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99Y1 - 세면대 겸용 좌변기 - Google Patents

세면대 겸용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99Y1
KR200467199Y1 KR2020110003802U KR20110003802U KR200467199Y1 KR 200467199 Y1 KR200467199 Y1 KR 200467199Y1 KR 2020110003802 U KR2020110003802 U KR 2020110003802U KR 20110003802 U KR20110003802 U KR 20110003802U KR 200467199 Y1 KR200467199 Y1 KR 200467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wash basin
vanit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13U (ko
Inventor
구화진
Original Assignee
구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화진 filed Critical 구화진
Publication of KR20120006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 상에 세면대가 위치하여 세안이 좌변기 위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좌변기의 설치공간만으로 세면대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좌변기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욕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세면대 겸용 좌변기는, 배면에 급수공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공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측에 사각 지지대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에 힌지부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면대 겸용 좌변기{TOILET BOWL WITH WASHBOWL}
본 고안은 세면대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 상에 세면대가 위치하여 세안이 좌변기 위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좌변기의 설치공간만으로 세면대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좌변기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욕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내에 설치되는 좌변기는 주로 욕실이나 또는 화장실 내에 구비되어져 있고, 이러한 좌변기는 별도의 세면대와 함께 비좁은 공간을 제각기 독립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한, 사회환경이 점진적으로 도시화되다 보니 도시에서의 주거공간이 극심하게 비좁아지고 있고, 세대당 점유하는 주거 면적도 협소화되어 원룸 형태의 주거지가 대폭 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실정에서 건설업자는 건물을 지을 때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아울러, 가옥내의 욕실 등에 설치되어져 있는 좌변기와 세면대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해서 오히려 이러한 설치물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이 비좁아지게 되고, 욕실을 이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대한 노력을 경주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안과 용변 세척이 하나의 구조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좌변기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변기 상에 세면대가 위치하여 세안이 좌변기 위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좌변기의 설치공간만으로 세면대 설치가 가능한 세면대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여 좌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으로 물 사용을 기존과 대비하여 1/2 이상으로 줄일 수 있는 절수효과를 갖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는, 후측 상부에 급수공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후측 상부에 상기 급수공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양측 하부에 힌지부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수조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는, 배면에 급수공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공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측부에 사각 지지대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에 힌지부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조의 전면 상측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면대 내측의 오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의 오목부가 상기 수조의 볼록부가 상호 당접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틀어서 물을 상기 세면대의 오목부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 몸체의 후측에는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을 호스를 경유하여 저장되는 폐수 탱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로 상수도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유입 통로와 상기 폐수 탱크로부터 폐수를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폐수 유입 통로에는 이중 펌프를 개재하여 상기 수돗물이 수조로 공급될 때, 상기 이중 펌프의 제 1 펌프가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펌프 옆에 설치된 제 2 펌프는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상기 폐수를 자동으로 상기 수조내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의 전면 하측에는 다단의 힌지 삽입홈이 설치되어 상기 세면대의 상기 힌지부가 각각의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어 90도 회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개념의 세면대 겸용 좌변기에 의하면, 세안과 용변 세척이 하나의 구조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좌변기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욕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좌변기 상에 세면대가 위치하여 세안이 좌변기 위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좌변기의 설치공간만으로 세면대 설치가 가능하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여 좌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으로 물 사용을 기존과 대비하여 1/2 이상으로 줄일 수 있는 절수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세면대의 높낮이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이중 펌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세면대의 높낮이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의 이중 펌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1)는, 후측 상부에 급수공(11)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10)와; 상기 변기 몸체(10)의 후측 상부에 상기 급수공(11)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의 양측 하부에 힌지부(50)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수조(20)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50)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30)와; 상기 세면대(30)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30)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기 몸체(10)는 상시 일정량의 봉수가 담겨지도록 내부에 담수 공간부(미도시)가 상방으로 트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 몸체(10)상에는 좌변기 