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12B1 -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12B1
KR102651112B1 KR1020230107079A KR20230107079A KR102651112B1 KR 102651112 B1 KR102651112 B1 KR 102651112B1 KR 1020230107079 A KR1020230107079 A KR 1020230107079A KR 20230107079 A KR20230107079 A KR 20230107079A KR 102651112 B1 KR102651112 B1 KR 10265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warp
woven
knotting
geo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더하나산업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더하나산업 유한회사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23010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8Textiles 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은: 서로 좌우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서 각각 일렬로 번갈아 구비되는 제1 매듭코와 제2 매듭코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경사가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어 엮여 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 이후에 제1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였다가 제1 매듭코와 제2 매듭코의 일측에서 경사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1 매듭코 및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에 대해 엇갈리게 일렬로 번갈아 구비된 제3 매듭코 및 제4 매듭코 중 제3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어 상기 한 쌍의 경사부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 이후에 수평 위사가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제1 매듭코에서 제3 매듭코, 제2 매듭코에서 제4 매듭코, 그리고 제1 매듭코에서 제4 매듭코, 제2 매듭코에서 제3 매듭코를 좌우로 번갈아 순차적으로 잇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매듭되어 위사부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도로 경계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될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어 제대로 보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경계면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 최적화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geogrid manufacturing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본 발명은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도로 경계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될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어 제대로 보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경계면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 최적화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시설은 도로에 인접된 암반 및 암벽 절개면의 낙석, 토사붕괴 등으로 인한 교통장애, 도로 구조물의 손상, 재산 및 인명 상의 손실 등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통상적인 낙석방지시설의 기능은 낙석의 충격에 저항하여 낙석운동을 억제하고, 낙석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낙석의 낙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위험이 없는 곳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한편, 낙석방지시설은 기능에 따라 보강공법과 보호공법으로 구분되며, 보호공법으로는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낙석방지옹벽, 피암터널 등이 있다.
낙석방지시설 중 낙석방지망은 통상 와이어 로프를 재료로 사용하여 낙석의 우려가 있는 암반 및 암벽의 절개면을 덮어 낙석에 대처하는 시설물로서 낙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을 도로 쪽이 아닌 방지망의 하부로 유도하는 구조물이다.
또한, 낙석방지망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강우나 풍화, 나무뿌리의 작용 등에 의해 불연속면의 이완이 심화 되어 낙석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와이어 로프로 구성되는 철제망으로 덮어 낙석을 예방하는 공법으로 방지망의 자중과 이완된 암석의 포획효과에 의해 암석의 운동에너지를 억제하는 시설이다.
그리고, 낙석방지망은 철망과 절개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완 암편을 절개면과 망 사이에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하는 비포켓식 낙석방지망과, 기둥로프, 지주, 철망과 와이어 로프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하는 낙석을 철망에 충동시킴으로써 낙석의 에너지를 감쇠하도록 하여 낙석이 도로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낙석방지망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포켓식 낙석방지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82624호(2016년11월2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와이어 로프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완성이 떨어져 낙석 중량이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고, 재료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낙석방지망의 일 예로서 지오그리드는 토목 공사시 옹벽보강, 사면보강, 성토보강, 아스팔트 보강, 콘크리트 보강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보강재이다.
