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492Y1 - 동물 먹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먹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492Y1
KR200429492Y1 KR2020060020854U KR20060020854U KR200429492Y1 KR 200429492 Y1 KR200429492 Y1 KR 200429492Y1 KR 2020060020854 U KR2020060020854 U KR 2020060020854U KR 20060020854 U KR20060020854 U KR 20060020854U KR 200429492 Y1 KR200429492 Y1 KR 200429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guide plate
hole
anim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근
Original Assignee
진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근 filed Critical 진호근
Priority to KR2020060020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Abstract

본 고안은 먹이저장통(10)과 타이머(31)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에 구동모터(20)를 작동시켜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으로 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리인이 장기간 부재시 동물에게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분리돌기(13)와 차단핀(17)을 구비하여 구동모터(20)의 모터 축 (20a)부분으로 사료의 끼임과 먹이의 잔류를 최대한 방지하여 구동모터(20)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회전의 신뢰성 즉,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일정 시간마다 공급되는 먹이의 양도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리돌기, 고정판, 차단핀, 회전체, 구동모터, 타이머

Description

동물 먹이공급장치{Feeding machine for p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먹이통이 분리된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먹이통이 결합된 후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내부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먹이저장통 10b : 물저장통
11 : 뚜껑 12 : 확인창
13 : 분리돌기 13a : 체결공
14 : 먹이유도체 15 : 안내판
15a : 체결공 15b : 안내공
17 : 차단핀 18 : 회전체
18a : 체결공 18b : 날개
19 : 고정판 19b : 토출구
20 : 구동모터 20a : 모터 축
30 : 제어부 31 : 타이머
31a : 시간간격조작부 31b :작동시간조작부
33 : 시간설정확인버튼 34 : 동작버튼
35 : 전원코드 40 : 먹이통받침대
41 : 먹이통 42 : 물통
본 고안은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 등 동물에게 관리인의 부재시 또는 장기 출타시 일정시간이 되면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옥 내 마당이나 울타리 내에서 사육되는 동물들에게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정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 등 다양한 애완용 동물의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주인이 다른 일에 몰두하거나 외출시 정확한 시간에 일정량의 먹이를 줄 수 없고 특히, 공공장소로 애완동물의 출입을 금하고, 주 5일 근무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주말을 이용한 여행시나 여름철 휴가 등으로 인해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가정에 남아있는 애완동물들에게 정확한 시간과 일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동물병원이나 위탁소에 외출기간 동안 위탁하게 된다. 그러나 애완동물 위탁 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며, 각각의 애완동물의 식성과 생활습관이 다름에도 위탁소 관리인은 일률적으로 맡겨진 애완동물들에게 먹이를 공급하게 되어 애완동물들은 적응하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집주인이 가정에 남겨진 애완동물들을 위해 집에 먹이와 물을 그릇에 담아 놓고 외출하는 경우, 대부분의 동물들은 먹이 절재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 한꺼번에 먹이와 물을 먹어치우게 된다. 따라서 장기 외출 시에는 상당한 양의 먹이와 물을 비치해 두어도 애완동물들은 배고픔으로 고생하게 되거나 너무 한꺼번에 많이 먹어 배탈이 날 수 있다.
그리고 상당한 양의 먹이와 물을 그릇에 비치에 두는 경우 애완동물들이 그릇을 엎어 집안을 더럽히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외출 후 집으로 돌아온 집주인은 심한 피로와 함께 짜증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옥외에서 사육되는 동물의 경우 먹이의 부족으로 타인의 배설물이나 각종 쓰레기 등을 섭취하여 배탈이나 병균에 감염되기가 쉽다.
