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604Y1 -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 Google Patents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604Y1
KR200430604Y1 KR2020060016759U KR20060016759U KR200430604Y1 KR 200430604 Y1 KR200430604 Y1 KR 200430604Y1 KR 2020060016759 U KR2020060016759 U KR 2020060016759U KR 20060016759 U KR20060016759 U KR 20060016759U KR 200430604 Y1 KR200430604 Y1 KR 200430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ink
toilet
toilet sea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성
Original Assignee
장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화성 filed Critical 장화성
Priority to KR2020060016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1) 저수통에 세면대가 힌지 결합되고 물을 밸브(10)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며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 뚜껑을 가지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에 있어서,
후면부(21) 상면이 저수통(30) 상면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된 세면대(20); 및
상기 세면대(20)의 후면부(21) 바닥 일부가 저수통(30) 위에 겹치도록 안치되는 안치홈(31)을 저수통(30)에 가지며, 안치홈(31)은 세면대(20)의 물을 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공간과 통하도록 하여 세면대(20)의 물을 저수통(30)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룬 저수통(30)을 포함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이다.
세면대,좌변기,일체형

Description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Toiletbowl with a washbowl}
도 1 은 종래의 일체형 세면대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세면대 물을 버리는 과정을 보이는 단면도,
도 5 는 변기 사용시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대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좌변기 2;좌변시시트 3;저수통 4;물배출구 5;주배출구 6;힌지 7;세면대 8;가이드바 9;세면배수관 10;밸브 11;밸브배수구 20;세면대 21;후면부 22;힌지 23;받침턱 30;저수통 31;안치홈 32;여과망 33;측면부 40;좌변기 뚜껑 41;경사면
본 고안은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좌변기와 세면대를일체로 결합하되, 세면기의 사용한 물을 좌변기의 저수통에 붙는 방식으로 배출하도록 좌변기의 저수통과 세면대의 후단부가 겹치도록 결합시킨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와 좌변기는 상호 일정한 공간을 두고 분리 설치된다. 따라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도 1 과 같이 좌변기 위에 세면대를 일체로 설치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는 좌변기(1)위에 좌변기시트(2)가 있고, 좌변기(1)의 뒷쪽에는 (3)이 안치되며, 저수통(3)과 좌변기(1)는 상호 물배출구(4)를 통하여 연통되고, 좌변기(1)의 중앙에는 하부로 배출되는 주배출구(5)를 이룬다.
저수통(3) 상면에는 힌지(6)로 수평과 수직 상태를 이루는 세면대(7)를 유착시킨다. 세면대(7)와 저수통(3)은 가이드바(8)에 의하여 수평과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안내한다. (9)는 세면 배수관, (10)은 세면대(7)에 설치한 급수용 밸브,(11)은 세면 배수관(9)과 통하도록 레버를 작동시 여닫혀 세면대의 물을 저장하거나 배출토록 하는 밸브배수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세면대에서 물을 공급받는 방식이어서, 밸브와 급수파이프 및 배수관 등을 함께 설치하여야하는 방식이기에 설치가 어렵고, 밸브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세면대의 두께와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어서, 설치 및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대를 좌변기 의 저수통에 상면이 겹치도록 설치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설치와 배수를 세면대 전면을 위로 들어 베수토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수 구조를 요하지 않도록 한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의 후면부 측면에는 힌지를, 상하면은 저수통의 상면과 일부 겹치도록 설치하여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 없어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세면대의 후면부와 좌변기의 저수통 상면이 일부 겹치도록 설치하고 후면부의 측면은 상호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겹치는 공간은 세면대의 상면이 저수통의 상면 내면에 오도록 겹치게 구성하여 겹치는 부분을 통하여 세면대를 힌지를 중심으로 들었을 때 배수가 되도록 하여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한다.
즉, 본 고안은 좌변기 저수통에 세면대가 힌지 결합되고 물을 밸브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에 있어서,
후면부 상면이 저수통 상면 내측에 겹치도록 지지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후면부 바닥 일부가 저수통 위에 겹치도록 안치되는 안치홈을 저수통에 가지며, 안치홈은 세면대의 물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공간과 통하도록하여 세면대의 물을 저수통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룬 저수통을 포함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원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세면대 물을 버리는 과정을 보이는 단면도, 도 5 는 변기 사용시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대기 상태의 측면도로,
좌변기(1) 저수통에 세면대가 힌지 결합되고 물을 밸브(10)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며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 뚜껑을 가지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로,
후면부(21) 상면이 저수통(30) 상면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된 세면대(20); 및
상기 세면대(20)의 후면부(21) 바닥 일부가 저수통(30) 위에 겹치도록 안치되는 안치홈(31)을 저수통(30)에 가지며, 안치홈(31)은 세면대(20)의 물을 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공간과 통하도록 하여 세면대(20)의 물을 저수통(30)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룬 저수통(3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세면대(20) 후면부(21) 양측과 저수통(30)의 양측 측면부(33)는 상호 힌지(22)로 힌지 결합되고, 세면대(20) 후면부(21)의 바닥에는 저수통(30)의 전면에 형성한 안치홈(31)에 지지되는 받침턱(23)을 형성한다.
여기서 물을 공급하는 밸브(10)는 저수통(30) 상면에 설치한다.
저수통(30)의 세면대(20) 바닥에 인접한 수평 부위에는 세면대(20)를 힌지(22)를 중심으로 들어 배출할 때 물에 있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여과망(32)을 설치한 것이 좋다. 여과망(32)은 저수통(30) 측면부(33)에서 분리 세척 가능토록 끼움 결합 가능토록 설치함이 좋다
좌변기 시트(2) 위에 안치되는 좌변기 뚜껑(40)의 선단은 좌변기 뚜껑(4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세면대(20)를 수평으로 펼칠 때 세면대 저면의 받침턱(23) 에 닿아 수평으로 내려오는 힘을 받도록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41)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고안은 도 2 및 도 3 상태에서 수평으로 펼친 세면대(20)에 밸브(10)를 열고 물을 공급하여 원하는 양만큼 채운 다음 밸브(10)를 닫고 세면한다(물론, 이 경우 밸브(10)는 냉온수를 겸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세면 후 세면대(20)의 전면을 들어 도 4 및 도 5 와 같이 세면대(20)를 힌지(22)를 중심으로 들어올리면 세면대(20)에 있던 물이 후면부(21) 상단을 통하여 안치홈(31)이 상호 연통 되어 저수통(30)에 공급되고, 사용자는 이를 변기용으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세면대(20)를 들어 수직 상태로 고정할 때는 도 6 과 같이 좌변기 뚜껑(40)을 들어 올려져 있던 상태에서, 세면대(20)를 앞으로 당기면(도 6 에서 힌지(22)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면대(20)의 후면부(21)의 외부 바닥면이 경사면(41)을 눌러 동시에 도 3과 같이 수평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세면대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사용이 끝나면 도 4 및 도 6 과 같이 세면대(20)의 전면을 들어 사용한 물을 저수통으로 배출하게 된다.
아울러 일정 주기로 여과망(32)을 분리시켜(분리 수단은 다양하므로 도시를 생략함), 세척 후 끼움 결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은 세면대를 좌변기의 저수통에 상면이 겹치도록 설치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설치와 배수를 세면대 전면을 위로 들어 배수토록 함으로 써 별도의 배수 구조를 요하지 않도록 한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세면대의 후면주 측면에는 힌지를, 상하면은 저수통의 상면과 일부 겹치도록 설치하여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 없어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세면대의 물을 사용 후 저수통에 부어 버리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배수관이 필요 없고, 배수관 및 밸브가 필요없이 물을 담을 수 있는 구조면 세면대로 사용 가능하여, 흙이 아닌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중량이 가볍게 제작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간이 화장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사용 가능토록 한다.

