 활처럼 휘어 있는 상단부의 각도는 θ1이다. 편하중을 가한다면 끝단에서 약 3 m의 변형이 발생하게된다.
휘어진 전주(1')는 밑둥이 넓으며 끝단이 좁은 형태로 1/75의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전선에 의한 편하중이 작용될 경우 끝단으로 갈수록 변형의 각도가 커진다. 전주가 편하중에 의하여 활처럼 휘는 것은 전주가 외부의 힘에 정상적인 반응이나 위험한 상황에 이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편하중이 지속적으로 받아 휘어진 전주(1')는 활처럼 휜 형태로 상당 기간 유지되다가 지면(2) 모멘트가 가장 강한 부분에서 강선의 부식에 의한 응식부식균열(SCC) 현상에 의하여 강선에 균열이 발생하고 강선이 파단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편하중을 받으며 활처럼 휘어진 전주(1')는 직선으로 펴지며 상단부의 각도는 θ2가 되어 (b)에 개시된 직선형 전주(1")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주의 휨 현상과 강선의 균열은 전선의 인장력에 의한 편하중으로 발생하게 되며, 편하중을 받는 배전 전주는 각도주, 말단주 및 분기주에 해당한다. 즉, 편하중은 전주 설치조건이 바뀌지 않는다면 없앨 수 없다, 이에 전주가 절손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판단하여 조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 4는 도 3의 변형과정의 각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주의 상단에서 발생하는 각도의 변화를 선형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내부 강선의 파단으로 θ1에서 전주 상단의 각도가 θ2로 줄어드는 역전현상이다. 상단부의 각도가 θ2되면 전주가 절손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으로 전주 상단의 각도가 역전되는 현상을 감지하여 전주의 안정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휘어진 전주(1')와 직선형 전주(1")의 각도를 비교하면, θ1>θ2이다. 다시말하자면, θ1은 편하중을 받고있는 상태이고, θ2는 직선으로 펴진 후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변형과정 중 각도의 변화를 수직축으로 시간의 변화를 수평축으로 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전 전주가 편하중을 받아 절손되는 과정은 시간 변화로 각도가 변형됨을 알 수 있다. 전주가 절손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전주가 기울어지는 변형이 증가하고, 이와 비례하면서 각도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어서, 종국에는 전주가 절손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편하중을 받으며 지선이 설치되지 않는 전주는 활처럼 휘어져 있다가 강선의 파단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전주 상단의 변형은 변하지 않지만 각도는 오히려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각도가 작아지는 역전이 일어난다. 다시 말해, 균열 각도변화 구간에서는 각도의 역행을 관찰할 수 있다.
나아가, 강선의 파단이 계속 진행하게 되면 전주가 외력에 저항할 수 없을 때 기울어지며 절손되는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즉, 도시와 같이 편하중을 받아 활처럼 휘는 구간에서는 각도가 증가하고, 균열이 발생하면 각도가 줄어드는 역행이 발생하다가. 전주 절손이 이루어지면 다시 각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10) 결합부(100), 각도 측정부(200), 각도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주 진단장비(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의 실시예에 관련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전 전주 진단장비(10)는 전주 상단에서 전주의 휨 또는 기울임의 각도로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원리를 설명하자면, 전주 상단부에 본 발명의 진단장비(10)를 설치하여 무게추(230)의 자중에 의하여 수직을 유지하는 것으로 전주 상단부의 전주와 샤프트(220) 사이의 각도를 지시한다.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주기별로 측정하여 전주의 안전도가 변화는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주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IoT 각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유지관리 및 장비 설치 비용을 감안할 시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설치된 진단장비(10)는 지면으로부터 12 m 위치에 있으므로 각도를 읽기 위해서는 망원경 또는 망원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통하면 쉽게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
결합부(100)는 배전 전주(1')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100)는 전주에 밴드형의 장치를 설치한 후 거치할 수도 있고, 전주에 특정 구조물을 식재하여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결합부(100)는 전주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와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각도 측정부(200)는 결합부(100)에 연결되어 배전 전주의 편심하중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각도 측정부(200)는 힌지부(210), 샤프트(220) 및 무게추(230)를 포함하다. 힌지부(210)는 결합부(100)의 일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샤프트(220)는 힌지부(210)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 값을 지시하도록 형성된다. 무게추(230)는 샤프트(2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전술한 것과 같이 힌지부(210)를 유동적으로 운동하게 도움을 주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10a)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된 진단장비(10)에 배전 전주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무게추의 변위를 시각화하는 각도 표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각도 표시부(300)는 샤프트(220)의 양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각도 표시부(300)는 소정 간격으로 구역으로 구분되어 전주의 각도 변화값의 정도를 시각화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 간격으로 구역이 구분되는 것은 눈금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면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전주 진단장비가 편하중 없이 각도가 없는 상태의 예시이다. 