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35Y1 -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 Google Patents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35Y1
KR200429135Y1 KR2020060021374U KR20060021374U KR200429135Y1 KR 200429135 Y1 KR200429135 Y1 KR 200429135Y1 KR 2020060021374 U KR2020060021374 U KR 2020060021374U KR 20060021374 U KR20060021374 U KR 20060021374U KR 200429135 Y1 KR200429135 Y1 KR 200429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peripheral device
comput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문상
Original Assignee
(주)리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코텍 filed Critical (주)리코텍
Priority to PCT/KR2006/0031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18405A1/en
Priority to KR2020060021374U priority patent/KR200429135Y1/ko
Priority to JP2008525937A priority patent/JP2009505212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35Y1/ko
Priority to US12/028,271 priority patent/US2008017036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기 위하여 상, 하부 플레이트의 후방측 단부 및 양측 단부에 각각 후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방 플레이트 사이의 관통구를 개방형 플레이트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하부측에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미닫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을 가로질러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가 거치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전단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를 구비한 패널면이 전단부에 형성된 수납용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절개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각 절개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반사경이 장착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부측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에는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이 구비되며 상부에 스피커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여 책상과 같은 작업대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성 및 공간활용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 마우스, 스피커, 복합기, 수납기

Description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computer peripherals and computer main body}
도 1은 종래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상, 하부 플레이트 11, 13"...절개부
12, 12'..슬라이드 홈 13...수납용 플레이트
13'...패널면 15...덮개
20...후방 플레이트 30, 30'...측면 플레이트
32, 32'...걸림돌기 34, 34'...경사 조절편
40, 40'...개방형 플레이트 42, 42'...반사경
45, 45'...받침대 50'...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
60...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 61, 61'...걸림홈
63, 63'...조절 돌기 70...보조 플레이트
80...클램프 90...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
본원 고안은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여 책상과 같은 작업대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성 및 공간활용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컴퓨터는 본체를 비롯하여 모니터, 스피커, 마우스 및 복합기 등으로 이루어진 주변기기와 함께 사용되며, 이와 같은 주변기기는 사용을 위하여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 위치에 분리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변기기는 통상 책상과 같은 작업대의 상하부측에 다소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상호 분리되어 배치됨에 따라 작업효율성도 매우 낮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2681호의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구조'(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크게 상, 하부 플레이트(10, 10')와 이 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20)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로 이루어져 수납부의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30, 30')에 각각 개방형 플레이트(40, 40'), 상,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50') 및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측면 플레이트(30, 30')와 후방 플레이트(20)가 이루는 관통구(35, 35')를 개방형 플레이트(40, 40')에 의하여 닫을 때,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40, 40') 내측면에 구비된 받침대(45)로 인하여 제대로 관통구(35, 35')를 닫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조 플레이트(70) 상에 본체가 놓인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대(45)로 인하여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40, 40')를 닫을 수 없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본체에 컴팩트 디스크를 삽입하고자 몸을 움직여 상기 관통구(35, 35') 내측을 들여다 봐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여 책상과 같은 작업대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도모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측면에서 고려하여 앉은 자리의 범위 내에서 모든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기 위하여 상, 하부 플레이트의 후방측 단부 및 양측 단부에 각각 후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방 플레이트 사이의 관통구를 개방형 플레이트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하부측에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미닫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을 가로질러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가 거치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전단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를 구비한 패널면이 전단부에 형성된 수납용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절개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각 