Claims (5)

  1. 좌변기(1) 저수통에 세면대가 힌지 결합되고 물을 밸브(10)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며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 뚜껑을 가지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에 있어서,
    후면부(21) 상면이 저수통(30) 상면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된 세면대(20); 및
    상기 세면대(20)의 후면부(21) 바닥 일부가 저수통(30) 위에 겹치도록 안치되는 안치홈(31)을 저수통(30)에 가지며, 안치홈(31)은 세면대(20)의 물을 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공간과 통하도록 하여 세면대(20)의 물을 저수통(30)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룬 저수통(30)을 포함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세면대(20) 후면부(21) 양측과 저수통(30)의 양측은 상호 힌지(22)로 힌지 결합시키고, 세면대(20) 후면부(21)의 바닥에는 저수통(30)의 전면에 형성한 안치홈(31)에 지지되는 받침턱(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물을 공급하는 밸브(10)는 저수통(30) 상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저수통(30)의 세면대(20)바닥에 인접한 수평 부위의 저수통(30)에는 세면대(20)를 힌지(22)를 중심으로 들어 배출하는 물에 있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여과망(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좌변기 시트(2) 위에 안치되는 좌변기 뚜껑(40)의 선단은 좌변기 뚜껑(4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세면대(20)를 수평으로 펼칠 때 세면대 저면의 받침턱(23)에 닿아 수평으로 내려오는 힘을 받도록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4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KR2020060016759U 2006-06-21 2006-06-21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KR200430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759U KR200430604Y1 (ko) 2006-06-21 2006-06-21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759U KR200430604Y1 (ko) 2006-06-21 2006-06-21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604Y1 true KR200430604Y1 (ko) 2006-11-10

Family

ID=4177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759U KR200430604Y1 (ko) 2006-06-21 2006-06-21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99Y1 (ko) 2011-03-08 2013-06-04 구화진 세면대 겸용 좌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99Y1 (ko) 2011-03-08 2013-06-04 구화진 세면대 겸용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604Y1 (ko)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KR10076728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JPH07224455A (ja) 間接排出型衛生装置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US6353944B1 (en) Wash basin with protective water film
CN101725169A (zh) 一种废水利用装置和多功能全自动废水利用抽水马桶
CN106522324A (zh) 一种方便使用的马桶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CN105421561A (zh) 一种立式节水小便池
CN204876015U (zh) 立式节水小便池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JP3684230B2 (ja) 排水フロート構造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972250B1 (ko) 좌식 빨래통
KR2010001269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JP3759840B2 (ja) 浴室
KR100843618B1 (ko) 배수용 개폐장치
JP4218197B2 (ja) 手洗鉢
CN205411056U (zh) 一种无水坐便器
TWM618853U (zh) 一種用於衛浴設備的輔助裝置及其系統
JP3197967U (ja) 洗い桶
JP2002021145A (ja) 中水仕様の洗浄タンク
JP2004169439A (ja) 排水フロート構造
JP2019055065A (ja) 衛生設備機器
KR20140072950A (ko) 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