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573Y1 - 파우더용 펌핑구조 - Google Patents

파우더용 펌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573Y1
KR200430573Y1 KR2020060023182U KR20060023182U KR200430573Y1 KR 200430573 Y1 KR200430573 Y1 KR 200430573Y1 KR 2020060023182 U KR2020060023182 U KR 2020060023182U KR 20060023182 U KR20060023182 U KR 20060023182U KR 200430573 Y1 KR200430573 Y1 KR 200430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umping
coupling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60023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더용 펌핑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분수용홈이 형성되고, 저부에 절개부를 가지며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용기의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와; 상부 중앙에서 둘레 쪽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부에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펌핑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배출부재에 파우더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에서 뚜껑을 오픈 하였을 때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화장할 시에 피부에 톡톡 치듯이 접촉하면, 그때마다 펌핑구조에 의해 파우더가 조금씩 커버 쪽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이 파우더 양을 조절하며,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할 때 흔들림에 의해 파우더가 커버 쪽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체결돌기의 자체 탄성에 의해 펌핑부재의 결합돌기가 상하방향으로 계속적인 이동을 행하더라도 초기상태로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체결돌기의 절개부가 적정한 상태로만 확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파우더가 한번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펌핑부재, 체결부재, 파우더, 화장용기,

Description

파우더용 펌핑구조{Pumping structure for powder}
도 1은 본 고안의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우더용 펌핑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은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파우더용 펌핑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7의 절개부가 확개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파우더용 펌핑구조가 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화장용기를 구성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1a: 저장부
2: 결합부재 2a: 결합공
3: 퍼프 4: 뚜껑
10: 펌핑부재 11: 배출공
12: 결합돌기 12a: 결합부
12b: 경사면 12c: 끼움부
12d: 걸림돌기 20: 체결부재
21: 분수용홈 22: 체결돌기
22a: 체결공 22b: 체결홈
22c: 끼움공 22d: 절개부
본 고안은 파우더용 펌핑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용기 뚜껑을 오픈 할 시에 파우더가 커버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 쪽으로 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장을 행할 시에 펌핑작용에 의해 파우더가 조금씩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파우더용 펌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용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연결부재(20), 퍼프(30), 커버(40), 뚜껑(50)으로 구성된다.
몸체(10)는 파우더가 담아질 수 있도록 내측에 저장부(11)가 형성되고, 외주연 상부에는 연결부재(2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결합부(12)가 형성된다.
연결부재(20)는 몸체(10)에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둘레에 제2나사결합부(21)가 형성된다.
퍼프(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0) 상부 중앙에 결합공(22)이 형성되며, 외측 상부 둘레에는 단턱(23)이 형성된다.
퍼프(30)는 연결부재(20)의 결합공(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방향 외주연에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분출공(32)이 형성되어 몸체(10) 저장부(11)에 담아져 있는 파우더가 배출되도록 한다.
커버(4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퍼프(30)에 결합된다.
뚜껑(50)은 커버(40)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20)의 단턱(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장용기는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몸체(10)를 잡은 상태에서 뚜껑(50)을 분리한다.
뚜껑(50)을 분리한 상태에서 커버(40)를 피부에 톡톡 치면, 몸체(10) 내측에 담아져 있는 파우더가 퍼프(30)의 분출공(32)을 통해 커버(40) 쪽으로 이동하여 커버(40)의 표면으로 배출된다.
파우더가 커버(40)의 표면으로 배출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장을 행하기 위하여 연결부재(20)에서 뚜껑을 분리하면, 퍼프(30)에 잔류되어 있던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게 된다.
뿜어져 나온 파우더를 사용자가 호흡기로 흡입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사용을 꺼림과 동시에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화장용기를 보관하는 곳이 대부분 핸드백 등에 보관함에 따라 핸드백의 흔들림에 의해 몸체(10)의 저장부(11)에 담아져 있는 파우더가 퍼프(30)의 분출공(32)을 통해 커버(40) 쪽으로 이동되어 많은 양의 파우더가 모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화장시 커버(40)에 많은 양의 파우더가 배출됨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뭉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퍼프(30)에 파우더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분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파우더가 피부에서 뭉치는 현상이 발생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2006년 5월 25일자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417160호(이하 '종래고안'이 칭함')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종래고안은 펌핑구조가 쿠션부재에서 펌핑 작용에 의해 분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고안의 경우에도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하면, 펌핑구조의 가이드돌기가 실리콘쿠션부재의 분분출공을 막고 있지 못하므로 흔들림에 의해 분분출공으로 파우더가 배출된다.
배출된 파우더는 커버에 잔류되고, 파우더가 커버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뚜껑을 오픈 하면, 그와 동시에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구조의 가이드돌기가 실리콘쿠션부재의 분분출공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펌핑 작용시 분의 배출이 잘 일어나지 못하므로 화장을 용이하게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배출부재에 파우더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에서 뚜껑을 오픈 하였을 때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기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할 시에 피부에 톡톡 치듯이 접촉하면, 그때마다 펌핑구조에 의해 파우더가 조금씩 커버 쪽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이 파우더 양을 조절하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기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할 때 흔들림에 의해 파우더가 커버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시 어느 한쪽으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파우더의 배출에 의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기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용기의 결합부재(2)에 설치되어 파우더의 양을 조절해 적정량의 파우더가 퍼프로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화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뚜껑을 오픈하였을 때 잔류되어 있는 파우더가 뿜 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우더용 펌핑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저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펌핑부재가 구성되며, 상부에 펌핑부재가 설치되고, 분수용홈을 가지며 저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체결돌기를 갖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용기 결합부재의 결합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돌기는 펌핑부재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돌기는 펌핑부재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단면이 십자형상의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돌기는 펌핑부재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상의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체결돌기 상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끼움공과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파우더용 펌핑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우더용 펌핑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은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는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파우더용 펌핑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개부가 확개된 상태를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파우더용 펌핑구조가 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우더용 펌핑구조는 펌핑부재(10)와 체결부재(20)로 구성된다.