도 8에서는 전주(1)가 편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 또는 편하중에 의하여 변형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시와 같이 편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샤프트(22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10b)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단장비(10b)는 하우징(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단장비(10b)는 태풍이나 강한 바람에 의하여 추가 임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바람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400)을 부착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내구성을 갖추며 투명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망원경과 같은 수단을 통해 각도의 변화 상태를 관찰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는 현장 전주에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10a)가 설치된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진단장비(10a)는 변압기(미도시) 상부 전선 아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주에 부착된 금구에 간섭되지 않게 본 장비를 부착할 수 있는 위치이다. 또한, 진단장비(10a)는 전선의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선이 전주를 당기는 힘으로 휨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각도 유지부의 개념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수준기가 추가된 실시예이고, 도 13은 수준기를 전주에 부착한 모습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단장비(10c)는 각도 유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단장비(10a)의 각도 유지부(500)는 배전 전주(1')의 기울기가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각도 측정부(200)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각도 유지부(500)는 무게추(230)의 운동방향을 한쪽으로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로 각도 유지부(500)는 톱니로 형성된 라쳇장치일 수 있다. 이에, 무게추(230)는 판스프링(232)을 구비할 수 있다. 무게추(230)는 중량부(231)와 판스프링(232)로 형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232)은 중량부(231)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도 유지부(500)의 톱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각도 유지부(500)는 전술된 각도 표시부(3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각도 유지부(500)에 소정 간격으로 구역이 구분되어 눈금 또는 각도 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판스프링(232)은 톱니의 오름방향으로는 추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전주가 활처럼 휘어진 상태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직선으로 펴지며 각도가 역행하며 줄어들 때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도 12의 왼쪽에 있는 것처럼 추가 기울어져 수준기(600)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는 수직이 아니고 기울어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수준기(600)를 수평으로 추에 부착한 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여기서 수준기(600)는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어 수평을 측정하는 것과 같이 수평을 측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기구라면 형태에 제한되지 아니하니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주 진단장치는 수평을 시각화하는 수준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배전원이 망원경을 통하여 수준기(600)가 한쪽으로 치우친 전주를 찾으므로 위험성 있는 전주를 발견할 수 있다.
수준기(600)는 무게추(230)에 구비되는 실시예 또는 전주에 구비되는 예 모두 가능하다. 즉, 수준기(600)의 수평정도와 각도 표시부(300)에서 나타내는 값을 종합하여 전주의 기울기 또는 기울어짐 히스토리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3과 같이 수준기(600')만 전주에 부착될 수도 있다. 수준기(600')를 부착할 수 있는 전주는 현장에 설치된 지 일정기간이 경과한 전주로서 편하중을 받아 활처럼 휘어져 있는 전주가 해당된다. 이러한 전주에 수준기(600')를 수평으로 부착하면 수준기(600')는 물방울이 중앙에 있는 평행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전주하단에 SCC로 인한 강선의 파단 및 균열이 발생하여 전주가 직선상태를 펴지게 되면 각도가 작아지므로 수준기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에, 전주의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 전주를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수준기(600')는 전주에 부착된 금구에 간섭되지 않게 변압기(미도시) 상부 전선 아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선이 전주를 당기는 힘으로 휨력이 발생하므로 수준기(600')의 설치 방향은 전선의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1', 1": 전주
2: 지면
10, 10a, 10b, 10c: 진단장비
100: 결합부
200: 각도 측정부
210: 힌지부, 220: 샤프트, 230: 무게추
231: 중량부, 232: 판스프링
300: 각도 표시부
400: 하우징
500: 각도 유지부
600, 600': 수준기

Claims (9)

  1. 배전 전주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있어서,
    상기 배전 전주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하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부; 및
    상기 배전 전주의 기울기가 작아져 전주의 기울어짐 각도가 역행하더라도 각도 측정부가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측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도의 변화 값을 지시하도록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를 유동적으로 운동하게 도움을 주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유지부는 톱니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하단에는 상기 톱니에 대응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지 배전 전주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무게추의 변위를 시각화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진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쪽에 배치되는 전주 진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소정 간격으로 구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전주의 각도 변화값의 정도를 시각화하는 전주 진단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와 상기 각도 유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전주 진단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진단장치는 수평을 시각화하는 수준기를 더 포함하는 전주 진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진단장치는 투명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전주 진단장치.
