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629Y1 - 돌망태용 철망 - Google Patents

돌망태용 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629Y1
KR200372629Y1 KR20040028573U KR20040028573U KR200372629Y1 KR 200372629 Y1 KR200372629 Y1 KR 200372629Y1 KR 20040028573 U KR20040028573 U KR 20040028573U KR 20040028573 U KR20040028573 U KR 20040028573U KR 200372629 Y1 KR200372629 Y1 KR 200372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rizontal
wire mesh
twisted
gab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8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형
Original Assignee
임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형 filed Critical 임규형
Priority to KR20040028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64Shapes polygonal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망태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행철선(10)과 우행철선(20)이 꼬여져 세로방향으로 N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한 후 다시 갈라져 각각 인접된 우행철선(20) 및 좌행철선(10)과 꼬여져 N+1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함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육각형을 가진 벌집형태의 철망을 이루되, 상기 꼬임부(30)에 한줄의 가로철선(40)이 끼워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철선(40)은 두 개의 철선이 꼬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
기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끼워진 철선을 보강하여 줌에 따라 한 지점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가로와 세로의 양 방향으로 고르게 힘을 분배할 수 있게 되며,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커져 더 큰 강도를 가진 철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돌망태용 철망{Gabion mesh}
본 고안은 돌망태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개의 가로방향 철선과 꼬임구조를 가진 1개의 세로방향 철선을 이용하여 강도가 보강된 철망을 형성한 돌망태용 철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망태라 함은 철선으로 철망을 망형태로 형성하여 돌등을 담을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돌망태에 돌등의 충입재를 담아 절개면등에 차곡차곡 쌓아주어 붕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돌망태를 형성하는 철망은 부식에 견딜수 있도록 도금된 철선을서로 교차직조하여 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나, 혹은 두가닥의 철선을 중복되게 꼬아서 육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중, 육각형 형태로 짜여진 철망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행철선(10)과 우행철선(20)인 두개의 철선이 꼬여진 후 각각 갈라져 좌행철선(10)은 그와 인접된 이전의 철선이나 다른 철선과 다시 꼬임구조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줌으로써 육각형의 기본단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철망을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좌행철선(10)과 우행철선(20)이 꼬여진 자리에 별도로 한줄의 가로철선(40)을 끼워줌으로써 각각의 육각형을 반정도로 나누어 주도록 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철망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작게하여 더 작은 크기의 충입재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세로방향의 좌행철선 및 우행철선, 그리고 한줄의 가로철선으로 구성된 철망으로 돌망태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충입재를 채워주어 절개지의 사면등에 차곡차곡 쌓아 보강하여 주거나, 혹은 철망을 그 자체로 절개지의 사면에 덮어준 후 단단히 고정시켜서 무너지지 않도록 시공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육각형태를 가진 철망에는 돌망태에 충입된 충입재 및 사면에 덮어줄 경우 토압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데, 철망을 구성하는 철선 자체가 연성구조물로서 탄성한계 이상의 하중을 받게될 경우 하중을 받는 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특히 돌망태의 경우에는 하중의 중심측에서 철망이 볼록하게 늘어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그 하중이 과도할 경우에는 좌행철선 및 우행철선으로 보강되는 세로방향에 비해 한줄로 된 가로철선에서 쉽게 절단이 이루어 지게 되며, 가로철선이 절단되면 이어서 세로방향의 좌행철선 및 우행철선에 하중이 집중되는 과정을 거치고, 이 경우 결국 철망이 파손되 보강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며, 돌망태의 경우에는 내부에 충입된 충입재가 밖으로 쏟아지게 되어 최악의 경우 쌓아놓은 구조물이 무너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철망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가로방향 철선이 먼저 끊어져 철망자체의 구조가 완전히 파괴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가로방향의 철선이 보강된 구조를 가진 철망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육각형 형태의 철망이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방향으로 끼워진 철선을 보강하여서 하중이 집중될 경우 양 방향으로 고르게 힘을 분배하여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 철망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돌망태용 철망의 일부 확대 예시도,
도 2 는 종래 돌망태용 철망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행철선, 20 : 우행철선,
30 : 꼬임부, 40 : 가로철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좌행철선(10)과 우행철선(20)이 꼬여져 N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한 후 다시 갈라져 각각 인접된 좌행철선(10) 및 우행철선(20)과 꼬여져 N+1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함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육각형을 가진 벌집형태의 철망을 이루되 상기 꼬임부(30)에 한줄의 가로철선(40)이 끼워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철선(40)은 두 개의 철선이 꼬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을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돌망태용 철망의 일부 확대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망은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철선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인접된 철선을 두개씩 각각 짝을 지어 꼬아주어서 N번째(여기서 N은 정수이다) 꼬임부(30)를 형성하여 준다.
이때, 상기 꼬임부(30)은 두 철선이 두 철선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서 꼬여 형성됨에 따라, 우측에 있는 철선은 좌측 사방향으로 향하여 좌행철선(10)을 형성하고, 좌측에 있는 철선은 우측 사방향으로 향하여 우행철선(20)을 형성하여 주게 되며, 두 철선이 꼬이는 횟수는 최소한 3회 이상으로 하여 그 꼬임부(30)에 가로철선(40)을 끼워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 하다.
다시말해, 두 철선을 일정횟수 꼬아주다가 그 사이에 가로철선(40)을 배치시킨 후 계속해서 꼬아주어 두 철선사이에 가로철선(40)이 끼워지도록 하여주는 것이다.
이후로 상기와 같이 N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한 철선은 양방향으로 각각 갈라져 다시 좌우측 사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접된 좌행철선(10) 및 우행철선(20)과 각각 대응되어 다시 꼬여져서 N+1번째 꼬임부(30)을 형성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 각 단위마다 6각형을 가진, 유사하게는 벌집과같은 형태를 가진 철망으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상기 각각의 꼬임부(30)에 가로방향으로 끼워져 배치되는 가로철선(40)은 두개의 철선을 꼬아서 형성하여 주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로철선(40)이 종래에 한줄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한층 더 큰힘을 받아 철망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가로철선(40)을 꼬아주어서 배치함에 따라 두개의 철선이 일체로 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두개의 철선이 꼬여서 가로철선(40)으로 배치된 것을 예로하였으나 세줄 혹은 네줄을 꼬아서 형성하여 주면 더 큰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가로철선(40)을 꼬여서 형성하여 주면 자연스럽게 그 외주면에 굴곡히 형성되게 되는데, 이 굴곡은 가로철선(40)이 꼬임부(30)에 끼워져 배치될 때 꼬임부(30)를 형성하는 두 철선 사이에 맞물려 걸리듯이 위치되게 되고, 그로 인해 마찰력이 극대화 되어 강하게 끼워져 있게 되며, 따라서 어느 한 지점에서 가로철선(40)이 끊어질 경우 인접된 꼬임부(30)에서 상기 가로철선(4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한지점에서 가로철선(40)이 끊어져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부분에서 이건 철망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짜여진 철망은 돌망태와 같은 낙석방지 시설물등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사용하면 종래의 철망으로 구축된 시설물에 비해 한층 더 강화된 강도를 가진 시설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로철선(40)의 일정 부분에 별도로 마련된 짧은 길이의 철선을 감아주어 가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통상의 가시철선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을 낙석방지 구조물이나 일정한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철책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그 상단부에 가시철사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여 철망을 타고 넘어들어오는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선택적인 채용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끼워진 철선을 보강하여 줌에 따라 한 지점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가로와 세로의 양 방향으로 고르게 힘을 분배할 수 있게 되며,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커져 더 큰 강도를 가진 철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꼬임구조에 의해 극대화된 마찰력에 의해 어느 한 지점에서 가로철선이 끊어지더라도 인접된 꼬임부에서 가로철선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가로철선이 꼬임부에서 빠져 철망의 형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좌행철선(10)과 우행철선(20)이 꼬여져 세로방향으로 N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한 후 다시 갈라져 각각 인접된 우행철선(20) 및 좌행철선(10)과 꼬여져 N+1번째 꼬임부(30)를 형성함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육각형을 가진 벌집형태의 철망을 이루되, 상기 꼬임부(30)에 한줄의 가로철선(40)이 끼워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철선(40)은 두 개의 철선이 꼬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철망.
KR20040028573U 2004-10-08 2004-10-08 돌망태용 철망 KR200372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8573U KR200372629Y1 (ko) 2004-10-08 2004-10-08 돌망태용 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8573U KR200372629Y1 (ko) 2004-10-08 2004-10-08 돌망태용 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629Y1 true KR200372629Y1 (ko) 2005-01-15

