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06Y1 - 달력 - Google Patents

달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06Y1
KR200430306Y1 KR2020060020889U KR20060020889U KR200430306Y1 KR 200430306 Y1 KR200430306 Y1 KR 200430306Y1 KR 2020060020889 U KR2020060020889 U KR 2020060020889U KR 20060020889 U KR20060020889 U KR 20060020889U KR 200430306 Y1 KR200430306 Y1 KR 200430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holder
sheet
hol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우
Original Assignee
최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양우 filed Critical 최양우
Priority to KR2020060020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6Suspension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력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달력은, 넘겨진 달력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달력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달력의 첫 번째 장의 관통공에 설치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달력지에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를 소정의 물체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재;를 구비한다.
달력, 관통공, 홀더, 접합부재

Description

달력{Calenda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달력지 12 : 홀더 14, 24, 34 : 접합부재
100, 200, 300 : 달력
본 고안은 달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달력의 달력지를 고정하는 홀더 및 달력을 접착할 수 있는 접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넘겨진 달력지를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냉장고나 벽 등에 간단히 탈·부착 할 수 있는 달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력은 사용자에게 날짜와 요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생필품으로서 달력을 벽이나 철제제품에 부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구비되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면, 벽에 못 또는 나사를 박거나 갈고리 형상의 걸고리를 벽면에 강력접착한 후 달력에 구비된 걸림부, 걸림공을 이용하여 달력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못, 나사 또는 강력접착제에 의해 벽에 흠집을 내어 벽면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못이나 걸고리에 인체의 일부가 부딪쳐 다칠 수 있으며, 넘겨진 달력지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달력지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 벽이나 철제제품에 손쉽고 용이하게 탈·부착가능하고, 벽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달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달력지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부재에 인체의 일부 가 부딪쳐도 해가 없으며, 넘겨진 달력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달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달력은, 넘겨진 달력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달력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달력의 첫 번째 장의 관통공에 설치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달력지에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를 소정의 물체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경사진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홀더가 관통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의 걸림부와 몸체부는 달력 첫 번째 장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받침부의 상부면은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면하여 설치되며, 접합부재는 받침부의 하부면을 덮도록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점착된다.
한편, 상기 접합부재는 그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자석판이거나,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양면테이프, 또는 양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이고, 접합부재는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점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달력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달력은 다수의 달력지로 이루어지고, 벽 등에 걸기 위한 관통공이 일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달력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달력지가 접혀져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달력지의 일측에 연결고리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등 다양한 구조의 달력이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달력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표현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로서, 관통공이 없는 달력에 펀칭기를 이용하여 관통공을 형성한 뒤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다양한 구조의 달력에 본 고안이 접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달력(100)은, 달력지(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 입되어 달력지(10)를 고정시키는 홀더(12), 및 홀더(12)를 달력지(10)에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10)를 소정의 물체에 부착시키는 접합부재(14)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12)는, 그 일단이 경사진 걸림부(12a)와, 걸림부(12a)의 일부분과 연결되는 몸체부(12b), 및 몸체부(12b)와 연결되어 형성된 받침부(12c)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홀더(12)는 걸림부(12a)와 몸체부(12b) 및 받침부(12c)의 형태를 일체형의 구조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달력지(10)의 관통공(11)에 삽입되어 달력지(10)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a)는 달력지(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걸림부(12a)의 크기는 관통공(10)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이는 걸림부(12a)의 크기가 관통공(11)보다 크게 형성되면 달력지(10)를 걸림부(12a)에 삽입시 달력지(1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걸림부(12a)는 관통공(1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2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걸림부(12a)의 일부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몸체부(12)는 걸림부(12a)의 중앙에 연결되며, 걸림부(12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2b)에 수용된 달력지(10)는 걸림부(12a)의 턱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정의 길이는 걸림부(12a)를 통해 달력지(10)를 몸체부(12b)에 수용시 달력지(10)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받침부(12c)는 몸체부(12b)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받침부(12c)는 그 크기가 관통공(11)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통공(11)으로 홀더(12)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받침부(12c)는 원판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11)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12)의 걸림부(12a)와 몸체부(12b)는 달력 첫 번째 장의 관통공(11)에 삽입되고, 받침부(12c)의 상부면은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면하여 점착된다. 즉, 접합부재(14)는 받침부(12c)의 하부면을 덮도록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점착되어 홀더(12)를 달력지(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접합부재(14)는 자석판(14a)과, 자석판(14a)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14b)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판(14a)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층(14b)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석판(14a)에 형성된 점착층(14b)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석판(14a)은 달력(100)의 달력지(10) 중 가장 외측의 달력지(10) 즉,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점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부재(14)는 관통공(11)에 삽입된 홀더(12)의 받침부(12c) 하단부분을 포함하여 달력지(10)에 부착된다. 즉, 자석판(14a)은 달력지(10)지 홀더(12)가 고정되도록 점착하게 된다. 한편, 자석판(14a)의 크기는 자석판(14a)이 홀더(12)의 하단부를 포함하여 달력에 부착되고, 자석판(14a)이 부착된 달력(100)이 자석판(14a)의 자력에 의해 철제 제품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자석판(14a)의 형태를 사각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더(12)의 받침부(12c) 및 달력지(10)의 외측면에 점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채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접합부재(14)는 점착층(14b)을 보호하도록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거나 자석판(14a)이 달력지(10)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달력(200)은, 달력지(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되어 달력지(10)를 고정시키는 홀더(12), 및 홀더(12)를 달력지(10)에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10)를 소정의 물체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재(24)를 구비한다. 이때, 달력지(10) 및 홀더(12)는 전술한 실시예의 달력지(10) 및 홀더(12)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달력(200)은 접합부재(24)가 달력지(10)에 점착되어 소정의 물체에 부착되는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접합부재(24)는 양면에 점착층(24b)이 형성된 양면테이프(24a)이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24)는 달력지(10)에 홀더(12)를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10)에 점착되어 소정의 물체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정의 물체는 달력지(10)가 부착될 수 있는 냉장고, 문, 거울, 벽 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점착층(24b)의 표면에는 점착층(24b)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고, 사용시 이형지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점착층(24b)의 접착력은 달력지(10)나 소정의 물체에 부착시 손쉽게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가지며, 접합부재(24)를 떼어낼 경우 달력지(10)나 소정의 물체에 흠집을 내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전술된 자석판(14a)을 이용하는 달력(100)은 철제제품에 부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 등에 부착된다. 물론, 자석판(14a)의 양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벽면 등에 부착될 수 있으나 비용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상황에 따라 접합부재(14),(24)를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의 접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달력(300)은 달력지(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되어 달력지(10)를 고정시키는 홀더(12), 및 홀더(12)와 달력지(1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달력지(10)에 부착되는 접합부재(34)를 구비한다. 이때, 달력지(10) 및 홀더(12)는 전술한 실시예의 달력지(10) 및 홀더(12)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달력(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며, 다만 접합부재(34)가 달력지(10)에 점착되어 소정의 물체에 부착되는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접합부재(34)는 벨크로 테이프(34a)이고, 양면에 점착층(34b)이 형성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34)는 달력지(10)에 홀더(12)를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10)에 점착되어 소정의 물체에 부착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점착층(34b)의 표면에는 점착층(34b)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고, 사 용시 이형지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합부재(34)는 달력(300)을 소정의 물체에 부착 후 다시 필요에 의해 복수 회 떼었다 부착할 경우 소정의 물체에 부착되는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벨크로 테이프(34a)를 이용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술된 홀더(12)와 접합부재(14),(24),(34)는 달력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홀더(12)와 접합부재(14),(24),(34)를 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달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곳에 달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둘째, 달력이 부착되는 소정의 물체에 흠집이나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셋째, 넘겨진 달력지가 잘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달력지를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와 부딪쳐도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Claims (6)