펌핑부재(10)는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우더가 배출되는 배출공(1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2)는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소정 거리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12b)이 형성되며, 경사면(12b)의 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끼움부(12c)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2)가 펌핑부재(10)에 연결되는 부분에 걸림돌기(12d)가 형성되어 펌핑시 체결부재(20)의 상부에 걸려지게 형성되어 체결부재(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부재(20)는 상부에 파우더가 모여지도록 분수용홈(21)이 형성되고, 저부 에는 체결돌기(22)가 형성된다.
체결돌기(22)가 형성된 분수용홈(21)의 중앙에는 펌핑부재(10)의 결합돌기(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22b)이 형성된다.
체결돌기(22)의 저부에는 절개부(22d)가 형성되고, 절개부(22d)의 중앙에는 결합돌기(12d)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2a)이 형성된다.
체결돌기(22)의 외주연에는 결합부재(2)의 결합공(2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22b)이 형성된다.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재의 결합돌기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결합돌기(12)의 다른 실시예로 펌핑부재(10)의 저부에 하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는 동일한 두께로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경사면(12b)이 형성된다.
경사면(12b)은 결합돌기(12)의 하단부까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12b)의 하단부는 체결부재(20)의 끼움공(22c)에 결합된다.
결합돌기(12)가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연결되는 부분에 걸림돌기(12d)가 형성되어 체결부재(20)의 상부에 걸려지도록 하여 펌핑부재(10)의 펌핑시 체결부재(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체결홈(22b)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결합돌기(12)의 다른 실시예로서,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경사면(12b)이 형성되며, 경사면(12b)의 하방향으로 소 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부(12c)가 형성되어 체결부재(20)의 끼움공(22c)에 결합된다.
펌핑부재(10)의 저부에 결합돌기(12)가 연결되는 부분에 걸림돌기(12d)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결합돌기(12)의 다른 실시예로서, 펌핑부재(10)의 저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12b)이 형성되며, 경사면(12b)의 하방향에는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끼움부(12c)가 형성된다.
펌핑부재(10)의 저부에 결합돌기(1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걸림돌기(12d)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펌핑구조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용기의 결합부재(2)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장용기의 몸체(1)를 잡고 사용자가 피부에 톡톡 치듯이 화장을 행한다.
파우더가 펌핑구조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화장하기 위해 뚜껑(4)을 오픈 한 상태에서 몸체(1)를 잡고 톡톡 치듯이 퍼프를 피부에 접촉하면, 몸체(1) 저장부(1a)에 담아져 있는 파우더가 퍼프(3) 쪽으로 이동한다.
용기의 저장부(1a)에 담아져 있는 파우더는 결합부재(2)의 결합공(2a)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부재(20)로 이동하고, 이동된 파우더는 체결부재(20)의 끼움공(20c)으로 유입되어 분수용홈(21)에 일정량의 파우더가 모여지게 된다.
파우더가 분수용홈(21)에 일정량 모여지게 되는 것은 사용자가 피부에 퍼프 를 접촉시킬 시에 펌핑부재(10)가 도 10의 도면상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되는 펌핑부재(10)는 결합돌기(12)의 경사면이 체결돌기(22)의 절개부(22d)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 된다.
이때 확개 된 상태의 절개부(22d)를 통해 파우더가 이동하여 분수용홈(21)에 모여진다.
체결돌기(22)의 절개부(22d)가 확개되는 것은, 결합돌기(12)의 끼움부(12c) 상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12b)이 체결돌기(22)의 끼움공(22c)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에 의해 절개부(22d)가 확개되는 것이다.
펌핑부재(10)가 계속하여 체결부재(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펌핑 작용을 행하므로 절개부(22d)는 개방, 폐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파우더가 퍼프 쪽으로 배출된다.
펌핑부재(10)는 사용자가 피부에 퍼프가 접촉된 상태에서만 체결부재(20)의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피부에 접촉이 없을 때에는 펌핑부재(10)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적정량의 파우더가 펌핑부재(10)와 체결부재(20) 사이에 모여짐과 동시에 펌핑부재(10)의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0)의 재질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체결돌기(20)의 저부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공(22c)에서 결합돌기(12)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늘어지거나 넓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펌핑부재(10)와 체결부재(20) 사이에 모여진 파우더는 사용자가 피부에 톡톡 치듯이 화장할 때 펌핑부재(10)의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된 파우더는 펌핑부재(10)와 체결부재(20)에 씌워져 있는 퍼프(3)의 미세공을 통해 표면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통해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배출부재에 파우더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에서 뚜껑을 오픈 하였을 때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할 시에 피부에 톡톡 치듯이 접촉하면, 펌핑부재가 그때마다 펌핑 작용을 행하여 파우더가 조금씩 커버 쪽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 자신이 파우더 양을 조절하면서 화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할 때 흔들림에 의해 파우더가 커버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결합돌기의 끼움부가 체결돌기의 끼움공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파우더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돌기의 자체 탄성에 의해 펌핑부재의 결합돌기가 상하방향으로 계속적인 이동을 행하더라도 초기상태로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돌기의 절개부가 적정한 상태로만 확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파우더가 한번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원활한 화장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장용기의 결합부재(2)에 설치되어 파우더의 양을 조절해 적정량의 파우더가 퍼프(3)로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화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뚜껑(1)을 오픈하였을 때 잔류되어 있는 파우더가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우더용 펌핑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배출공(11)이 형성되고, 저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된 펌핑부재(10)가 구성되며,
    상부에 펌핑부재(10)가 설치되고, 분수용홈(21)을 가지며 저부에 절개부(22d)가 형성된 체결돌기(22)를 갖는 체결부재(20)로 구성되어 용기의 결합부재(2)의 결합공(2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돌기(12)는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경사면(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돌기(12)는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경사면(12b)이 형성되며, 경사면(12b)의 하부에는 단면 이 십자형상의 끼움부(1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결합돌기(12)는 펌핑부재(10)의 저부에서 일체로 결합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부(12a)의 하방향으로 경사면(12b)이 형성되며, 경사면(12b)의 하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상의 끼움부(1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체결돌기(22)는 상부에는 체결공(22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체결홈(22b)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끼움공(22c)과 절개부(22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용 펌핑구조.
KR2020060023182U 2006-08-29 2006-08-29 파우더용 펌핑구조 KR200430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82U KR200430573Y1 (ko) 2006-08-29 2006-08-29 파우더용 펌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82U KR200430573Y1 (ko) 2006-08-29 2006-08-29 파우더용 펌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573Y1 true KR200430573Y1 (ko) 2006-11-13