이러한 불편들을 개선하고자 먹이 공급시간을 설정하고 정해진 양만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자동먹이공급 장치들이 속속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으로 먹이가 공급되는 장치들은 장시간 먹이를 저장하게 될 경우, 장시간 방치로 먹이가 습해져 물기가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으로 먹이가 장치의 주요부에 달라붙거나, 산화시켜 장치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과부하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시간마다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구동모터(20)의 모터 축(20a) 부분으로 사료의 끼임을 최대한 방지하여 구동모터(20) 작동의 신뢰성 즉,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일정시간마다 공급되는 먹이의 양도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물 먹이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먹이저장통(10)과 타이머(31)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에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30)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으로 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모양의 상단면과 원형의 하단면으로 이루어져 상단 면에서 하단면까지 일정한 경사면을 유지하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체결공(13a)이 관통된 분리돌기(13)와, 상기 분리돌기(13)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하되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공(15a)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안내공(15b)이 천공되어 먹이의 배출을 유도하는 원판형의 안내판(15)과, 상단부의 지름은 상기 안내판(15)의 지름과 일치하고 하단부의 지름은 안내판(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안내공(15b)의 최외곽면까지 이르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져 있고 상기 안내판(15)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사발형의 먹이유도체(14)와, 상기 안내판(15)의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며 중앙에는 상기 먹이유도체(14)의 하단부 지름크기와 동일한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의 일측 호에는 반원의 토출구(19b)가 천공되어 이루어진 고정판(19)과, 상기 고정판(19)의 홀 내부에 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공(18a)이 구비되고 체결공(18a)의 원주에서 외곽으로 일단이 굴곡져 있는 기억(ㄱ)자 형태의 날개(18b)가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회전체(18)와, 상기 고정판(19)과 안내판(15) 사이에서 체결되고 일단 끝이 외부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9)의 원주방향을 가로질러 상기 회전체(18)의 날개(18b) 위에서 고정된 막대형의 차단핀(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두 개의 직사각형 테를 두르고 두 직사각형을 나누는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를 구비한 먹이통받침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먹이통받침대(40)의 결합, 분리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먹이저장통(10) 내부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먹이(분상이나 알갱이 형태의 입상 사료)가 보관되는 원통형의 먹이저장통(10)이 구비되고, 상기 먹이저장통(10)의 상부는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켜 사료를 수시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며, 그 옆으로 나란히 원통형의 상기 먹이저장통(10)과 같은 크기로 물저장통(10b)이 구비된 다.
상기 먹이저장통(10)과 물저장통(10b)은 먹이의 투입 후 장시간이 경과됨으로써 발생하는 냄새와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뚜껑(11)을 형성하였다. 상기 뚜껑(11)을 덮어 먹이저장통(10)에 저장된 먹이를 동물들로부터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먹이저장통(10)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원형 확인창(13)을 형성하여 관리자가 공급한 먹이의 양과 물의 양을 수시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먹이저장통(10)의 하부에는 제어부(30) 본체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제어부(30) 내에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타이머(31), 컨버터, 마이콤등 먹이공급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에 먹이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산, 제어하는 장치들이 포함된다. 상기 먹이저장통(10)의 하단부에는 구동모터(20)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20)의 상단면에는 고정판(19)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판(19)의 중앙에는 도넛형태의 원형홀이 가공되어 상기 구동모터(20)의 상단면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9)의 원형홀 일측 호에는 반원형 홀인 토출구(19b)가 형성되어 먹이의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19)의 중앙 내부에는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공(18a)이 구비되고 체결공(18a)의 원 둘레에는 일단이 굴곡져 있는 기억(ㄱ)자 형태의 수 개의 날개(18b)를 구비한 회전체(18)가 형성되어 안착된다. 상기 회전체(18)는 상기 구동모터(20)의 축(20a)에 일체로 체결되어 모터(20)의 작동시 먹이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구(19b)로 밀어 넣게 된다. 상기 회전체(18) 날 개(18b)의 수는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판(19)과 회전체(18)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체(18)의 회전시 상기 고정판(19)의 토출구(19b) 내로 들어가지 못한 잔여 먹이들을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차폐하기 위한 일자형태의 차단핀(17)이 고정되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차단핀(17)은 후술할 안내판(15)과 상기 고정판(19)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가로질러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19b)의 후방에 상기 회전체(18)의 날개 위에 고정되어 먹이의 진행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고정판(19)과 차단핀(17) 상단에는 원형의 안내판(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판(15)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15a)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땅콩모양의 다수개의 안내공(15b)이 천공되어 먹이의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안내판(15)의 상단면에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사발형태의 먹이유도체(14)가 안착된다. 상기 먹이유도체(14)의 상부지름은 상기 안내판(15)의 지름과 동일하며 하부지름은 상기 안내판(15)의 안내공(15b)의 외곽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발모양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에 지름차이로 인해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먹이 투입시, 투입된 먹이가 상기 안내판(14)의 안내공(15b)에 집중하여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먹이유도체(14)의 중앙부에는 사각모양의 상단면과 원형의 하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중앙에는 체결공(13a)이 형성된 분리돌기(13)가 상기 모터의 축(20a) 상단 끝에 체결되어 진다. 상기 분리돌기(13)는 먹 이 투입시, 먹이를 분산시켜 모터(20)의 중앙 즉, 모터 축(20a)으로 먹이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20)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 본체 하부의 양모서리 쪽에는 후술할 먹이받침대(40)를 자유로이 넣고 뺄 수 있고, 동물들이 쉽게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먹이통(41)과 물통(42)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레일이 형성 되어진다.