  1. 넘겨진 달력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달력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설치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달력지에 고정함과 동시에 달력지를 소정의 물체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경사진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홀더가 관통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걸림부와 몸체부는 달력 첫 번째 장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받침부의 상부면은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면하여 설치되며, 접합부재는 받침부의 하부면을 덮도록 달력 첫 번째 장의 외부면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자석판이고, 상기 자석판의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양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양면테이프이고,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이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의 양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달력의 첫 번째 장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력.
KR2020060020889U 2006-08-03 2006-08-03 달력 KR200430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89U KR200430306Y1 (ko) 2006-08-03 2006-08-03 달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89U KR200430306Y1 (ko) 2006-08-03 2006-08-03 달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06Y1 true KR200430306Y1 (ko) 2006-11-13

Family

ID=4177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889U KR200430306Y1 (ko) 2006-08-03 2006-08-03 달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648B2 (ja) 物品を表面に貼付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立物品
CN107428119B (zh) 安装系统
KR200430306Y1 (ko) 달력
KR20120008481U (ko) 반복 탈부착 가능한 걸이구
TWI724000B (zh) 安裝總成及由牆壁移除安裝總成之方法
JP3391089B2 (ja) 磁性吊下具
JP3110178U (ja) 吊下げ具
JP2011022291A (ja) 表示物用吊り具
JP2001254061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巻回体
KR200285343Y1 (ko) 포켓형 착탈가능 액자
JP2002209714A (ja) 壁面取付構造体
JPH054978U (ja) 引き剥がし可能なフツク
CN1789016B (zh) 随意贴
JPH0219264Y2 (ko)
JPS5918612A (ja) 壁面係合具
JP3037162U (ja) 貼付型取付具
JPH06100843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巻回体
WO2020075263A1 (ja) ベースシート構造
JP3142069U (ja) カレンダー
KR20180108118A (ko) 벽면 부착형 거치대 제작 방법
JPH11318686A (ja) 吊下具
JP3057099U (ja) 携帯用クリップ
JPH073445U (ja) 掛け具
TWM558589U (zh) 壁掛之固定件結構
JP3065237U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