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22Y1 -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22Y1
KR200497422Y1 KR2020210002759U KR20210002759U KR200497422Y1 KR 200497422 Y1 KR200497422 Y1 KR 200497422Y1 KR 2020210002759 U KR2020210002759 U KR 2020210002759U KR 20210002759 U KR20210002759 U KR 20210002759U KR 200497422 Y1 KR200497422 Y1 KR 200497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lowering
container assembly
replacement uni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42U (ko
Inventor
유우영
김영준
김재희
오지은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to KR2020210002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2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4Casings with ejector for waste stick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는 상기 스틱형 화장수단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된 승하강바가 결합되는,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캡;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 본체로서, 바닥에는 상기 승하강바와 대응되는 형상의 승하강홀이 형성된 중공형 본체; 및 상기 중공형 본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캡으로서, 상기 상부캡이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및 중공형 본체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부캡; 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홀은, 상기 승하강바의 승강 및 하강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승하강바의 승하강 조작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용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Container Assembly for Refillable stick type cosmetic}
본 고안은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자신의 외모를 좀더 아름답게 꾸미기 여러 가지 색을 가진 색조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색조 화장품 원액은 일정한 형태를 가진 화장품 용기에 저장함으로써,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상관없이 화장을 고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품 원액을 저장하는 화장품 용기는 스틱 모양 또는 튜브 모양 또는 항아리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는 화장품 용기 중 스틱 모양의 화장품 용기의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705호인 '스틱형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손잡이의 내측에 이중회전나사산이 구비된 스크류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손잡이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이 상, 하로 수직 이동되고, 그 상, 하로 이동된 스크류을 따라 출몰되는 화장품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입술에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화장품을 승하강시키는 구조이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상부캡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와는 달리, 손잡이가 회전될 경우, 화장품이 승강하여 상부캡과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많은 사용자들이 가방이나, 호주머니 등에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보관하여 사용하고, 사용자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손잡이가 회전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스틱형 화장품은 상부캡의 내부면과 닿게 되어 뭉개어 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구조처럼 제작할 경우, 그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해 생산성은 저하되고,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70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상부캡 내측에서 화장수단이 승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리필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용기어셈블리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스틱형 화장수단이 장착된 용기어셈블리로서, 상부에는 상기 스틱형 화장수단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홀더부의 하부에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된 승하강바가 결합되는,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캡;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본체로서, 바닥에는 상기 승하강바와 대응되는 형상의 승하강홀이 형성되며, 하부는 하부캡과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중공형본체; 및 상기 중공형본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캡으로서, 상기 상부캡이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및 중공형본체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부캡; 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홀은, 상기 승하강바의 승강 및 하강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바의 승하강 조작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형성되되, 홀더부의 외주면은 상기 중공형본체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바에 의해 조작이 없을 경우,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위치는 유지되도록 형성된, 용기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캡 내주면에 위치되되, 상기 승하강바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본체의 돌기부와 결합되는 내측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부 측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이 형성된 돌기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결합부와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 및 상기 중공형본체의 내주면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중심에는, 상기 승하강바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스토퍼가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승하강바의 회전이 허용되거나 또는 억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 중 일측에는 승하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본체에는 승하강슬릿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하강돌기는 상기 승하강슬릿에 인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돌기의 상하방향 조작을 통해, 상기 홀더부가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하우징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높이조절부가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바닥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형태인 제1 형태 및 하방을 향해 개방되는 형태인 제2 형태로 쉬프트(shift)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상부캡 내측에서 화장수단이 승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리필타입으로 적용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및 중공형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정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4는 도 1의 중공형본체의 정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에서 내측하우징 내부에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 및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용기어셈블리(100)는 크게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 중공형본체(130), 하부캡(150) 및 상부캡(160)으로 구성된다.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은 상부에는 스틱형 화장수단(170)을 고정하는 홀더부(112)가 형성되며, 홀더부(112)의 하부에는 십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승하강바(114)가 결합된다.
홀더부(112)는 스틱형 화장수단(170)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방을 향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스틱형 화장수단(170)은 색조 화장에 사용되는 립스틱뿐만 아니라, 립케어에 사용되는 기능성 스틱형 약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수단이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디든 채용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예를 들어, 스틱형 데오드란트, 스틱형 선로션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승하강바(114)는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그 단면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승하강바가 이동되는 구조인 바, 승하강바(114)의 형상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고려할 때, 승하강바(114)의 형상은 십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형본체(130)는 전술한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홀더부(112)의 외주면은 중공형본체(13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설계된다. 소정의 결합력을 형성하면서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승하강바의 조작이 없을 경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위치는 상기 결합력에 의해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외력이 없을 경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위치는 유지 내지는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를 들고 이동할 경우, 외부의 진동에 외력이 용기어셈블리에 인가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위치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형본체(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측벽부(136)와 바닥부(137)으로 구성된다. 측벽부(136)는 홀더부(112)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바닥부(137)에는 승하강바(114)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 승하강홀(13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승하강홀(131)은 승하강바(114)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로 형성된다.
