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60Y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160Y1
KR200417160Y1 KR2020060002164U KR20060002164U KR200417160Y1 KR 200417160 Y1 KR200417160 Y1 KR 200417160Y1 KR 2020060002164 U KR2020060002164 U KR 2020060002164U KR 20060002164 U KR20060002164 U KR 20060002164U KR 200417160 Y1 KR200417160 Y1 KR 200417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powder
cosmetic puff
cover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60002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1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저장부가 형성된 용기와;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분을 배출하는 쿠션부재와; 펌핑작용에 의해 분이 배출되도록 쿠션부재에 설치되는 펌핑부재와; 내측에 망이 설치되어 펌핑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펌핑부재와 커버가 눌려져 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를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어 쓸 때 핸드백의 흔들려도 용기에 저장된 분이 커버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뚜껑을 분리하였을 시에 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 쿠션부재에 설치된 펌핑부재의 펌핑 작용에 분이 소정량씩 배출되므로 피부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화장이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용 분, 쿠션부재, 펌핑부재, 실리콘쿠션부재, 스펀지쿠션부재,

Description

화장용 퍼프. {Cosmetic Powder Puff}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퍼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리콘쿠션부재에 펌핑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펌핑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c 내지 7g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h는 도 7g의 펌핑부재가 탄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8a는 본 고안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c는 도 8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퍼프 10: 용기
11: 저장부 12: 나선
20: 결합부재 21: 통공
22: 나선 30: 쿠션부재
31: 실리콘쿠션부재 31a: 안착부
31b: 분배출공 31c: 결합돌기
31d: 걸림턱 32: 스펀지쿠션부재
32a: 안착부 32b: 분배출공
32c: 끼움홈 33: 분배출관
33a: 유출공 40: 펌핑부재
41: 분출공 42: 가이드돌기
50: 커버 51: 망
51a: 망체 51b: 망부재
51c: 구멍 60: 뚜껑
61: 거울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 쿠션부재의 내측으로 분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를 사용하기 위하여 뚜껑을 분리할 시에 쿠션부재의 내측에 잔류 된 분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 펌핑부재에 의해 용기 내측에 담아진 분이 커버 쪽으로 소정량씩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프(puff, 분첩)라 함은 기초화장을 위해 분말상태의 파우더 등을 얼굴에 바르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도구의 일종으로서, 주로 통기성이 있는 재질의 발포 스폰지나 NBR라텍스 또는 NR라텍스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퍼프는 화장품 종류 및 용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사각판 또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특히 최근에는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용기에 씌워져 결합하는 캡 형태의 퍼프가 사용되고 있다.
용기에 씌어져 결합하는 캡 형태의 퍼프는 몸체부의 저부 일부가 개방되어 씌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용기에 담아진 분말상태의 파우더는 퍼프에 형성된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화장을 위한 행위, 즉, 퍼프를 원하는 부위에 톡톡 치면서 문지르게 됨에 따라 화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퍼프는 발포 스폰지 재질로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스폰지 특성인 쿠션력이 부여되기는 하지만, 두께가 너무 얇아 미비하므로 인하여 자체 쿠션 및 탄력성이 떨어진다.
화장을 위해 퍼프를 톡톡 치거나 문지르는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촉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타격에 가까울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퍼프를 피부에 톡톡 칠 시에 분이 과도하게 분출되어 피부에 분이 뭉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화장용 퍼프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지 않고 빽 등과 같은 곳에 보관하여 가지고 다닐 시에 움직임에 의해 용기의 내측에 저장되어 있는 분이 커버 쪽으로 분출되어 모여진다.
