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07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07B1
KR102635507B1 KR1020190111515A KR20190111515A KR102635507B1 KR 102635507 B1 KR102635507 B1 KR 102635507B1 KR 1020190111515 A KR1020190111515 A KR 1020190111515A KR 20190111515 A KR20190111515 A KR 20190111515A KR 102635507 B1 KR102635507 B1 KR 10263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th
container body
cosmetic
refi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051A (ko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고, 화장료를 저장하는 리필 용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리필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리필 용기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회전 시 상기 결합 돌기에 부하가 가해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젤(gel) 또는 크림(cream) 같이 점도가 높은 화장료는 입구가 넓고,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담겨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에 결합된 뚜껑을 개방한 후 용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를 손가락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주걱에 적당량 찍어내어 원하는 부위의 피부에 펴서 바르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생산 및 판매되어 왔는데, 제품의 단가가 비싸지고 산업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여 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화장료가 내장된 리필 용기만 따로 교체하도록 형성된 화장품 용기가 판매되고 있으나, 리필 용기가 용기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디자인 측면에서도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용기 본체에 리필 용기를 결합하였을 때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의 목부와 리필 용기의 리브 사이에 틈이 존재하여 외관이 좋지 못하고, 용기 본체와 리필 용기 사이의 틈으로 화장료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 위생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1964호 (2012.12.13.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외관이 개선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생성이 개선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리필 용기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고, 화장료를 저장하는 리필 용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리필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리필 용기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회전 시 상기 결합 돌기에 부하가 가해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턱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턱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턱을 넘어온 상기 결합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 돌기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상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제1 부분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제1 경로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턱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되,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된 부분은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목부에 안착될 수 있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경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턱을 지나 상기 제2 부분에 끼워졌을 때, 상기 리브가 상기 목부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결합 돌기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경로의 상하 길이와 상기 리브의 상하 폭을 합한 길이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로의 길이는 상기 목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관이 개선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와 리필 용기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리필 용기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용기 본체 및 리필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용기 본체 및 리필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로서 기초 크림 용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립 메이크업, 마스카라, 컨실러, 리무버 등과 같은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와, 리필 용기(120)와, 결합 돌기(130)와, 결합 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화장품 용기(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111)와, 바디부(111)의 상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에는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150)가 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10)와 커버(150)의 결합 구조는 나사 결합, 억지 끼움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10)와 커버(150)가 나사 결합 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110)는 목부(112)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150)의 내주면에는 목부(112)의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리필 용기(120)는 화장료(10)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료(10)가 저장된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화장료(10)의 소진 시 용기 본체(110)에 다른 리필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110)의 재활용이 가능해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필 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화장료 저장 공간(120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화장료 저장부(121)와, 화장료 저장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목부(112)에 안착될 수 있는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결합되었을 때, 리브(122)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필 용기(120)에 저장된 화장료(10)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리필 용기로 교체할 경우, 용기 본체(110)의 상부로 노출된 리브(122)를 잡고 회전시키면 리필 용기(120)를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거나 리필 용기(120)를 용기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돌기(130)는 후술되는 결합 홈(140)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110)와 리필 용기(120)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110)와 리필 용기(1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130)는 용기 본체(110)에 제공되거나 리필 용기(1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돌기(130)가 용기 본체(11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돌기(130)는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리필 용기(12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돌기(130)는 리필 용기(1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0)는 용기 본체(110)에 리필 용기(120)가 결합될 때, 결합 홈(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시 결합 돌기(130)와 결합 홈(140) 사이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결합 돌기(130)의 돌출된 부분은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40)은 내부에 결합 돌기(130)가 삽입되어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용기 본체(110) 및 리필 