이러한 지오그리드는 내시공, 마찰특성 등의 특성 외에 그 용도상 높은 인장강도와 낮은 인장변형률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오그리드는 단순히 다수의 경사들이 경사들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위사들로 홀치기 매듭 방식으로만 엮이어 격자 형태의 망 조직을 이루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길이로 지오그리드를 절단하게 되면 올 풀림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경사들이 마구 풀리게 되며 지오그리드의 보강 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되고,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지 못하고 그냥 폐기되도록 할 수밖에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82624호(2016년11월29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도로 경계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될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어 제대로 보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경계면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 최적화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은: 서로 좌우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서 각각 일렬로 번갈아 구비되는 제1 매듭코와 제2 매듭코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경사가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어 엮여 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 이후에 제1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였다가 제1 매듭코와 제2 매듭코의 일측에서 경사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1 매듭코 및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에 대해 엇갈리게 일렬로 번갈아 구비된 제3 매듭코 및 제4 매듭코 중 제3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에 제2 경사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어 상기 한 쌍의 경사부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 이후에 수평 위사가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제1 매듭코에서 제3 매듭코, 제2 매듭코에서 제4 매듭코, 그리고 제1 매듭코에서 제4 매듭코, 제2 매듭코에서 제3 매듭코를 좌우로 번갈아 순차적으로 잇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매듭되어 위사부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는 상기 경사부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1 경사가 나란히 동일하게 엇갈림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는 상기 경사부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2 경사가 나란히 동일하게 지그재그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도로 경계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될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어 제대로 보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경계면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 최적화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오그리드의 단위 격자 부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오그리드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와,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와,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를 포함한다.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좌우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부(100)의 형성 방향(D)을 따라서 각각 일렬로 번갈아 구비되는 제1 매듭코(10)와 제2 매듭코(20)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경사(110)가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어 엮여 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경사(110)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듭코(10)는 제1 경사(110)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휘감아 엮이게 되며 매듭 고리가 형성되는 부분이고, 제2 매듭코(20)는 제1 경사(110)가 제1 매듭코(10)에 휘감아 엮이게 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휘감아 엮이게 되며 매듭 고리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는 경사부(100)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1 경사(110)가 나란히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가 각각 다수의 제1 경사(110)들로 일정 폭을 갖도록 견고하게 엮이며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에서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 중 어느 하나의 폭 두께에 따라서 나란히 동일하게 엇갈림 매듭되는 제1 경사(110)의 개수는 경사부(100)의 폭 두께가 24 cm 인 경우 4개, 30 cm 인 경우 5개, 48 cm 인 경우 8개, 60 cm 인 경우 10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에서 다수의 제1 경사(110)들이 나란히 동일하게 엇갈림 매듭되도록 할 때에는 상기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에서의 수평 위사(210)들이 각각의 제1 경사(110)들과 제2 경사(120)들의 제1 매듭코(10), 제2 매듭코(20), 제3 매듭코(30) 및 제4 매듭코(40)들에 엮이도록 하여 다수의 제1 경사(110)들이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 중 어느 하나의 폭 두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 이후에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였다가 제1 매듭코(10)와 제2 매듭코(20)의 일측에서 경사부(100)의 형성 방향(D)을 따라 제1 매듭코(10) 및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10´)에 대해 엇갈리게 일렬로 번갈아 구비된 제3 매듭코(30) 및 제4 매듭코(40) 중 제3 매듭코(30)에 제2 