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32Y1 -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32Y1
KR200428832Y1 KR2020060020152U KR20060020152U KR200428832Y1 KR 200428832 Y1 KR200428832 Y1 KR 200428832Y1 KR 2020060020152 U KR2020060020152 U KR 2020060020152U KR 20060020152 U KR20060020152 U KR 20060020152U KR 200428832 Y1 KR200428832 Y1 KR 200428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wire mesh
wire
gab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새천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천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천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21F27/06Manufacturing on twister-gea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의 횡 철선결합구조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2가닥의 철선이 꽈배기처럼 꼬아 형성된 종선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1가닥의 횡철선을 조립하여 배열 구성함에 있어서, 취급중 또는 사용중에 횡철선이 분해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종선의 배열 간격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횡선에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1
" 형, 또는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2
" 형, 또는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3
" 형의 이탈방지요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두가닥의 철선이 꽈배기처럼 꼬임으로서 형성된 종선이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횡 철선이 결합 고정되어 격자형의 메쉬가 형성된 철망에 있어서, 취급 또는 사용 중에 횡 철선이 분해된다거나 종선의 간격이 변형되는 등의 폐단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안정적이고도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철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망태, 돌망태, 사방공사, 유실방지용 철망. 휀스용 철망, 콘크리트보강철망, 용접철망, 개비온철망.

Description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cross wire structure of gabion}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본 고안은 철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가닥의 철선을 꽈배기처럼 서로 꼬아 형성된 종선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 배열설치되고, 상기 좌우로 다수 배열 설치된 종선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한가닥으로 된 횡 철선을 결합시켜 격자형의 메쉬구멍을 가진 개비온 철망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 철망을 취급 또는 사용 중에 횡 철선이 분리된다거나 또는 종선의 간격이 변형되는 등의 폐단을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선과 횡 철선을 유기적으로 결합구성하여 사각의 메쉬구멍을 가지도록 구성된 통상의 철망 또는 개비온철망은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두가닥 한 쌍의 종선을 다수열로 배열하고, 상기 각각의 열을 구성하는 두가닥 의 종선을 꽈배기처럼 서로 꼬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한 가닥의 횡선이 관통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철망 또는 개비온 철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다수열로 구비되며 두가닥이 서로 꽈배기처럼 꼬여 형성된 종선이 단순이 일자형의 횡선을 결합 지지하는 구성이기에 취급 또는 사용과정에서 횡선이 쉽게 빠지거나 분해되는 경향이 따르고, 더불어 종선의 배열이 쉽게 흐트러지게 되어 내구성과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폐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 돌이나 자갈을 채우는 과정에서 종선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변형되게 되어 자갈이나 돌이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과 함께 시공후 외관이 단정하지 못한 등의 폐단도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면서 두 가닥의 철선이 서로 꽈배기처럼 꼬여 형성되는 종선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횡 철선을 끼워 구성되는 철망 또는 개비온철망에 있어서, 상기 횡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이탈방지요부를 형성하되, 상기 이탈방지요부는 종선과 만나는 부분마다 형성하여 철망 또는 개비온철망을 취급 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횡철선 및 종선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함으로서 신뢰성과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꽈배기처럼 두 가닥의 철선을 꼬아 형성되는 종선(1)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열로 배열 구성되고, 상기 종선(1)에 상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가로방향으로 횡 철선(2)을 조립함으로서 사각형태의 메쉬구멍(3)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철망(100)에 있어서,
상기 횡선(2)에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4
" 형이나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5
" 형, 또는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6
" 형의 이탈방지요부(21)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각형태의 메쉬구멍(3)을 가진 철망(100)을 조립 구성하되, 두가닥의 철선을 꽈배기 형태로 꼬아 형성되는 종선(1)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열로 배열 구성되고, 상기 다수열의 종선(1)에 상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한가닥의 횡 철선(2)이 조립됨으로서 격자형의 메쉬구멍(3)이 형성된 철망(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선(1)과 횡 철선(2)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감안하여 횡 철선(2)에 다양한 모양의 이탈방지요부(21)를 절곡형성함에 따라 철망을 취급 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횡 철선(2)이 분해된다거나 또는 다수열로 배치된 종선의 위치가 변형되어 메쉬구멍(3)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일소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철망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가닥의 철선이 꽈배기처럼 꼬여 형성되는 다수열의 종선(1)과, 상기 다수열의 종선(1)에 상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횡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횡 철선(2)으로 이루어지는 철망 또는 개비온 철망에 있어 서, 상기 종선(1)과 만나는 부분의 횡 철선(2)에 이탈방지요부(21)를 형성함으로서, 취급 또는 사용중에 종선(1)으로부터 횡 철선(2)이 분해된다거나 또는 종선(1)의 간격이 변형되는 등의 폐단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안정적이고도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꽈배기처럼 두가닥의 철선을 꼬아 형성되는 종선(1)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열로 배열구성되고, 상기 종선에 상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가로방향으로 횡 철선(2)을 조립함으로서 사각형태의 메쉬구멍(3)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철망(100)에 있어서,
    상기 횡 철선(2)에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7
    " 형이나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8
    " 형, 또는 "
    Figure 112006053588245-utm00009
    " 형 중의 어느 하나의 이탈방지요부(21)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KR2020060020152U 2006-07-26 2006-07-26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KR200428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52U KR200428832Y1 (ko) 2006-07-26 2006-07-26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52U KR200428832Y1 (ko) 2006-07-26 2006-07-26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32Y1 true KR200428832Y1 (ko) 2006-10-13

Family

ID=4177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52U KR200428832Y1 (ko) 2006-07-26 2006-07-26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35B1 (ko) 2007-07-05 2009-09-08 이대영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35B1 (ko) 2007-07-05 2009-09-08 이대영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50B1 (ko)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
WO2011084989A3 (en) Splice for a soil reinforcing element or connector
CN106351249A (zh) 组装式挡土墙砌块及挡土墙施工方法
KR200428832Y1 (ko) 철망의 횡 철선 결합구조
CN104204377A (zh) 用于钢筋混凝土结构的钢筋组件和抗剪钢筋
JP3899112B1 (ja) 金網フェンスの構造
JP637471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基礎梁の補強構造及び補強用ユニット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0916235B1 (ko)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JP2011219919A (ja)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KR2022010012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JP6145329B2 (ja) フェンス用格子金網およびフェンス
JP2007291699A (ja) 金網フェンス
WO2014129468A1 (ja) メッシュパネル、フェンス及び線材
KR200372629Y1 (ko) 돌망태용 철망
JP3231514U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布団篭
JP5184501B2 (ja) グレーチング
KR200395688Y1 (ko) 철조망 울타리 보조재
KR100713186B1 (ko) 콘크리트 벽체 철근용 스페이서
JP4865601B2 (ja) 床スラブの構造及びその床スラブに用いるブロック
KR200418691Y1 (ko) 복수의 씨줄 및 날줄로 이루어진 철망
KR101001771B1 (ko) 조립이 용이한 재활용 인공어초
CN113027020B (zh) 一种预制楼板安装节点及其施工方法
KR200426535Y1 (ko) 용접철망과 파이프를 사용한 경계용 울타리
KR20120002416U (ko) 조립형 배수 박스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