용기(120)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130)가 용기 본체(11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홈(140)은 리필 용기(120)에 제공될 수 있고, 결합 돌기(130)가 리필 용기(12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홈(140)은 용기 본체(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홈(140)이 용기 본체(11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홈(140)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리필 용기(120)에 제공되는 경우 결합 홈(140)은 리필 용기(1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30)가 리필 용기(120)의 외주면에 제공되고, 결합 홈(140)이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결합 홈(140)은 제1 경로(141)와, 제2 경로(142), 및 턱(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로(141)는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에 삽입되는 방향이란 도면 상에서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141)는 용기 본체(110)의 입구 측에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로(141)의 길이는 목부(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경로(141)의 가공 면적을 줄여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결합 돌기(130)가 제1 경로(141)에 삽입되는 시간을 줄여 교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제2 경로(142)는 제1 경로(141)로부터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이란 도면 상에서 Z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하는 방향(Yaw 방향)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로(142)는 제1 경로(141)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턱(143)은 제2 경로(142) 상에 형성되고, 리필 용기(120)의 회전 시 결합 돌기(130)에 부하가 가해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턱(143)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되,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경로(142)는 턱(14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부분(142a)과, 턱(14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부분(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142b)은 턱(143)을 넘어온 결합 돌기(130)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결합 돌기(130)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상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돌기(130)와 제2 부분(142b)의 상하 폭 길이를 동일하게 제공하는 이유는 결합 돌기(130)의 상하 폭 크기가 제2 부분(142b)의 상하 폭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결합 돌기(130)는 제2 부분(142b)에 삽입될 수 없고, 결합 돌기(130)의 상하 폭 크기가 제2 부분(142b)의 상하 폭 크기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부분(142b)과 결합 돌기(130) 사이에 상하 방향의 간극이 존재하여 결합 돌기(130)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부분(142b)은 제1 부분(142a)과 동일한 높이 또는 제1 부분(142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 돌기(1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142a)의 높이는 제1 부분(142a)에서 결합 돌기(130)가 위치하는 가장 낮은 위치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부분(142b)의 높이는 제2 부분(142b)에서 결합 돌기(130)가 위치하는 가장 낮은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제2 부분(142b)의 높이가 제1 부분(142a)의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과 리필 용기(120)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여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 위로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가 튀어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부분(142b)이 제1 부분(142a)과 동일한 높이 또는 제1 부분(142a)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의 상단면과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의 하단면이 접촉되어 들뜨지 않으므로, 화장품 용기(100)의 외관을 미관상 좋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와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가 접촉되면 목부(112)와 리브(122)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틈으로 화장료(10)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경로(141)에 리필 용기(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130)를 삽입시킨 후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30)는 제1 경로(141)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는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의 상단면에 안착된다.
이후, 리필 용기(120)를 회전시키면 결합 돌기(130)는 제2 경로(142)의 제1 부분(142a) 및 턱(143)을 지나게 되고, 결합 돌기(130)가 턱(143)에 위치하였을 때 결합 돌기(130)에는 상방으로 부하가 가해지게 되어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와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도 4(c) 참조).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 용기(120)가 더 회전되어 결합 돌기(130)가 제2 부분(142b)에 위치하게 되면,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는 다시 하부로 이동하여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와 접촉하게 된다. 즉, 리필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결합 돌기(130)가 제1 경로(141), 제1 부분(142a), 및 턱(143)을 지나 제2 부분(142b)에 끼워졌을 때, 리브가(122)는 목부(112)의 상단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142b)에 위치한 결합 돌기(130)는 턱(143)으로 인해 제1 부분(142a)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리필 용기(120)는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 돌기(130)는 용기 본체(110) 또는 리필 용기(12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리필 용기(120)의 상단면으로부터 결합 돌기(13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제1 경로(141)의 상하 길이와 리브(122)의 상하 폭을 합한 길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30)가 제1 경로(14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결합 돌기(130)의 하단부 높이와 제2 경로(142)의 최하측 부위의 높이를 동일하게 위치시켜 사용자가 리필 용기(120)를 회전시킬 시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용기 본체(110)에 리브(12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리필 용기(120)의 상단면으로부터 결합 돌기(13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제1 경로(141)의 상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돌기(13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2 부분(142b)의 좌우 방향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 돌기(130)의 좌우 방향 길이가 제2 부분(142b)의 좌우 방향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결합 돌기(130)는 제2 부분(142b)에 삽입되지 못하고, 제2 부분(142b)의 좌우 방향 길이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 돌기(130)와 제2 부분(142b) 사이에 수평 방향의 유격이 존재하여 결합 돌기(130)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용기 본체(110)와 리필 용기(12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리필 용기(120)를 결합하였을 때,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가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에 안착되어 목부(112)의 상단부와 리브(122)의 하단부가 상호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목부와 리브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화장품 