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854Y1 -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 Google Patents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854Y1
KR200429854Y1 KR2020060021471U KR20060021471U KR200429854Y1 KR 200429854 Y1 KR200429854 Y1 KR 200429854Y1 KR 2020060021471 U KR2020060021471 U KR 2020060021471U KR 20060021471 U KR20060021471 U KR 20060021471U KR 200429854 Y1 KR200429854 Y1 KR 200429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grain
foreign matter
sor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도
Priority to KR202006002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8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고안은 수확된 곡물류(쌀, 보리, 콩 등)를 조선(粗選), 정선(精選), 선별(選別)하는 선별 기기에서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에 관한 것으로, 선별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드러운 이물질이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의 선별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1)의 상부에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2)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선별판이 고정된 지지체(4)를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체를 모터(5)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수단(6)에 의해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면서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13)은 곡물이 배출되는 통공(13a)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이동하는 평면부(13a)와, 이물질과 평면부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수직부(1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곡물 선별, 곡물 정선, 곡물 조선, 이물질, 선별판

Description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Sorting Plate of Grain Sorter}
도 1은 일반적인 선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선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별판이 장착된 선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호퍼
4 : 지지체 6 : 편심 캠수단
13 : 선별판 13a : 평면부
13b : 수직부 13c : 통공
17 : 체인스크레퍼
본 고안은 수확된 곡물류(쌀, 보리, 콩 등)를 조선(粗選), 정선(精選), 선 별(選別)하는 선별 기기에서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개선하여 부드러운 이물질이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의 선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프레임(1)의 상부에 곡물을 투입하는 호퍼(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선별판(3)이 고정된 지지체(4)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4)에는 모터(5)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수단(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4)에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선별판(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표면에는 곡물은 통과하고 이물질(곡물의 껍질이나, 검불, 무거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적절한 크기를 갖는 통공(3a)이 무수히 많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3)의 상부에는 선별판(3)의 상면에 달라붙는 이물질을 반복적으로 분리 제거하는 스크레퍼(7)가 벨트형태로 감겨져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2) 내에 이물질을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넣고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5)의 동력이 편심 캠수단(6)에 의해 지지체(4)에 전달되어 지지체가 반복적으로 요동치게 되므로 곡물이 이물질과 함께 선별판(3)을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곡물은 선별판(3)에 타공된 통공(3a)을 통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고, 이물질을 선별판(3)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지지체(4)의 반복되는 흔들림에 의해 미끄럼을 타듯 하방으로 이동하여 분리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판상의 선별판은 지지체에 수평으로 설치되므로 인해 이물질이 곡물과 함께 떨어져 지지체의 요동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통공에 걸려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곡물의 선별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이물질이 부드러운 지푸라기이거나, 수분이 함유된 경우에는 상기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되어 스크레퍼가 회전하면서 선별판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긁어주더라도 선별판이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선별판과 이물질의 접촉면적이 커 잘 분리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선별판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수 작업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선별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의 종류 및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지지체가 요동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신속하게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령 이물질이 선별판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더라도 체인스크레퍼에 의해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의 상부에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선별판이 고정된 지지체를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체를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면서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은 곡물이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이동하는 평면부와, 이물질과 평면부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수직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선별판이 장착된 선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선별판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프레임(1)의 상부에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선별판(13)이 고정된 지지체(4)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선별판(13)은 곡물과 이물질이 이동하는 평면부(13a)와, 이물질과 평면부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수직부(1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별판(13)의 평면부(13a)의 길이(L)는 80-10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부(13b)의 높이(T)는 10-15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부(13a)의 길이가 80mm보다 짧으면 곡물이 통공(13c)을 통과하는 효율이 떨어지고 100mm보다 길면 이물질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수직부(13b)의 높이가 10mm보다 낮으면 이물질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15mm보다 높으면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튀기는 현상이 발생된 다.
그리고 지지체(4)에는 모터(5)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수단(6)이 연결되어 있고 선별판(13)의 상부에는 선별판의 평면부(13a)와 수직부(13b)의 경계면인 꼭지점에 접속되는 체인스크레퍼(1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2) 내에 이물질을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넣고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5)의 동력이 편심 캠수단(6)에 의해 지지체(4)에 전달되어 지지체가 반복적으로 요동치게 되므로 곡물이 이물질과 함께 선별판(13)을 타고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곡물이 이물질과 함께 선별판(13)의 평면부(13a)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곡물은 선별판(13)은 수직부(13b)에 의해 산 형태를 취하고 있어 하방(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면서 평면부(13a)에 형성된 통공(13c)을 통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지만,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선별판(13)의 평면부(13a)와 접촉면적이 최소화된다.
상기 이물질이 수직부(13b)에 의해 평면부(13a)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평면부(13a)와 수직부(13b)의 경계면인 꼭지점부위에 체인스크레퍼(17)가 접속된 상태로 회전하면 평면부(13a)와 수직부(13b)에 걸쳐져 있던 이물질이 체인스크레퍼(17)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곡물의 이송이 방해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평면 선별판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선별판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드러운 이물질 또는 물기가 함유된 이물질이 곡물과 함께 투입되더라도 선별판과 이물질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이물질이 배출구 측으로 원활히 이동하여 배출된다.
둘째,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로 인해 이물질이 선별판에 형성된 통공에 걸려 정체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곡물의 선별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셋째, 부드러운 이물질 또는 습기가 함유된 이물질이 평면부에 걸쳐져 있더라도 체인스크레퍼가 평면부와 수직부의 경계면인 꼭지점에 접속되게 설치되어 이동하므로 이물질의 배출동작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넷째,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져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선별판의 통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곡물의 선별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프레임의 상부에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선별판이 고정된 지지체를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체를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면서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은 곡물이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이동하는 평면부와, 이물질과 평면부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수직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의 평면부의 길이(L)는 80-100mm이고, 수직부의 높이(T)는 1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의 상부에 평면부와 수직부의 경계면인 꼭지점에 접속되는 체인스크레퍼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KR2020060021471U 2006-08-10 2006-08-10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KR200429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71U KR200429854Y1 (ko) 2006-08-10 2006-08-10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71U KR200429854Y1 (ko) 2006-08-10 2006-08-10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515A Division KR100807716B1 (ko) 2006-08-10 2006-08-10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854Y1 true KR200429854Y1 (ko) 2006-10-27