절개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반사경이 장착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부측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에는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이 구비되며 상부에 스피커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크게 수납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 하부 플레이트(10, 10'), 후방 플레이트(20)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와, 상기 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한 쌍의 개방형 플레이트(40, 40'),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및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0')는 소정간격,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사이에 수납될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또한 각 플레이트의 면적은 수납될 본체나 주변기기 등의 폭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10, 10')의 후방측 단부는 후방 플레이트(20)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고 이와 반대측, 즉 전방측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상기 후방 플레이트(20)에는 후술할 본체가 장착시 발생되는 열의 원활한 배출과 외부 전원연결을 위하여 적당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관통구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10) 하부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3")를 구비한 패널면(13')이 전단부에 형성된 수납용 플레이트(13)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전단부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에는 상기 각 절개부(11, 13")를 개폐하는 덮개(15)가 힌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용 플레이트(13)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방 플레이트(20)측에 가깝게 좌우 양측으로 전원 및 네트워크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선공을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 플레이트(13)의 패널면(13') 일측에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용 전원 스위치(19)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수납용 플레이 트(13) 사이에 수납되는 멀티탭과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10, 10')의 양측 단부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며, 상하부측의 내측면으로, 즉 전방에서 후방측을 따라서 하부측 슬라이드 홈(12, 12')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에는 상기 하부측 슬라이드 홈(12, 12') 사이 후방 플레이트(20)측으로 관통구(35, 35')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35, 3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기가 최종 조립되었을 경우, 컴퓨터 본체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본체는 양측 관통구(35, 35')의 하부측을 가로질러 놓여지는 보조 플레이트(70) 상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의 상부측에는 걸림돌기(32, 32')가, 하부측에는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면서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받이홈(33, 33')이 복수개 형성된 경사 조절편(34, 34')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2, 32') 및 경사 조절편(34, 34')은 후술할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와 상호 결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 하부 플레이트(10, 10'), 후방 플레이트(20) 및 측면 플레이트(30, 30')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수납기의 몸체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몸체에는 한 쌍의 개방형 플레이트(40, 40'), 하부 슬 라이드 플레이트(50') 및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가 각각 구비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측면 플레이트(30, 30')에 형성된 양측 관통구(35, 35')에는 일측부가 힌지결합되어 내측면에 반사경(42, 42')이 장착된 한 쌍의 개방형 플레이트(40, 40')가 상기 관통구(35, 35')를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40, 40')는 상기 힌지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방가능하게 되므로, 밖으로 열어젖힌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를 상기 관통구(35, 35')을 통하여 내부로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경(42, 42')은 사용자가 그대로 앉은 자리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70) 상에 놓인 본체를 포함한 내부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 플레이트(30, 30') 상부측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38, 38')이 형성되어, 여기에 받침대(45, 4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에 스피커가 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45, 45')에는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47, 47')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컴팩트 디스크를 일목 요연하게 복수장 정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45, 45')는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상기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47, 47')이 형성된 반대측에 원고 고정용 클립(미도시) 등을 부가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도 2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 레일(38, 38')과의 결합 방향의 역으로 결합시켜 문서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는 상기 하부측 슬라이드 홈(12, 12')에 미닫이식으로 장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양측부에 별도로 돌기(14, 14')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14, 14')가 하부측 슬라이드 홈(12, 12')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 상을 가로질러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가 거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는 모니터가 안착되는 하부 받침대(62)와, 상기 받침대(62)와 수직되게 형성되는 상부 받침대(64)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받침대(64)는 모니터의 전원 연결이나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소정 크기의 관통구(68)가 형성된다.