승하강홀(131)은 승하강바(114)가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승하강홀(131)은 승하강바(114)와 너무 긴밀하게 밀착되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벽부(136)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원통을 구성하며, 측벽부(136)의 높이는 화장수단(170)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형본체(130)의 구조를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가면서 설명을 하면, 중공형본체(130)는 측벽부(136)-요홈부(134b)-돌기부(134a)-연장부(138)로 구성된다.
요홈부(134b) 및 돌기부(134a)는 후술하도록 한다. 연장부(138)는 돌기부(134a)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관형 부분을 의미한다. 연장부(138)는 승하강바(114)의 최외각과 밀착하여 형성됨으로써, 승하강바(114)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이란 승하강바(114)의 승하강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부캡(160)은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화장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캡(160)을 통해 커버함으로써, 화장수단이 손상되거나 마모(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부캡(160)은 사용자에게 미적 만족도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재질이나, 금속재질의 색상이 코팅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160)의 하단부는 중공형본체(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됨으로써,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인가할 경우, 상부캡(160) 및 중공형본체(13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캡(150)은 중공형본체(130)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부캡(160)이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 및 중공형본체(130)를 완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캡(160) 및 하부캡(150)은 연속성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이나 디자인 역시 상호 매칭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부캡(150)은 상방이 개방된 중공 형상이며, 하부캡(150)의 내주면에는 내측하우징(1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내측하우징(140)은 중공형본체(130)를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공형본체(130)의 외주면 중 특히, 하부 측 외주면에는 고정부(134)가 형성된다. 고정부(134)는 내측하우징(140) 및 상부캡(160)과의 각각 탈착을 위해 형성된 구조물이다. 고정부(134)는 돌기부(134a) 및 요홈부(134b)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4a)는 내측하우징(14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구조이며, 요홈부(134b)는 상부캡(16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구조이다.
돌기부(134a)는 소정의 돌출 형상을 갖는 요철로 구성되며, 내측하우징(140)의 상단에는 돌기부(134a)와 대응되는 형상인 돌기결합부(144)가 형성된다. 도 1 및 4에는 돌기부(134a) 및 돌기결합부(144)가 특정한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구조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형본체(130) 및 내측하우징(140)을 상호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공지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돌기부(134a) 및 돌기결합부(144)는 계합(契合)되는 구조이다.
요홈부(134b)는 상부캡(160)과 결합을 위해 형성된 구조이다. 상부캡(160)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부(134b)와의 결합을 위한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이란 가역적인 개념으로써, 탈착을 의미하며, 전술한 돌기부(134a) 및 요홈부(134b) 모두 이에 해당된다. 즉, 소정의 외력까지는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소정의 외력을 초과할 경우에는, 결합이 해제되어 상호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정의 외력을 초과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인위적(강제적)으로 결합을 해제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내측하우징(140)은 상방이 개방된 중공 형태로써, 승하강바(114)의 일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화장수단(170)을 모두 소모할 경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 만을 별도로 교체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화장수단 교체용유닛(110)의 승하강은 중공형본체(130)를 내측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한 후, 승하강바(114)의 조작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홀더부(21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공형본체(230) 내주면에 나사산(232)이 형성되어 상호 이동 가능한 나사결합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구분된다.
