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486Y1 -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486Y1
KR200430486Y1 KR2020060022085U KR20060022085U KR200430486Y1 KR 200430486 Y1 KR200430486 Y1 KR 200430486Y1 KR 2020060022085 U KR2020060022085 U KR 2020060022085U KR 20060022085 U KR20060022085 U KR 20060022085U KR 200430486 Y1 KR200430486 Y1 KR 200430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driver
vehicle
windshie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권
Original Assignee
최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권 filed Critical 최승권
Priority to KR202006002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4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47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using a suction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91Preventing dazzlement during driving in the d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전면유리(G)로부터 맞은편 차량의 불빛(L)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방지판(10), 고정수단(2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삼각형의 방지판(10)은 전면유리(G)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투명한 아크릴판(11)을 구비하고, 아크릴판(11)의 표면에 코팅되어 차량의 불빛(L)을 감소시켜 눈부심을 방지하는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을 일체로 구비한다. 고정수단(20)은 방지판(10)의 측면에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전면유리(G)상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이때,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지하지 않도록 소정의 색농도(15a)를 구비하고, 그 색농도(15a)는 일정한 기준선(α)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옅어지게 형성되도록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유리상에 윈도우 틴티드필름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야간 주행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킴과 함께 안전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야간, 전조등, 필름, 눈부심, 방지, 안전운행

Description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The dazzling eyes protection structure of driv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의 정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방지판 11: 아크릴판
12: 경사홈 15: 윈도우 틴티드 필름
15a: 색농도 20: 고정수단
α: 기준선 G: 전면유리
L: 불빛
본 고안은 눈부심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유리상에 윈도우 틴티드필름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야간 주행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킴과 함께 안전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조등(헤드라이트)은 하이빔인 상향등과 로우빔인 하향등으로 작동이 되는데, 대개 하향등은 운전자가 전방 40m정도까지 물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향등은 대략 전방 100m 정도의 거리까지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조등 불빛은 야간 운전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유일한 수단으로서 자동차의 야간 운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운전자들은 보다 밝기가 세고 멀리까지 빛을 조사해줄 수 있는 HID램프를 선호하고, 일부 운전자들의 경우에는 많은 비용을 들여 일반 램프의 밝기보다 월등히 밝은 HID램프로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통상 운전자는 야간운전이 주간운전에 비해 훨씬 신경이 많이 쓰이는 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밝은 램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자 본인의 시야 확보에는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이나 맞은편 차선에서 운행중인 운전자에게는 눈부심 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야간에 맞은편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는 중대한 요인이 되며, 이러한 눈부심 현상이 심할 경우에는 맞은편 운전자가 잠시 앞을 보지 못하게 되어 자칫 대형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눈부심 현상은 일반적으로 맞은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가장 심하게 작용하지만, 전조등에 의한 조사각도내의 빛의 경로와 운전자의 시선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빛이 지나가는 경로를 관통하여 사물을 바라보아야 하는 문제에 의해 결국 운전자의 눈도 쉽게 피곤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운전자의 차량 운전 방향과 맞은편에 차량이나 빛을 잘 반사시키는 물체 등이 있을 때는 반사된 강한 빛이 운전자의 차량 자신에게도 눈부심 현상으로 작용하는 수도 있어 운전자가 잠시 앞을 보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야간에 주행하는 운전자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으로, 맞은편 자량의 불빛과 운전자 차량 불빛의 교차점에서 물체를 식별하기 어려워 생기는 착시현상이나 증발현상이 발생하여 맞은편 차량와 충돌하는 사고의 위험과 함께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나기도 하는 등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눈부심 현상을 차단하는 다양한 방식이 도입되기도 한다. 