상기 먹이받침대(40)는 직사각형의 먹이통(41)과 물통(42)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테두리 받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먹이통(41)과 물통(42)이 분리되는 테두리의 중앙부에는 일직선의 손잡이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먹이통받침대(40)에 먹이통(41)과 물통(42)을 각각 안착시키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부(30) 본체 하부로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먹이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먹이저장통(10)에 분상이나 알갱이 형태의 입상 사료를 채우고, 물저장통(10b)에 물을 담아 뚜껑(11)을 덮는다.
그리고 외부전원에 전원코드(35)를 연결한 후 타이머(31)에 구비된 시간간격조작부(31a)와 작동시간조작부(31b)를 이용하여 먹이 공급시간과 먹이 공급시간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일예로 시간간격조작부(31a)를 '12시'로 맞추고 작동시간조작부(31b)를 '30초'로 설정한 후 시간설정확인버튼(33)을 온(on)하게 되면, 정확히 12시간 간격으로 매회 30초씩 구동모터(20)가 작동한 후 멈추게 된다.
또한, 관리자가 즉시 먹이의 공급을 원할 경우, 제어부(20) 본체에 구비된 동작버튼(34)을 눌러 언제라도 관리자가 원하는 시간과 횟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 축(20a)에 일체로 체결된 회전체(18a)와 모터 축(20a) 상단 끝에 체결된 분리돌기(13)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먹이저장통(11)에 미리 저장된 먹이는 모터 축(20a)에 구비된 분리돌기(13)가 회전함에 따라 먹이저장통(11) 내에서 중앙으로 집중되지 않고 사방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때 분산된 먹이는 먹이유도체(14)에 안내에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안내판(15)에 쌓이고, 쌓인 먹이는 안내판(15)에 구비된 땅콩모양의 안내공(15a)을 관통하여 회전체(18)의 날개(18b) 사이사이로 끼여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날개(18b) 사이로 투입된 먹이는 회전체날개(18b)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밖으로 밀려나려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날개(18b)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먹이는 상기 고정판(19) 일측면에 구비된 토출구(19b)쪽으로 밀려나 관입되게 된다.
그러나 먹이가 한꺼번에 너무 많이 쌓여있거나, 너무 오랜 시간 먹이를 방치하였을 경우 먹이에 수분이 유발되어 상기 회전체(18)에 달라붙어 상기 고정판(19) 의 토출구(19b)로 빠져들지 않고 회전체(18)와 안내판(15)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고정판(19)과 안내판 (15)사이에 상기 토출구(19) 후단에서 모터 축까지 원주방향을 가로질러 일자막대의 형태를 가진 차단핀(17)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9)과 안내판(15) 사이에서 회전체 날개(18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19)의 토출구(19b)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전부 관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19b) 후단에서 진행을 가로막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9)의 토출구(19b)로 관입된 먹이는 상기 제어부(30) 본체의 하단에 먹이통받침대(40)에 의해 체결된 먹이통(41)으로 떨어져 동물들에게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서 구동모터(26)는 설정된 동작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하므로 설정시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회전체(18)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고, 회전수에 따라 먹이의 배출량이 결정되므로 동물의 종류나 크기, 수 등을 고려하여 설정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먹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점성이 높은 먹이가 안내판(15)과 고정판(19) 사이에 잔류하게 되면 회전에 방해가 되어 실질적으로 먹이의 배출이 잘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먹이가 모터 축(20a) 사이로 밀려 들어가면 구동모터(20)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 또는 관리인의 장기간 부재 시 작동이 되지 않아 동물이 아사하는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안내판(15)과 고정판(19) 사이에 차단핀(17)를 형성하여 먹이가 상기 판과 판 사이에서 잔류되거나 모터 축(20a) 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구동모터(20)의 작동 신뢰도를 높이고, 장치의 원활한 수행을 돕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기를 때 관리인이 장기간 부재 시, 설정된 시간에 정확한 양만큼 자동으로 먹이를 배출하고, 제어부(30) 본체 내 안내판(15)과 고정판(19) 사이에서 회전체 날개(18b)에 의해 토출구(19b)로 먹이가 배출될 때 흡습성 먹이의 점성 때문에 기기에 달라붙어 배출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고정판(19)과 안내판(15) 사이에서 토출구(19b) 후단에 원주를 가로질러 형성된 막대형의 차단핀(17)을 구비하여 회전체(18) 위에 붙어있거나 고정판(19)과 안내판(15) 사이에 잔류된 먹이를 회전체(18)의 회전시 회전체(18)의 상단에서 먹이의 회전 진행방향을 가로막아 토출구(19b)로 전부 관입되어 먹이배출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또한, 점성의 높은 먹이가 회전체(18)의 체결공(18a)과 모터 축(20a) 사이에 끼이면서 회전에 방해가 되어 실질적으로 먹이의 배출이 잘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먹이가 모터 축(20a) 사이로 밀려 들어가면 구동모터(20)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 또는 관리인의 장기간 부재 시 동물들이 아사하는 등 치명적인 결과를 사전에 방지하여 구동모터(20)의 수명을 연장하고 장치의 작동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먹이저장통(10)과 타이머(31)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에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30)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으로 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동물 먹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사각모양의 상단면과 원형의 하단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일정한 경사면을 유지하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체결공(13a)이 관통된 분리돌기(13)와;