사용자가 화장을 고치거나 행하기 위하여 뚜껑을 분리하면 커버쪽에 모여져 있던 분이 분출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가지게 하고, 또한 화장용 퍼프에서 분이 분출할 때 이를 호흡하므로 인하여 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뚜껑을 오픈 할 시에 분이 분출됨에 따라 불필요한 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때 분이 커버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뚜껑을 닫으면 펌핑부재가 쿠션부재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분이 배출되는 분출공을 막아 커버 쪽으로 분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펌핑부재에 의해 용기에 담아진 분이 과도하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뚜껑을 오픈하였을 시에 분의 분출을 방지하여 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저장부가 형성된 용기와;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분을 배출하는 쿠션부재와; 펌핑작용에 의해 분이 배출되도록 쿠션부재에 설치되는 펌핑부재와; 내측에 망이 설치되어 펌핑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펌핑부재와 커버가 눌려져 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퍼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리콘쿠션부재에 펌핑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1)는 내측에 분이 담아지는 저장부(11)가 형성된 용기(10)가 구성되고, 용기(10)의 상부 외측 둘레에는 나선(12)이 형성된다.
상부 중앙에는 통공(21)이 형성되고, 저부가 오픈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측 내주연에 나선(22)이 형성되어 용기(10)의 상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재(20)가 구성된다.
결합부재(20)의 통공(21)에는 쿠션부재(30)가 설치되고, 쿠션부재(30)는 경 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쿠션부재(31)로 구성된다.
실리콘쿠션부재(31)의 상부에는 안착부(31a)가 형성되고, 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안착부(31a)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되는 분배출공(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부에는 통공(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턱(31d)이 형성된 결합돌기(31c)가 형성되고, 결합부재(20)의 통공(21)에 결합돌기(31c)가 결합하여 걸림턱(31d)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리콘쿠션부재(31)에는 펌핑 작용하여 분을 배출시키는 펌핑부재(40)가 설치된다.
펌핑부재(4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출공(41)을 형성한다.
펌핑부재(40)의 저부에는 분배출공(31b)에 결합되어 입출 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펌핑부재(40)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갖는 커버(50)가 설치된다.
커버(50)의 개구부를 통해 펌핑부재의 상부로 씌워지고, 펌핑부재의 상부가 커버의 내측 상부와 맞닿아지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커버(50)의 개구부는 실리콘쿠션부재(31)에 결합돌기(31c) 외측 둘레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커버(50)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재(20)에 뚜껑(6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뚜껑(60)은 결합부재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고칠 시에 볼 수 있도록 거울(61)이 설치된다.
뚜껑(60)이 결합부재(20)에 결합하면, 커버(50)를 하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펌핑부재(40)를 누르고, 펌핑부재(40)의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가 실리콘쿠션부재(31)의 분배출공(31b)으로 인입되어 분이 이동하는 통로를 막는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와 6에 나타난 결합구성은,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10), 결합부재(20), 펌핑부재(40)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고, 결합 구성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21)의 크기가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통공(21) 보다 크게 형성된다.
결합부재(20)의 통공(21)에는 쿠션부재(30)가 설치되고, 쿠션부재(30)는 발포 스폰지나 NBR라텍스 또는 NR라텍스 스펀지쿠션부재(3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펀지쿠션부재(32)는 통공(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에 끼움홈(32c)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분배출공(32b)이 형성된다.
분배출공(32b)에는 분배출관(33)이 설치되고, 분배출관(33)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분이 배출되는 유출공(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배출관(33)은 배출공(32b)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분배출관(33)은 분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지쿠션부재(32) 상부에 펌핑부재(40)가 설치된다.
펌핑부재(4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가 펌핑 할 수 있도록 분배출관(33)에 결합한다.
스펀지쿠션부재(31)가 결합부재(20)에 설치되고, 펌핑부재(40)가 스펀지쿠션부재(32)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펀지쿠션부재(32)에는 커버(50)를 결합한다.