특허등록 제0077693호 "자동차의 눈부심 제거용 편광판" 과 특허등록 제0184549호 "자동차에 설치되는 눈부심 방지용 선바이저" 및 특허공개 제0089359호 "자동차의 확장형 선바이저"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주간에 태양으로부터의 눈부심이나 야간운전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으로부터는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차량의 전면유리상에 일체의 화면으로 동일한 농도로 선팅되어 있기 때문에 맞은편 차량의 눈부심과 운전자의 전방의 차선을 동시에 보기에는 운전자의 전방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유리상에 윈도우 틴티드필름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탈부착 이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야간 주행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킴과 함께 안전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전면유리(G)로부터 맞은편 차량의 불빛(L)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G)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투명한 아크릴판(11)을 구비하고, 아크릴판(11)의 표면에 코팅되어 차량의 불빛(L)을 감소시켜 눈부심을 방지하는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을 일체로 구비하는 삼각형상의 방지판(10); 및 상기 방지판(10)의 측면에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전면유리(G)상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아크릴판(11)은 삼각형상의 외주면에 내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지하지 않도록 소정의 색농도(15a)를 구비하고, 그 색농도(15a)는 일정한 기준선(α)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옅어지게 형성되도록 구비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 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전면유리(G)로부터 맞은편 차량의 불빛(L)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방지판(10)과 고정수단(2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지판(10)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전면유리(G)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투명한 아크릴판(11)을 구비하고, 아크릴판(11)의 표면에 코팅되어 차량의 불빛(L)을 감소시켜 눈부심을 방지하는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을 일체로 구비한다. 방지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판(11) 과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으로 구성되는 바, 아크릴판(11)과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별도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방지판(10)을 구성하는 아크릴판(11)과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지하지 않으면서 눈부심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아크릴판(11)은 삼각형상의 외주면에 내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을 더 구비한다. 아크릴판(11)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아크릴수지를 이용하여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유리(G)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착된다. 즉 아크릴판(11)은 전면유리(G)의 곡선에 접하도록 그 곡선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아크릴판(11)은 삼각형상의 외주면에 내향지게 경사면(12)이 형성되는 바, 경사면(12)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칼날처럼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전면유리(G)에 장착시 아크릴판(11)에 의한 그림자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전방의 사물로 오판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지하지 않도록 소정의 색농도(15a)를 구비하고, 그 색농도(15a)는 일정한 기준선(α)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옅어지게 형성되도록 구비한다. 윈도우 틴티드 필름(Window Tinted Film)(15)은 아크릴판(11)과 마찬가지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아크릴판(11)의 표면에 코팅되어 실질적으로 차량의 불빛(L)을 감소시켜 눈부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아크릴판(11)의 양면에 부착할 수도 있을뿐더러, 일면에도 부착이 가능하여 택일하 여 형성된다.
이때,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아크릴판(11)과 마찬가지로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색농도를 갖는 바,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색농도(15a)는 일정한 기준선(α)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옅어지게 형성된다. 즉, 도 2처럼 기준선(α)을 기준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색농도(15a)가 옅어지게 된다. 색농도(15a)라 함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뜻하는 것으로, 기준선(α)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40%라고 할 때, 화살표와 같이 양방향으로 진행될수록 투과율이 점차적으로 50%, 60%, 70%, ~100%로, 전면유리(G)와 동일한 투명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20)은 방지판(10)의 측면에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전면유리(G)상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고정수단(20)은 방지판(10)의 전면유리(G)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유리(G)로부터 회동이 가능하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고정수단(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판(1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전면유리(G)상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착탈된다. 이때 고정수단(20)은 전면유리(G)의 곡선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부착성이 뛰어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사용에 있어서, 우선 방지판(10)은 도 3처럼 고정수단(20)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부착되는 바, 이때 방지판(10)의 경사면(12)이 칼날처럼 얇게 형성됨에 따라 설치시 전면유리(G)에 그림자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전방의 사물로 오판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운전시 전방시계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이는 운전자의 차량 전면유리(G)를 통해 전방시계가 형성되고, 통상 주행할 때에는 가까운 거리의 피사체는 더 크게 보이고, 멀리 있는 피사체는 더 작게 보이며, 앞뒤간의 거리가 더 멀게 느껴지는 원근감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1차로를 통해 주행시 원근감은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주로 야간에 맞은편 차량의 전조등 불빛은 우측 삼각변을 기준하여 교차점에서부터 조사되어 온다. 이를 운전자의 전면유리(G)를 조수석과 이등분할 때 운전자의 시야에서 이분법으로 나타내면 교차점이 된다. 즉, 전면유리(G)를 조수석과 이분할하여 전방시계의 교차점에 배치한 피사체는 강한 인상을 주듯 운전자에게도 야간운전시 맞은편 차량의 전조등 불빛(L)은 원근감에 따라 교차점에서부터 강하게 조사되면서 맞은편의 1차로와 맞은편의 2차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발생된다.