KR1020200165844A 2020-12-01 2020-12-01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KR10248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44A KR102489485B1 (ko) 2020-12-01 2020-12-01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44A KR102489485B1 (ko) 2020-12-01 2020-12-01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96A KR20220076896A (ko) 2022-06-08
KR102489485B1 true KR102489485B1 (ko) 2023-01-18

Family

ID=8198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44A KR102489485B1 (ko) 2020-12-01 2020-12-01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707A (ko) 2022-07-21 2024-01-30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의 기울기 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4390A1 (en) 2004-12-03 2006-06-1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ngle meter and spirit level
KR200431018Y1 (ko) 2006-07-12 2006-11-13 박완근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US20080223191A1 (en) * 2006-05-12 2008-09-18 Paul Sargeant Attachment for a power tool guide rail
KR100911901B1 (ko) * 2008-12-18 2009-08-13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KR200455493Y1 (ko) 2009-09-22 2011-09-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철식 베어링 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4390A1 (en) 2004-12-03 2006-06-1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ngle meter and spirit level
US20080223191A1 (en) * 2006-05-12 2008-09-18 Paul Sargeant Attachment for a power tool guide rail
KR200431018Y1 (ko) 2006-07-12 2006-11-13 박완근 기울기 측정용 센서를 구비한 전봇대
KR100911901B1 (ko) * 2008-12-18 2009-08-13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KR200455493Y1 (ko) 2009-09-22 2011-09-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철식 베어링 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96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327B2 (en) Utility pole with tilt meters and related methods
KR102082238B1 (ko) 변형 가능한 센서 케이스를 갖는 변위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 측정장치 및 변위량 계측 시스템
KR100784985B1 (ko) 구조물 경사측정용 센서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거동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9485B1 (ko)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KR101202190B1 (ko) 변위 측정장치
KR20140131125A (ko) 매립형 변위계를 이용한 터널변위 측정방법
CN112064686A (zh) 沉管隧道接头张开量监测方法
KR101179667B1 (ko) 크랙 측정기
KR101220311B1 (ko) 벤딩 센서 장치
KR102354658B1 (ko) 교량 받침 변형량 및 교량받침부 변위량 측정 장치
JP2005181176A (ja) 傾斜測定装置および地盤変位モニタリング装置
KR101209939B1 (ko)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기반의 구조물 변위 계측장치 및 그가 적용된 교량의 받침형 내진장치
CN111608213A (zh) 一种基坑支护桩水平位移的测量方法及装置
KR101514437B1 (ko) 지중 경사계
CA2423395A1 (en) Level monitoring sensor apparatus, solid structure sensor apparatus, and pendulum sensor apparatus
KR20090105555A (ko)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CN110359501B (zh) 锚索自由段钢绞线应力测量结构
KR100698540B1 (ko) 침하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보강 시스템
CN112556647A (zh) 建筑工程施工用地基沉降观测装置及实施方法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CN212772499U (zh) 一种基坑支护桩水平位移的测量装置
KR102338996B1 (ko) 지반 조건을 반영한 파이프 구조물의 구조 실험장치
KR20220105947A (ko) 콘크리트 전주 경사도 현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6595590A (zh) 一种基于平衡杆原理的双向测斜仪
CN111412937A (zh) 基于光纤光栅的隧道安全监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