커버(50)는 저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스펀지쿠션부재(31)의 끼움홈(32c)에 결합되고, 커버(50)의 내측에는 망(51)이 형성되어 펌핑부재(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7a는 본 고안의 펌핑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c 내지 7g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h는 도 7g의 펌핑부재가 탄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7a의 펌핑부재(40)는 도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이에 대한 구성을 다시 설명한다.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중앙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쿠션부재(30)에서 펌핑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되는 다수의 분출공(41)이 형성되고, 펌핑부재(40)의 저부에는 다수의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펌핑부재(40)의 저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돌기(42)와 동일한 개수로 쿠션부재(30)(실리콘쿠션부재(31), 스펀지쿠션부재(32))의 분출공(41)이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펌핑부재(40)가 쿠션부재(3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되는 다수의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분출공(41)은 좌우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되는 다수의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분출공(4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된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을 가지며 소라 껍데기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다단으로 형성된 부분에 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분출공(41)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분출공(41)은 도 7a와 같이 형상된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이 배출되는 분출공(41)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분출공(41)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분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형성된다.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펌핌부재(40)는 마름모꼴의 모양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분출공(41)을 형성하고, 분출공(41)을 그물과 같이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며,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다.
마름꼴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눌려질 시에 탄성 작용이 발생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행할 시에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작용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그물과 같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부재(30)의 상부에서 펌핑 작용 시 그 사이로 분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는 본 고안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c는 도 8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와 8b와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커버(50)는 펌핑부재(40)의 상부에 커버(50)의 내측 상부가 위치되고, 개구부는 쿠션부재(30)의 외측 둘레에 위치된다.
그리고 망(51)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망체(51a)가 설치되어 소정의 분이 망체(51a)에 남겨져 화장시 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8b에 도시된 커버(50)는 펌핑부재(40)의 상부에 내측에 설치된 망체(51a)가 위치되고, 개구부는 쿠션부재(30)에 외주연에 결합된다.
또한, 망(51)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 재질로 형성된 망부재(51b)로 구성된다. 망부재(51b)는 다수의 구멍(51c)이 형성되며, 구멍(51c)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형태의 도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용기(10), 결합부재(20), 쿠션부재(30), 펌핌부재(40), 커버(50) 및 뚜껑(60)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용기(10)의 저장부(11)에 분을 소정량 담는다.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하여 핸드백 등에 보관하고 있던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1)를 꺼낸 후 뚜껑(60)을 분리하여 커버(50)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종래에는 뚜껑(10)을 분리할 시에 분이 분출되는데, 이는 핸드백과 같은 곳에 둔 상태에서 이동하면, 흔들림에 의해 저장부(11)에 담아져 있던 분이 커버(50) 쪽으로 이동되어 있고, 이때 뚜껑(60)으로 오픈 되면서 순간 커버(50) 쪽으로 분이 배출된다.
본 고안은 뚜껑(10)이 닫힌 상태에서는 커버(50)의 상부를 누르면서 결합함에 따라 펌핑부재(40)가 쿠션부재(30)(실리콘쿠션부재, 스펀지쿠션부재)의 분배출공(32b)을 막아 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뚜껑(10)을 사용자가 분리하면, 뚜껑(10)에 의해 눌려져 있던 커버(50)가 상방향으로 복원되면, 그와 동시에 펌핑부재(40)도 따라서 복원된다.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하여 용기(10)를 잡고 커버(50)를 피부에 톡톡 치듯이 두드려주면, 펌핑부재(40)가 쿠션부재(실리콘쿠션부재, 스펀지쿠션부재)(30)에서 펌핑 작용을 하면서 용기(10)의 저장부(11)에 담아진 분을 쿠션부재(30)를 거쳐 커버(50) 쪽으로 이동한다.
쿠션부재(30)를 통해 배출되는 분은 쿠션부재(30)와 펌핑부재(40)의 사이에 일정량의 분이 모여지고, 모여진 분은 펌핑부재(40)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공(41)을 통해 이동한다.
분출공(41)을 통해 배출된 분은 다시 펌핑부재(40)와 커버(50)의 사이로 이동하고, 펌핑부재(40)와 커버(50)의 사이에 위치한 분은 커버(50)의 표면으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분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피부에 커버(50)를 두드리면, 분은 빠르게 이동하여 커버(50)의 표면으로 배출된다.