이로서, 운전자 차량과 마주 오는 맞은편 차량의 전조등 불빛(L)이 마주쳐 눈부심이 발생되어 착시현상이나 증발현상이 발생하여 중앙선을 침범할 위험이 있고, 전방의 선두차량을 추돌하거나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처럼 삼각형상의 방지판(10)을 전면유리(G)상에 고정수단(20)을 이용하여 장착하고, 방지판(10)의 기준선(α)을 기준하여 도 2처럼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가시광선 투과농도가 옅어짐으로 인해, 이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운전시 교차점에서부터 맞은편 1차로와 맞은편 2차로에서 조사되는 맞은편 차량의 전조등 불빛(L)만을 감소하게 되고,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어 운전자의 전방 1차로와 2차로, 우측경관, 좌측 주변경관, 그리고 맞은편의 상대 2차로의 일부까지 깨끗한 전방시계를 제공되어 야간운전시에도 좌우 경관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눈부심 방지기구는 야간운전시 도로의 원근감에 따라 삼각형태로 조사되어 발생되는 맞은편 차량의 전조등 불빛(L)을 삼각형상의 방지판(10), 즉 아크릴판(10)과 표면에 양방향으로 점차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형성된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을 부착하고, 전면유리(G)상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야간주행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L)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킴과 함께 안전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유리상에 윈도우 틴티드필름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야간 주행시 맞은편 차량의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킴과 함께 안전한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Claims (3)

  1.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전면유리(G)로부터 맞은편 차량의 불빛(L)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G)의 일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투명한 아크릴판(11)을 구비하고, 아크릴판(11)의 표면에 코팅되어 차량의 불빛(L)을 감소시켜 눈부심을 방지하는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을 일체로 구비하는 삼각형상의 방지판(10); 및
    상기 방지판(10)의 측면에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전면유리(G)상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판(11)은 삼각형상의 외주면에 내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틴티드 필름(15)은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최대한 방지하지 않도록 소정의 색농도(15a)를 구비하고, 그 색농도(15a)는 일정한 기준선(α)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옅어지게 형성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KR2020060022085U 2006-08-14 2006-08-14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KR200430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85U KR200430486Y1 (ko) 2006-08-14 2006-08-14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85U KR200430486Y1 (ko) 2006-08-14 2006-08-14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486Y1 true KR200430486Y1 (ko) 2006-11-13

Family

ID=4177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085U KR200430486Y1 (ko) 2006-08-14 2006-08-14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3917B1 (en) Led light source high-beam and low-beam integrated automobile lamp module with adb function
US8783920B1 (en) Systems for indicating visibility of a blind spot to a driver
JP2013073691A (ja) 車両用灯具
CN111873763A (zh) 防眩目装置、用于运行防眩目装置的方法和相应的车辆
WO2018095280A1 (zh) 车用远光装置及机动车
KR200430486Y1 (ko)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기구
JPH0672151A (ja) 運転操作用およびスポーツ動作用の視界確認方法およびその明視装置
CN110794581A (zh) 抬头显示装置
CN2765808Y (zh) 车辆防眩装置
US2050889A (en) Glare-dimming attachment for windshields
CN208277947U (zh) 汽车及该汽车盲区镜装置
CN206537374U (zh) 一种用于汽车的前围总成
KR200282710Y1 (ko) 전조등 불빛 차단장치
CN213118946U (zh) 一种防眩目汽车一体式后尾灯
CN203331793U (zh) 一种汽车车窗
CN208452888U (zh) 一种利用偏光片过滤汽车灯光的装置
RU2001788C1 (ru) Защитный противоослепл ющий экран дл ночного вожд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0069726U (zh) 一种低角度近光车灯
CN218986484U (zh) 一种带光导式转向灯的外后视镜总成
JPH101346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CN207670160U (zh) 一种汽车前挡风玻璃结构
RU2060527C1 (ru) Противоослепляющие очки
CN208735546U (zh) 一种电动自行车车前灯
KR200363972Y1 (ko) 주간 및 야간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선글라스
CN2804595Y (zh) 一种会车防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