용기(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목부(112)에 리필 용기(120)의 리브(122)가 밀착되어 목부(112)와 리브(112)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틈으로 화장료(10)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돌기(130)의 상하 폭 길이를 턱(143)의 후방에 위치한 제2 부분(142b)의 상하 폭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용기 본체(110)에 리필 용기(120)를 결합하였을 때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으므로 리필 용기(120)는 용기 본체(1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고, 화장료를 저장하는 리필 용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리필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리필 용기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회전 시 상기 결합 돌기에 부하가 가해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는,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턱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턱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턱을 넘어온 상기 결합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 돌기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상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3은,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제1 부분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4는, 상기 제1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제1 경로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턱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되,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5는,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된 부분은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6은,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목부에 안착될 수 있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경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턱을 지나 상기 제2 부분에 끼워졌을 때, 상기 리브가 상기 목부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7은,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결합 돌기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경로의 상하 길이와 상기 리브의 상하 폭을 합한 길이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8은, 상기 제1 경로의 길이는 상기 목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용기 본체 110a: 수용 공간
111: 바디부 112: 목부
120: 리필 용기 120a: 화장료 저장 공간
121: 화장료 저장부 122: 리브
130: 결합 돌기 140: 결합 홈
141: 제1 경로 142: 제2 경로
143: 턱 150: 커버

Claims (8)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고, 화장료를 저장하는 리필 용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리필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리필 용기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회전 시 상기 결합 돌기에 부하가 가해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턱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턱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턱을 넘어온 상기 결합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 돌기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상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제1 부분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제1 경로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턱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되,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된 부분은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화장료 저장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목부에 안착될 수 있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경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턱을 지나 상기 제2 부분에 끼워졌을 때, 상기 리브가 상기 목부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리필 용기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결합 돌기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경로의 상하 길이와 상기 리브의 상하 폭을 합한 길이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의 길이는 상기 목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111515A 2019-09-09 2019-09-09 화장품 용기 KR10263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15A KR102635507B1 (ko) 2019-09-09 2019-09-09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15A KR102635507B1 (ko) 2019-09-09 2019-09-09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51A KR20210030051A (ko) 2021-03-17
KR102635507B1 true KR102635507B1 (ko) 2024-02-08

Family

ID=7524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515A KR102635507B1 (ko) 2019-09-09 2019-09-09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408B1 (ko) * 2021-12-30 2023-08-16 (주)정우코스 리필식 화장품 용기
KR20240002330A (ko) * 2022-06-29 2024-01-05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578247B1 (ko) * 2022-12-16 2023-09-12 김동수 화장품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964B1 (ko) 2010-06-22 2012-12-13 (주)민진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412U (ja) * 1992-05-07 1993-12-0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容器
KR200456797Y1 (ko) * 2009-02-10 2011-11-21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사용량에 따라 내부접시가 승강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102164415B1 (ko) * 2017-07-20 2020-10-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964B1 (ko) 2010-06-22 2012-12-13 (주)민진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51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5507B1 (ko) 화장품 용기
US8651763B2 (en) Powder cosmetic brush
KR10166601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6063685B2 (ja) 化粧料塗布装置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476664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KR102221054B1 (ko) 회전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038419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200035111A (ko) 화장품 용기용 패킹 및 화장품 용기
KR102284145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10244847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KR102101926B1 (ko) 화장품 용기
JP4154176B2 (ja) 棒状化粧料の収納皿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200370123Y1 (ko) 봉 형상 화장재료 출몰 조작용기
KR200497422Y1 (ko)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KR200404841Y1 (ko) 투시창을 갖춘 슬라이드 개폐식 아이새도우 용기
JP6119006B1 (ja) 繰出容器
JP5910983B2 (ja) 化粧料容器
KR102481645B1 (ko) 재활용 및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491423Y1 (ko) 립 케어 용기
KR200253705Y1 (ko) 다단 수납함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338777Y1 (ko) 내용물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