이때 공간활용을 위하여 상기 모니터는 공지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와 받침부가 상호 분리되는 제품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받침부에서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만 안착하거나, 아니면 받침부가 젖혀지는 경우 상기 받침부를 젖힌 상태로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안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0, 30') 상을 가로질러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가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받침대(64) 양측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32, 32')에 대응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홈(61, 6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62) 저면 양측에는 상기 받이홈(33, 33')에 대응되는 조절 돌기(63, 63')가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상기 걸림홈(61, 61')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걸림돌기(32, 32')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를 상기 걸림돌기(32, 32')에 걸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32, 32')와 걸림홈(61, 61')의 상호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걸림돌기(32, 3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를 약간 들어올려 조절 돌기(63, 63')를 복수개의 받이홈(33, 33') 중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적절한 경사각을 구현하여 모니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 및 체결을 통하여 수납기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3과 같으며, 상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0) 및 패널면(13')을 포함한 수납용 플레이트(12, 도 2 참고)의 각 절개부(11, 13", 이하 도 2 참고)는 상기 절개부(11)에 힌지 결합된 덮개(15)에 의하여 개폐되며, 여기에 모뎀 및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와 연결하는 멀티 탭(미도시) 등을 수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멀티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용 전원 스위치(19)를 통하여 온/오프 제어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는 하부측에서 미닫이식으로 각각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는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 사 이에 소정 높이를 갖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을 활용하여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상에는 컴퓨터용 키보드가 놓여지게 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전방측 단부 역시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가 필요 이상 내측으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0) 상에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등의 복합기능이 구비된 복합기를 배치할 수 있으며,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개방가능한 개방형 플레이트(40, 40')를 밖으로 완전히 열어젖힌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를 내부로 밀어넣어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과 후방 플레이트(20) 사이의 공간, 다시 말하자면, 양측 관통구(35, 35')를 가로질러 놓여질 수 있는 보조 플레이트(70) 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40, 40')에 구비된 반사경(42, 42')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와 후방 플레이트(20) 사이의 공간을 앉은 자리에서 보다 편안하게 확인하고 본체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컴팩트 디스크 삽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30, 30') 상부측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8, 38')에는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47, 47')이 구비된 받침대(45, 4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에 스피커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에 안착되는 모니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 만큼 눕히는 것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보다 안전 한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는 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의 상부 받침대(64) 상부측과 상기 모니터(M)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도록 클램프(80)에 의해 상호 클램핑되는 것으로 하여 달성될 수가 있다.
상기 클램프(80)는 상호 일시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디스크 부재(84)와, 그 사이의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82)과, 일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디스크 부재(84)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결합편(86)과 연결되는 지지봉(8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85)의 결합편(86)과 한 쌍의 디스크 부재(84)는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의 상부 받침대(64)의 상부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66)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편(86)을 탄력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편(86)에 모니터(M)가 걸려 상호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 주변기기로서 매우 중요한 마우스의 패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도 5는 이를 자세히 나타낸 것으로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는 미닫이식으로 장착되 고 상면에 키보드가 놓여지는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일측으로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즉,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측면 플레이트(30, 30')의 내측면으로 밀어넣을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도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일측으로 수납되도록 하여 가능하고, 키보드 사용이 필요하여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를 인출, 즉 밖으로 끄집어 낼 경우, 상기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도 외부로 인출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는, 소정 크기의 패널(92)과 상기 패널(92)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94) 및 상기 패널(92) 단부를 수직으로 받쳐주는 보조 받침대(96)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94)는 상기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가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내측으로 수납되었을 경우 이를 파지하여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에는 상기 돌기(94)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부(9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받침대(96)는 상기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경우 책상과 같은 작업대 표면과의 높이 차를 보완하여 상기 패널(92)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 받침대(96)로 인해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가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내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 시 상기 보조 받침대(96)가 수납되는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 부분의 구조는 상기 보조 받침대(96)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이면서 상기 보조 받침대(96)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원 고안은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되도록 