Family

ID=4177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182U KR200430573Y1 (ko) 2006-08-29 2006-08-29 파우더용 펌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5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63B1 (ko) 2014-04-10 2014-08-06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212050B1 (ko) * 2019-12-03 2021-02-04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63B1 (ko) 2014-04-10 2014-08-06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212050B1 (ko) * 2019-12-03 2021-02-04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43668Y1 (ko) 화장용브러쉬
JP4597173B2 (ja) 分散部付き化粧品容器
BR0108262B1 (pt) Mecanismo atuador para um recipiente aerossol de mão
US20100101600A1 (en) Cosmetic case
KR100781747B1 (ko)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JP4818851B2 (ja)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200430573Y1 (ko) 파우더용 펌핑구조
KR102635507B1 (ko) 화장품 용기
US7350524B2 (en) Liquid-applying device
KR200417160Y1 (ko) 화장용 퍼프.
KR101645421B1 (ko) 두피 마사지용 스프레이 용기
KR20043368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2002337912A (ja) 噴出容器
KR200372911Y1 (ko) 분리형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38485Y1 (ko) 파우더용 화장용기
KR102297344B1 (ko) 흑채 분사용 용기
JP5477022B2 (ja) 替芯容器
US10882670B2 (en) Powder-type hair thickening agent storage container having plurality of spurting holes
JP5152762B2 (ja) 液状内容物吐出容器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KR200382331Y1 (ko) 분말화장품 용기
JP3129539U (ja) 化粧料容器用キャップ
KR20030054739A (ko) 분체가 배출되는 볼 터치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