    상기 분리돌기(13)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하되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공(15a)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안내공(15b)이 천공되어져 먹이의 배출을 유도하는 원판형의 안내판(15)과;
    상단부의 지름은 상기 안내판(15)의 지름과 일치하고 하단부의 지름은 안내판(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안내공(15b)의 최외곽면까지 이르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져 상기 안내판(15)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사발형의 먹이유도체(14)와;
    상기 안내판(15)의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며 중앙에는 상기 먹이유도체(14)의 하단부지름 크기와 동일한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의 일측 호에는 반원의 토출구(19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판(19)과;
    상기 고정판(19)의 홀 내부에 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모터 축(20a)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공(18a)이 구비되고 체결공(18a)의 원 둘레에는 일단이 굴곡져 있는 기억(ㄱ)자 형태의 날개(18b)가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회전체(18)와;
    상기 고정판(19)과 안내판(15) 사이에서 체결되고 일단 끝이 외부방향으로 꺾기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9)의 원주방향을 가로질러 상기 회전체(18)의 날개(18b) 위에서 고정된 막대형의 차단핀(17)을 포함하여 구성된 동물 먹이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직사각형 테를 두르고 두 직사각형을 나누는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를 구비한 먹이통받침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물 먹이공급장치.
KR2020060020854U 2006-08-03 2006-08-03 동물 먹이공급장치 KR200429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54U KR200429492Y1 (ko) 2006-08-03 2006-08-03 동물 먹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54U KR200429492Y1 (ko) 2006-08-03 2006-08-03 동물 먹이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492Y1 true KR200429492Y1 (ko) 2006-10-23

Family

ID=4177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854U KR200429492Y1 (ko) 2006-08-03 2006-08-03 동물 먹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82B1 (ko) * 2017-05-30 2018-03-15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82B1 (ko) * 2017-05-30 2018-03-15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8221757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5324B1 (en) Feeder
US6988465B2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ing device
ES2905304T3 (es) Sistema para proporcionar acceso selectivo a mascotas preidentificadas a un lugar u objeto predeterminado
US7753000B1 (en) Controlled hay feeder
US7650855B2 (en) Automatic pet feeder
GB2519654A (en) Feeder
US20130125823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mpeding pet access to food in a feed vessel to deter too rapid ingestion of food
US4279220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US20070137586A1 (en) Pet food storage and feeder device
EP1215958A1 (en) Automatic fodder supplying apparatus
AU2018239212B2 (en) Feeder
KR20120102511A (ko) 자동 사료 공급장치
EP1704776A1 (en) A feeder and a feeding method protecting feedstuff from moisture
KR101290555B1 (ko)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20220017225A (ko)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기
KR200429492Y1 (ko) 동물 먹이공급장치
US6779487B1 (en) Automated feeder
KR200429358Y1 (ko) 동물 먹이공급장치
KR200468326Y1 (ko)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US20220095583A1 (en) Horse Feeding Device
GB2510110A (en) Slow feeder
CN217905795U (zh) 一种简易的肉鸽养殖料槽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KR200418976Y1 (ko) 동물 먹이 자동 공급장치
JPH0588253U (ja) 小動物用自動エサ与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