시트(12)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20)는 종래의 수조와 동일한 거의 사각 통형상으로서, 전면 하측에는 다단의 힌지 삽입홈(21)이 설치되어 세면대(30)의 힌지부(50)가 삽입되어 90도 회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직으로 힌지 삽입홈(21)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키 높이에 부합되게 세면대(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수조(20)의 전면 상측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세면대(30) 내측의 오목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30)의 오목부(31)가 상기 수조(20)의 볼록부(22)가 상호 당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22)에는 세면용품 거치대(22-1)가 형성되어 있어, 세면대(30)의 사용시에는 세숫비누, 화장품, 치약 또는 칫솔 등과 같은 세면 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변기 몸체(10)의 후측에는 폐수 탱크(60)가 설치되어 세면대(30)에서 사용된 물을 호스(32)를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은 수조(20)로 상수도의 수돗물 파이프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유입 통로(23)와 상기 폐수 탱크(60)로부터 폐수를 상기 수조(20)로 공급하는 폐수 유입 통로(24)에는 이중 펌프(70)를 개재하여 수돗물이 수조(20)로 공급될 때, 이중 펌프(70)의 제 1 펌프(71)가 작동함과 동시에 제 1 펌프(71) 옆에 설치된 제 2 펌프(72)는 자동으로 펌핑되어 폐수 탱크(60)에 저장된 폐수를 자동으로 수조(20)내로 공급하게 되어 폐수를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
즉, 변기의 사용 후에, 상수도의 수돗물이 수돗물 유입 통로(23)로 자동으로 들어갈 때, 제 1 펌프(71)가 자동으로 작동되고, 제 1 펌프(71)의 작동과 동시에 제 2 펌프(72)가 작동되어 폐수 탱크(60)내에 저장된 폐수가 자동으로 수조(20)로 공급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수조(20)에는 회전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좌변기 사용후, 회전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수조(20) 내에 있는 물이 자동으로 급수공(11)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레버에 의한 물의 공급 구조는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세면대(30)는 일측으로 개방된 오목부(3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세면을 할 수 있는 공간부가 된다.
아울러, 상기 세면대(30)의 일측에는 수도꼭지(미도시)가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수도꼭지(미도시)를 틀어서 물을 오목부(31)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세면대(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 꼭지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물 탱크로서의 수조(20)의 일측에 수도꼭지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한 수도꼭지는 호스(미도시)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되는 구조이며, 냉수 또는 온수나, 냉온수가 믹스된 적정 온도의 물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꼭지 및 호스의 구조도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면대(30)의 일측에는 세면대(30)의 사용후에 상기 세면대(30)의 오목부(31)내에 고여진 물이 호스(32)를 통해 변기 몸체(10)의 후측에는 폐수 탱크(60)로 보내져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폐수 탱크(60)에 저장된 폐수는 이중 펌프(70)의 작동시에 제 2 펌프(72)는 자동으로 펌핑되어 폐수 탱크(60)에 저장된 폐수를 자동으로 수조(20)내로 공급하게 되어 폐수를 재활용하여 물 사용을 기존과 대비하여 1/2 이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수평 거치대(40)는 상기 세면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면대(30)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세면대(30)를 힌지부(50)를 통해 하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수평 거치대(40)를 펴서 하부에서 상기 세면대(3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들이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100)는, 배면에 급수공(미도시)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110)와; 상기 변기 몸체(110)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공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120)와; 상기 변기 몸체(100)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조(120)의 대향하는 양사이드에 상측으로 수직된 사각 지지대(180)를 개재하여 상기 수조(120)의 상부에 지지되는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170)와;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170)에 힌지부(150)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150)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150)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130)와; 상기 세면대(130)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130)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14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100)는, 변기 몸체(10)의 상측부에 수조(20)가 설치되는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변기 몸체(110)의 후측부에 수조(120)가 위치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각 지지대(180)를 개재하여 수조(120)의 상부에 지지되는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170)가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변기 몸체(110)의 후측부에 수조(120)의 경우에는 상기 급수공(미도시)에 연통되는 급수 파이프가 별도 설치되고, 이러한 급수 파이프는 수조(1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필밸브가 설치되는 구조 등으로 된 것은 주지된 기술이며,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면대(130)의 하측에는 수평 거치대(140)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 몸체(110)상에는 좌변기 시트(112)가 위치되어 있다.
아울러, 수조(120)의 대향하는 양사이드에 상측으로 수직된 사각 지지대(180)에는 다단의 힌지 삽입홈(121)이 설치되어 세면대(130)의 힌지부(150)가 삽입되어 90도 회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직으로 힌지 삽입홈(121)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키 높이에 부합되게 세면대(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170)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세면용품 거치대(171)가 형성되어 있어, 세면대(130)의 사용시에는 세숫비누, 화장품, 치약 또는 칫솔 등과 같은 세면 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변기 몸체(110)의 후측에는 폐수 탱크(160)가 설치되어 세면대(130)에서 사용된 물을 호스(미도시)를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중 펌프의 구조를 이용하여 폐수 탱크(160)에 저장된 폐수를 자동으로 수조(120)내로 공급하게 되어 폐수를 재활용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1, 100: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겸용 좌변기
10, 110: 변기 몸체 11: 급수공
12, 112: 좌변기 시트 20, 120: 수조
21, 121: 다단의 힌지 삽입홈 22: 볼록부
23: 수돗물 유입 통로 24: 폐수 유입 통로
30, 130: 세면대 31: 오목부
32: 호스
40, 140: 수평 거치대 50, 150: 힌지부
60, 160: 폐수 탱크 70: 이중 펌프
71: 제 1 펌프 72: 제 2 펌프
170: 세면대지지 베이스부 171: 세면용품 거치대
180: 사각 지지대