커버(50)의 표면으로 배출된 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화장을 하거나 고칠 수 있다.
도 5와 6에 도시된 스폰지쿠션부재(32)가 적용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이 분출되며, 분이 분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결합부재(20)에 형성된 통공(21)에 스펀지쿠션부재(32)를 설치한 상태에서 스펀지쿠션부재(32)에 형성된 분배출관(32b)의 내측으로 펌핑부재(40)의 가이드돌기(42)가 결합된다.
결합부재(20), 스펀지쿠션부재(32), 펌핑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커버(50)를 씌워 개구된 부분에 스펀지쿠션부재(32)의 끼움홈(32c)이 위치되도록 한다.
커버(50)는 커버(50) 자체만 또는 내측에 망(51)(망체(51a) 또는 망부재(51b))을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스펀지쿠션부재에 설치한다.
용기(10)의 저장부(11)에 소정량의 분을 담은 상태에서 결합부재(20)와 결합시킨 후에 뚜껑(60)을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시키면, 뚜껑(60)은 커버(50)를 용기(10) 쪽으로 누르게 되 고, 용기(10) 쪽 방향으로 눌려지는 커버(50)는 펌핑부재(40)를 눌러 그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가 스펀지쿠션부재(32)에 설치된 분배출관(33)의 유출공(33a)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하여 뚜껑(60)을 분리하면, 종래에는 뚜껑(60)을 분리함과 동시에 다량의 분이 배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하였다.
이는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고, 발생된 진동에 의해 분이 용기(10)에서 커버(50)로 쪽으로 배출되어 뚜껑(60)을 분리하면, 뚜껑(60)과 함께 분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꺼리게 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1)는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하고, 이동할 시에 스펀지쿠션부재(32)의 내측에 설치된 분배출관(33)의 유출공(33a)을 펌핑부재(40)의 가이드돌기(42)가 막고 있기 때문에 분이 커버(5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뚜껑(60)을 분리하여도 분이 동시에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을 꺼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고칠 시에 용기(10)를 잡은 상태에서 톡톡 치듯이 피부에 두드리면, 용기(10)에 저장된 분은 스펀지쿠션부재(32)에 설치된 펌핑부재(4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커버(50) 쪽으로 분이 배출된다.
커버(50) 쪽으로 이동된 분은 커버(50)의 내측에 설치된 망(51)에 일정량이 모여지는데, 이때 모여지는 분의 양은 한번 터치할 정도의 분이 모여져 많은 양의 화장이 한꺼번에 피부에 묻는 것을 방지한다.
화장을 끝낸 후에 뚜껑(60)을 결합시키면, 뚜껑(60) 내측이 커버(50)의 상부를 용기(10) 쪽으로 누른다.
뚜껑(60)에 의해 눌려지는 커버(50)는 동시에 펌핑부재(40)를 누르게 되고, 펌핑부재(40)는 쿠션부재(30)에 설치된 분배출관(33)의 유출공(33a) 내측으로 가이드돌기(42)가 인입되면서 분이 배출되는 유출공(33a)를 차단하므로 흔들림에 의해 분이 커버(5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펌핑부재(40)를 실리콘쿠션부재(31) 또는 스펀지쿠션부재(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펌핑부재(40)의 저부에 다수의 가이드돌기(42)를 형성하여 쿠션부재(3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b, 7c, 7d, 7e, 7f,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제작하여 분을 많이 소모하는 사용자에 따라 펌핑부재를 쿠션부재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쿠션부재(30)를 통해 분이 배출되는 분배출공(31b) 또는 분배출관(33)이 설치되는 분배출공(32b)은 동일한 개수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수의 가이드돌기(42)를 형성함에 따라 쿠션부재(30)에서 펌핑 작용을 할 시에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펌핑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분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커버(50)의 구성을 망(51)이 설치되는 않고, 그 자체로만 형성되어 쿠션부재(30)와 펌핑부재(40)의 상부에 설치하므로 분이 커버(50)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51a)를 구성하여 설치함에 따라 소정량의 분이 모여진 상태에서 커버(50)의 표면으로 배출됨에 따라 화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커버(50)의 내측에 설치되는 망체(51a)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부재(51b)를 설치하여도 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커버(50) 자체만 또는 커버(50) 내측에 망체(51a) 또는 망부재(51b)를 설치하는 것은 제조시 제품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혀주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화장용 퍼프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를 핸드백과 같은 곳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어 쓸 때 핸드백의 흔들려도 용기에 저장된 분이 커버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뚜껑을 분리하였을 시에 분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 쿠션부재에 설치된 펌핑부재의 펌핑 작용에 분이 소정량씩 배출되므로 피부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화장이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을 분리할 때 분의 배출을 방지하므로 호흡을 통해 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을 오픈 할 시에 분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저장부(11)가 형성된 용기(10)와;
    용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20)와;