하여 책상과 같은 작업대상에 바로 놓여질 수가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최대한 극대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책상과 같은 작업대상에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를 일체로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책상과 같은 작업대의 상하부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를 일체로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또한 이를 작업대 상에다 위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최대한 도모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고가의 컴퓨터 전용 작업대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콤팩트한 수납기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수납기를 책상과 같은 작업대 상에다 바로 배치할 수가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패널면에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용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 고 개방형 플레이트 내측면에 반사경을 구비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책상 앞에 앉은 자리에서 컴퓨터의 조작 및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효율성을 최대한 향상시킨 점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복합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변기기를 본체와 일체로 수납하기 위하여 상, 하부 플레이트(10, 10')의 후방측 단부 및 양측 단부에 각각 후방 플레이트(20)와 측면 플레이트(30, 30')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방 플레이트 사이의 관통구(35, 35')를 개방형 플레이트(40, 4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하부측에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50')가 미닫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을 가로질러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60)가 거치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전단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측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부(13")를 구비한 패널면(13')이 전단부에 형성된 수납용 플레이트(13)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절개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각 절개부(11, 13")를 개폐하는 덮개(15)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형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반사경(42, 42')이 장착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부측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8, 38')에는 컴팩트 디스크용 수납홈(47, 47')이 구비되며 상부에 스피커가 거치되는 받침대(45, 4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상부측에는 걸림돌기(32, 32')가, 하부측에는 후단부측으로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며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받이홈(33, 33')이 복수개 형성된 경사 조절편(34, 3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 양측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홈(61, 6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 저면 양측에는 상기 경사 조절편의 받이홈에 대응되는 조절 돌기(63, 63')가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면 일측에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용 전원 스위치(1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패널과 상기 패널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 및 상기 패널 단부를 수직으로 받쳐주는 보조 받침대로 이루어진 마우스 패드용 플레이트(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35, 35')에는, 양측 관통구를 가로질러 놓여질 수 있는 보조 플레이트(7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본체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지지용 플레이트의 상부 받침대 상부측과 상기 모니터는,
    클램프(80)에 의해 상호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KR2020060021374U 2005-08-10 2006-08-09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KR200429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3127 WO2007018405A1 (en) 2005-08-10 2006-08-09 Receiving device structure for receiving computer peripherals and computer main body
KR2020060021374U KR200429135Y1 (ko) 2006-08-09 2006-08-09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JP2008525937A JP2009505212A (ja) 2005-08-10 2006-08-09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及び本体収納用の収納器の構造
US12/028,271 US20080170361A1 (en) 2005-08-10 2008-02-08 Receiving Device Structure For Receiving Computer Peripherals And Computer Mai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374U KR200429135Y1 (ko) 2006-08-09 2006-08-09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35Y1 true KR200429135Y1 (ko) 2006-10-18

Family

ID=4177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74U KR200429135Y1 (ko) 2005-08-10 2006-08-09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280U (ko) * 2008-03-12 2009-09-16 신현준 컴퓨터 받침대
KR20120061361A (ko) * 2010-12-03 2012-06-13 김평화 컴퓨터 탑재장치
KR101912231B1 (ko) * 2017-07-20 2018-10-26 (주)이노테크 스마트 전자교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280U (ko) * 2008-03-12 2009-09-16 신현준 컴퓨터 받침대
KR20120061361A (ko) * 2010-12-03 2012-06-13 김평화 컴퓨터 탑재장치
KR101912231B1 (ko) * 2017-07-20 2018-10-26 (주)이노테크 스마트 전자교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9204B1 (en) Keyboard support apparatus
US6092883A (en) Work station for flat monitors
KR200429135Y1 (ko)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US4901972A (en) Keyboard storage with sliding shelf
KR101725394B1 (ko)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JP6838716B2 (ja) 天板昇降式デスク
JP2009505212A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及び本体収納用の収納器の構造
FR2780175A3 (fr) Systeme de montage de boitier d'ordinateur
KR100532681B1 (ko)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구조
JP4675609B2 (ja)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JP4551188B2 (ja) 傾斜可能な棚板を備えた棚装置
KR200455787Y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JP5719626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椅子
KR20100011278U (ko) 책상설치용 독서대 및 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
KR101823751B1 (ko) 케이스 수용 프레임 및 그에 의한 컴퓨터 책상
JP2877009B2 (ja)
JP2009136403A (ja) アームレスト調整装置
JP7360832B2 (ja) 天板付き什器
JP4391393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JP5014693B2 (ja) 配線カバー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テーブル
JP2000279232A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配線処理装置
JP7326034B2 (ja) 天板付き什器
JP2018075049A (ja) テーブル
JP2013180069A (ja) テーブル
JP7412956B2 (ja) 天板付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