Claims (8)

  1. 삭제
  2. 배면에 급수공이 설치되며,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공을 통해 연통(連通)되어 설치되며,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부에 사각 지지대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에 힌지부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세면대 지지 베이스부와 수직으로 당접되어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의 전방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위치하게 되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사용시에 수평 위치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평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로 상수도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유입 통로와 폐수 탱크로부터 폐수를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폐수 유입 통로에는 이중 펌프를 개재하여 상기 수돗물이 수조로 공급될 때, 상기 이중 펌프의 제 1 펌프가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펌프 옆에 설치된 제 2 펌프는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상기 폐수를 자동으로 상기 수조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지지대에는 다단의 힌지 삽입홈이 설치되어 상기 세면대의 상기 힌지부가 각각의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어 90도 회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부에는 세면용품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면대의 사용시에는 세숫비누, 화장품, 치약 또는 칫솔과 같은 세면 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겸용 좌변기.
KR2020110003802U 2011-03-08 2011-05-03 세면대 겸용 좌변기 KR2004671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1884 2011-03-08
KR2020110001884 2011-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13U KR20120006413U (ko) 2012-09-18
KR200467199Y1 true KR200467199Y1 (ko) 2013-06-04

Family

ID=5138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02U KR200467199Y1 (ko) 2011-03-08 2011-05-03 세면대 겸용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423A1 (en) * 2019-05-10 2020-11-19 Denton Clive Combined shower and toil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949B1 (ko) * 1994-09-02 1998-12-15 김동범 세족기가 부설된 좌변기
KR20020057918A (ko) * 2002-06-10 2002-07-12 심만인 세면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50008991A (ko) * 2003-07-14 2005-01-24 송병준 세면대가 설치된 좌변기
KR200430604Y1 (ko) 2006-06-21 2006-11-10 장화성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949B1 (ko) * 1994-09-02 1998-12-15 김동범 세족기가 부설된 좌변기
KR20020057918A (ko) * 2002-06-10 2002-07-12 심만인 세면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50008991A (ko) * 2003-07-14 2005-01-24 송병준 세면대가 설치된 좌변기
KR200430604Y1 (ko) 2006-06-21 2006-11-10 장화성 좌변기 일체형 세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423A1 (en) * 2019-05-10 2020-11-19 Denton Clive Combined shower and toilet
GB2592328A (en) * 2019-05-10 2021-08-25 Denton Clive Combined shower and toilet
GB2592328B (en) * 2019-05-10 2023-06-07 Denton Clive Combined shower and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13U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79479Y (zh) 节水型立体卫生间设备
KR200467199Y1 (ko) 세면대 겸용 좌변기
KR20110088789A (ko) 수납식 세면기를 가지는 벽체 매립형 세면장치
CN201391001Y (zh) 移动式马桶
CN105064480A (zh) 一种可隐形坐便器及可隐形坐便器的制作方法
CN202157384U (zh) 卫生间节水装置
CN205186041U (zh) 一种房车用整体马桶
CN101617921A (zh) 一种立体组合式卫浴装置
CN201339332Y (zh) 整体式卫浴间
CN102304937A (zh) 卫生间节水装置
KR101237737B1 (ko) 모듈식 가변형 욕실시스템
CN209172145U (zh) 嵌入式卫浴组合柜
CN201943379U (zh) 一种卫浴装置
CN101725169A (zh) 一种废水利用装置和多功能全自动废水利用抽水马桶
CN204826130U (zh) 一种可隐形坐便器
CN201268792Y (zh) 手盆式滚筒洗衣机
CN214884133U (zh) 一种多用途节能可洗手马桶水槽盖
WO2006083120A1 (en) A toilet bowl
CN211080422U (zh) 一种备用水箱
CN103485394A (zh) 一种用于卫生间的节水装置
CN202324102U (zh) 壁挂式节水洗面台
CN220540404U (zh) 一种挂壁式水龙头
CN205134451U (zh) 一种新型卫生间节水装置
CN101525894A (zh) 节能减排循环系统及其装置
GB2439784A (en) Combined lavatory and washbasi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