경사(120)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40)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120)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어 한 쌍의 경사부(100)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지오그리드가 단순히 다수의 경사들이 경사들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위사들로만 엮이게 되어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길이로 지오그리드를 절단하게 되면 올 풀림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경사들이 끝없이 풀리게 되는 것과는 달리, 제1 경사(110)들이 제1 매듭코(10)와 제2 매듭코(20)에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고, 엇갈림 매듭된 제1 경사(110)들을 제2 경사(120)의 반복적인 지그재그 매듭에 의해 한번 더 견고하게 제1 매듭코(10)에서 제2 매듭코(20), 제2 매듭코(20)에서 제3 매듭코(30), 제3 매듭코(30)에서 제4 매듭코(40)의 짧은 구간별로 반복적으로 촘촘하게 묶어주게 됨으로써, 별도의 코팅처리를 따로 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되게 되었을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는 것을 강력히 억제하며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사(120)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는 경사부(100)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2 경사(120)가 나란히 동일하게 지그재그 반복적으로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가 엇갈림 매듭되는 다수의 제1 경사(110)들뿐만 아니라 제1 경사(110)들이 엮인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지그재그로 매듭되는 제2 경사(120)들로도 경사부(100)가 일정 폭을 갖도록 견고하게 엮이며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경사부(100)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견고해지며 시공 현장에서 경사부(100)가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되더라도 제1 경사(110)들이 힘없이 풀리게 되는 것을 제2 경사(120)들에 의해 억제하며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제2 경사(120)가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였다가 제3 매듭코(30)에 제2 경사(120)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40)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120)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제2 경사(120)는 제2 매듭코(20)에 먼저 엮였다가 제3 매듭코(30)에 제2 경사(120)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2 매듭코(20´)에 제2 경사(120)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40)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120)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 이후에 수평 위사(210)가 한 쌍의 경사부(100)의 제1 매듭코(10)에서 제3 매듭코(30), 제2 매듭코(20)에서 제4 매듭코(40), 그리고 제1 매듭코(10)에서 제4 매듭코(40), 제2 매듭코(20)에서 제3 매듭코(30)를 좌우로 번갈아 순차적으로 잇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매듭되어 위사부(200)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도로 경계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재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가 시공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절단될 때에 올 풀림이 발생 되어 제대로 보강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경계면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 최적화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위사(210)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는 위사부(200)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수평 위사(210)들이 나란히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부(200)가 경사부(100)와 함께 정사각형 형태의 단위 격자 형태를 이루며 그물망 조직을 갖는 지오그리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에서 상하 한 쌍의 위사부(200)가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와 함께 하나의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될 때에 하나의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되는 경사부(100)의 제1 매듭코(10) 및 제2 매듭코(20)는 8 ~ 12회 반복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되는 경사부(100)의 제1 경사(110) 및 제2 경사(120)가 가장 최적의 구조 강도를 발휘하도록 엮여져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되는 경사부(100)의 제1 매듭코(10) 및 제2 매듭코(20)가 8회 미만으로 반복되게 구비되면 단위 격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나 제조 과정이 다소 까다로워지며 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 있고, 12회 초과면 단위 격자의 크기가 다소 커지게 되며 지오그리드의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지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경사(110)는 1개의 가닥 굵기가 1000 데니어(denier)인 원사를 여러 가닥을 엮어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경사(110)는 한 가닥이 다수의 합성섬유사로 이루어진 단위 경사 3 ~ 5개로 마련되고, 각각의 단위 경사는 1 m 당 30 ~ 40 회 꼬이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경사(110)를 30 ~ 40 회 꼬아서 마련하는 이유는 1000 데니어의 뭉쳐진 원사들 사이의 공간을 없애주어 긴밀한 밀착에 따른 결속력 강화에 의한 인장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에 대한 굴곡 변형 없이 직진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경사(110)의 꼬임수를 30회 미만으로 제작할 경우, 꼬임에 의한 강도가 줄어드는 만큼 인장 강도가 약해지게 되며, 꼬임수를 40회 이상으로 제작할 경우, 제1 경사(110)의 강도가 너무 높아져 딱딱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수평 위사(210)가 매듭되는 부분에 대한 접점력이 줄어들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경사(110)의 꼬임수는 1 m 당 30 ~40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보강용 또는 연성의 보강토 등을 덮는 보강재로도 최적화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지오그리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경사부 110 : 제1 경사