Family

ID=4177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471U KR200429854Y1 (ko) 2006-08-10 2006-08-10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8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590A (ko) 석발기
CN210610951U (zh) 一种清洗机入料筛选装置
KR100807716B1 (ko)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JP2949022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KR200429854Y1 (ko) 곡물류 선별장치의 선별판
WO1997048503A9 (en) Vibratory particle separating apparatus
KR101281519B1 (ko) 현미 선별기
CN209597659U (zh) 一种土豆分选系统
JP2006026466A (ja) 選別機の微石粒除去装置
EP1013348B1 (en) A screenless vibrator separator
JP2009066575A (ja) 籾摺選別装置
KR20070006081A (ko) 진공식 왕겨풍구 석발기
CN209287726U (zh) 一种谷糙分离机
CN114472180B (zh) 一种农用谷物分离机
JP2006271265A (ja) 脱穀機の選別装置
CN214320291U (zh) 一种金矿开采用矿石破碎筛选一体装置
CN107971208B (zh) 一种花生分存转化装置
JP2002125446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886038B2 (ja) 脱穀装置
CN210753691U (zh) 一种利用振动能量去除坏花生的花生分拣装置
CN220920000U (en) Winnowing vibration cleaning sieve
JP2544386Y2 (ja) 穀粒均等分配装置
JP2006341227A (ja) 振動式真空脱水装置
JP3606846B2 (ja) 石抜機
JPS5840829Y2 (ja) 大豆脱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