    결합부재(20) 상부에 설치되어 분을 배출하는 쿠션부재(30)와;
    펌핑 작용에 의해 분이 배출되도록 쿠션부재(30)에 설치되는 펌핑부재(40)와;
    내측에 망(51)이 설치되어 펌핑부재(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50)와;
    펌핑부재(40)와 커버(50)가 눌려져 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뚜껑(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1항에 있어서,
    쿠션부재(30)는 실리콘쿠션부재(31) 또는 스펀지쿠션부재(32)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6.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소라 껍데기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다단으로 형성된 부분에 분출공(41)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7.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선으로 길게 분출공(41)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8. 제1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는 마름모꼴로 형성된 분출공(41)이 그물과 같이 연결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분에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9. 제1항에 있어서,
    망(51)은 망체(51a) 또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된 망부재(51b)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10.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쿠션부재(31) 상부에는 안착부(31a)가 형성되며, 안착부(31a)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분배출공(31b)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걸림턱(31d)이 형성된 가이드돌기(3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11. 제3항에 있어서,
    펌핑부재(40)에는 다수의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42)가 결합되는 쿠션부재(30)에도 동일한 개수의 분배출공(31b, 32b)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2020060002164U 2006-01-24 2006-01-24 화장용 퍼프. KR200417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4U KR200417160Y1 (ko) 2006-01-24 2006-01-24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4U KR200417160Y1 (ko) 2006-01-24 2006-01-24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160Y1 true KR200417160Y1 (ko) 2006-05-25

Family

ID=4176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64U KR200417160Y1 (ko) 2006-01-24 2006-01-24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16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47B1 (ko) 2006-07-14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KR200452383Y1 (ko) 2009-03-09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171305B1 (ko) 2011-03-03 2012-08-20 정만택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5589Y1 (ko) * 2013-04-23 2014-12-12 (주)비디비치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WO2014208887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47B1 (ko) 2006-07-14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KR200452383Y1 (ko) 2009-03-09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171305B1 (ko) 2011-03-03 2012-08-20 정만택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5589Y1 (ko) * 2013-04-23 2014-12-12 (주)비디비치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WO2014208887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17160Y1 (ko) 화장용 퍼프.
KR100776286B1 (ko) 파우더 화장용기
KR100970666B1 (ko) 화장품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37581Y1 (ko) 러버사출을 이용한 거름망을 가지는 파우더용기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CN106488719A (zh) 指甲油容器支架
CN108175172B (zh) 化妆品容器
CN107440305B (zh) 包括具有熔化外侧的浸渍件的化妆品容器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US20090126759A1 (en) Powder compact applicator
KR100781747B1 (ko)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KR200469110Y1 (ko)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KR200450934Y1 (ko) 마사지 부재가 구비된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040517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3368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24791Y1 (ko)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
KR200400088Y1 (ko) 화장용 퍼프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KR20210026794A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0591522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38485Y1 (ko) 파우더용 화장용기
KR102087496B1 (ko) 에어리스 아이크림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