Family

ID=4051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8573U KR200372629Y1 (ko) 2004-10-08 2004-10-08 돌망태용 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62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213A1 (en) * 2007-07-05 2009-01-08 Dae Young Lee Complex-patterned wire n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4029B1 (ko) * 2011-10-26 2013-05-13 전홍기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941B1 (ko) * 2013-11-29 2014-04-01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KR20200015982A (ko) 2018-08-06 2020-02-14 (유)이안지오텍 금속 단위망체를 다수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돌망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213A1 (en) * 2007-07-05 2009-01-08 Dae Young Lee Complex-patterned wire n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4029B1 (ko) * 2011-10-26 2013-05-13 전홍기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941B1 (ko) * 2013-11-29 2014-04-01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KR20200015982A (ko) 2018-08-06 2020-02-14 (유)이안지오텍 금속 단위망체를 다수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돌망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8790B (zh) 用于岩崩保护或者稳定土壤层的保护网及利用该网制成的斜坡稳定装置
ES2297238T3 (es) Red de proteccion de alambre, estructura de proteccion construida con la red y utilizacion de la red de proteccion de alambre para la construccion de una estructura de proteccion.
CN101824826B (zh) 网状物结构
US9834949B2 (en) Prestressed concrete roof for cylindrical tank
EA026503B1 (ru) Габион
CN108350675B (zh) 用于土壤稳固的无焊接的三维土工格室系统及制备其的预制件
KR200372629Y1 (ko) 돌망태용 철망
JP5099927B2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耐震補強構造
CN213013739U (zh) 一种玄武岩纤维土工格栅
KR20150128251A (ko) 말뚝캡 매립고정식 토목섬유 띠 부재의 설치보강을 이용한 성토지지말뚝 구조물
EP1956145B1 (de) Galerie für einen Steinschlag- oder Lawinenschutz
JP2005213747A (ja) 雪崩・落石防護柵
KR102651115B1 (ko) 올 풀림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KR102651112B1 (ko)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US2298102A (en) Reinforced concrete
KR200381392Y1 (ko) 채움재의 유실방지를 위한 메트리스 게비온
EP0024354B1 (de) Schalungshülle zum Herstellen von Betonplatten
KR102469293B1 (ko) 하중 저항재
KR200163588Y1 (ko) 보강토의옹벽구축용지오그리드
DE102012205484A1 (de) Böschungsbauwerk
KR200306408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KR200422861Y1 (ko) 매트리스 개비온
JP6823880B2 (ja) Pc大型容器
CN210827554U (zh) 一种复合型新型挡墙
JP669369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