이 때, 화장수단 교체용유닛(210)의 저면은 회전부재(211)가 결합된다. 회전부재(211)는 승하강바(114)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심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회전축(215)이 구비된다. 승하강바(214)는 회전축(215)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를 이용한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중공형본체(230)의 외주면을 잡은 상태에서 중공형본체(230)를 회전시키면, 화장수단 교체용유닛(210)의 홀더부(212)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방향과 승하강바향은 설계자가 나사산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중공형본체(230)를 회전시키면, 승하강바(214)의 회전은 승하강홀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바, 홀더부(212)만 회전하여 화장수단(270)이 승하강되는 구조이다. 홀더부(212)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하강될 수 있는 바, 제2 실시예 역시 상부캡 및 하부캡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승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제3 실시예는 홀더부(312)의 외주면 중 일측에는 승하강돌기(312a)가 형성된 구조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공형본체(330)의 측벽부(336)에는 승하강슬릿(33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일자형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의 폭은 너무 넓지 않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슬릿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돌기(312a)는 승하강슬릿(337)에 인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승하강돌기(312a)의 상하방향 조작을 통해, 홀더부(312)가 승하강되는 구조이다. 승하강돌기(312a)는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면은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외부의 물질에 의해 승하강돌기(312a)가 걸려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승하강돌기(312a)에 의한 동작을 위해서는, 상부캡(160)의 탈거가 필요하며, 상부캡이 탈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승하강돌기(312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승하강돌기(312a)를 조작함으로써, 화장수단(37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돌기부(334a) 및 요홈부(334b)로 구성된 고정부와 연장부(338)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어셈블리에서 내측하우징 내부에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높이조절부(346)는 내측하우징(14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높이조절부(346)는, 바닥 및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U'자 형태로 구성되나, 바닥의 형상은 하부캡(150)의 바닥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346)의 배치는 제1 형태 및 제2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화장수단(370)의 마모 여부에 따라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형태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형태이며, 제2 형태는 하방을 향해 개방되는 형태이다. 제1 및 제2 형태는 쉬프트(shift)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화장수단(370)의 마모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제1 형태(도 7의 (a))로 사용되다가, 화장수단(370)이 충분히 마모가 된 경우에는, 제2 형태(도 7의 (b))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변형예는 화장수단의 마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46) 및 내측하우징(340)은 자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하우징(340)의 일측에는 자력부(340a)가 형성되고, 높이조절부(34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력의 세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인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용기어셈블리
110: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112: 홀더부
114: 승하강바
130, 230, 330: 중공형본체
131: 승하강홀
134: 고정부
140, 340: 내측하우징
150: 하부캡
160: 상부캡
170, 270, 370: 스틱형 화장수단
211: 회전부재
337: 승하강슬릿
346: 높이조절부

Claims (5)

  1. 스틱형 화장수단이 장착된 용기어셈블리로서,
    상부에는 상기 스틱형 화장수단을 고정하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된 승하강바가 결합되는,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캡;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이 삽입되는 중공형 본체로서, 바닥에는 상기 승하강바와 대응되는 형상의 승하강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중공형 본체; 및
    상기 중공형 본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캡으로서, 상기 상부캡이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 및 중공형 본체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하부캡; 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홀은, 상기 승하강바의 승강 및 하강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승하강바의 승하강 조작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캡 내주면에 위치되되, 일측에는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바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본체 하부의 돌기부와 결합되는 내측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기 내측하우징의 내주면에 위치되되,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바닥 및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방 혹은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 높이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부의 외주면은 상기 중공형 본체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바에 의해 조작이 없을 경우, 상기 화장수단 교체용유닛의 위치는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바는 십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부 측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이 형성된 돌기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결합부와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 중 일측에는 승하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본체에는 상기 승하강돌기가 인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승하강슬릿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어셈블리.
KR2020210002759U 2021-09-07 2021-09-07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KR200497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59U KR200497422Y1 (ko) 2021-09-07 2021-09-07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59U KR200497422Y1 (ko) 2021-09-07 2021-09-07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2U KR20230000542U (ko) 2023-03-15
KR200497422Y1 true KR200497422Y1 (ko) 2023-11-06

Family

ID=8550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759U KR200497422Y1 (ko) 2021-09-07 2021-09-07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869Y1 (ko) * 1997-05-08 1999-07-15 기중현 립스틱 승강장치
JP3639962B2 (ja) 1994-08-29 2005-04-20 株式会社コーセー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簡易容器
KR200476705Y1 (ko) * 2013-09-12 2015-04-08 올댓뷰티(주) 스틱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89B1 (ko) * 2019-07-09 2021-06-28 함형길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962B2 (ja) 1994-08-29 2005-04-20 株式会社コーセー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簡易容器
KR200151869Y1 (ko) * 1997-05-08 1999-07-15 기중현 립스틱 승강장치
KR200476705Y1 (ko) * 2013-09-12 2015-04-08 올댓뷰티(주) 스틱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2U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0868A (ko)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KR102476664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KR10166601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965291B1 (ko)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어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038419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20200089433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립스틱 용기
US1899748A (en) Receptacle for lip sticks
KR102635507B1 (ko) 화장품 용기
KR101978867B1 (ko) 방향성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0497422Y1 (ko) 리필형 스틱 화장품 용기어셈블리
JP7073521B2 (ja) 化粧品容器
KR20180040182A (ko) 휴대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듀얼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58129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시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0466895Y1 (ko) 화장품 도포기
KR102233434B1 (ko) 한 손으로 스틱형 고형 화장품의 출몰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고형 화장품 용기
KR101231628B1 (ko)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101757363B1 (ko) 커버 일체형 자동인출 립스틱 용기
KR20110011188U (ko) 회전형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KR200444071Y1 (ko) 뚜껑이 분할개폐되는 화장품팔레트
KR102567408B1 (ko) 리필식 화장품 용기
CN220734676U (zh) 一种旋钮式的上下出料容器结构
KR200497560Y1 (ko) 교체 가능한 립스틱 유니트를 구비하는 립스틱
KR102604247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