120 : 제2 경사 200 : 위사부
210 : 수평 위사

Claims (3)

  1. 서로 좌우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부(100)의 형성 방향을 따라서 각각 일렬로 번갈아 구비되는 제1 매듭코(10)와 제2 매듭코(20)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경사(110)가 반복적으로 엇갈림 매듭되어 엮여 지도록 하는 단계(S10);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 이후에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였다가 제1 매듭코(10)와 제2 매듭코(20)의 일측에서 경사부(1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1 매듭코(10) 및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10´)에 대해 엇갈리게 일렬로 번갈아 구비된 제3 매듭코(30) 및 제4 매듭코(40) 중 제3 매듭코(30)에 제2 경사(120)가 엮이도록 한 후, 그 다음 반복되는 또 다른 제1 매듭코(10´)에 제2 경사(120)가 엮이고 나서 제4 매듭코(40)에 다시 엮이는 방식으로 제2 경사(120)가 반복적으로 지그재그 매듭되어 상기 한 쌍의 경사부(100)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 이후에 수평 위사(210)가 상기 한 쌍의 경사부(100)의 제1 매듭코(10)에서 제3 매듭코(30), 제2 매듭코(20)에서 제4 매듭코(40), 그리고 제1 매듭코(10)에서 제4 매듭코(40), 제2 매듭코(20)에서 제3 매듭코(30)를 좌우로 번갈아 순차적으로 잇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매듭되어 위사부(200)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는 상기 경사부(100)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1 경사(110)가 나란히 동일하게 엇갈림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의 지그재그 매듭 단계(S20)는 상기 경사부(100)의 폭 두께에 따라서 다수의 제2 경사(120)가 나란히 동일하게 지그재그 매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위사 매듭 단계(S30)에서 상하 한 쌍의 위사부(200)가 좌우 한 쌍의 경사부(100)와 함께 하나의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될 때에 하나의 단위 격자를 이루게 되는 경사부(100)의 제1 매듭코(10) 및 제2 매듭코(20)는 8 ~ 12회 반복되게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경사의 엇갈림 매듭 단계(S10)에서의 제1 경사(110)는 한 가닥이 다수의 합성섬유사로 이루어진 단위 경사 3 ~ 5개로 마련되고, 각각의 단위 경사는 1 m 당 30 ~ 40 회 꼬이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107079A 2023-08-16 2023-08-16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KR10265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079A KR102651112B1 (ko) 2023-08-16 2023-08-16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079A KR102651112B1 (ko) 2023-08-16 2023-08-16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112B1 true KR102651112B1 (ko) 2024-03-25

Family

ID=9047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079A KR102651112B1 (ko) 2023-08-16 2023-08-16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488B1 (ko) * 1969-10-04 1973-07-21
JP2008007880A (ja) * 2006-06-28 2008-01-17 Maeda Kosen Co Ltd メッシュシート
KR101682624B1 (ko) 2016-06-08 2016-12-05 선진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488B1 (ko) * 1969-10-04 1973-07-21
JP2008007880A (ja) * 2006-06-28 2008-01-17 Maeda Kosen Co Ltd メッシュシート
KR101682624B1 (ko) 2016-06-08 2016-12-05 선진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0471B2 (en) A protective wire net a protective structure constructed with the net and the use of the protective wire net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structure
JP6345495B2 (ja) 落石防護柵に用いる落石防護ネット
US20070131917A1 (en) Protective mesh, especially for rockfall protection or to stabilise a layer of soil
US20040266291A1 (en) Woven grid
UA63948C2 (uk) Дротяна сітка для гравійного огородження або для захисту поверхневого шару ґрунту, кріплення для дротяної сітки, а також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US20210189678A1 (en) Wire netting, a process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wire netting
CN102481617B (zh) 带有交织的线的保护金属网以及用于制造该网的机器和方法
KR101732153B1 (ko) 지반 보강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KR102651112B1 (ko)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KR102651115B1 (ko) 올 풀림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KR101174102B1 (ko) 화이바스톤 망지용 스트링을 제조하기 위한 원사 꼬임 장치와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화이바스톤 망지용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을 이용하여 직조되는 화이바스톤 및 그 직조방법
KR20140109657A (ko) 모노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무결절 직조구조의 섬유 돌망태 제조방법
US6918412B2 (en) Grid mat
JP4450824B2 (ja) 孔付メッシュシート
CN214328084U (zh) 玄武岩纤维土工格栅
JP4223492B2 (ja) エネルギー吸収ネット
KR200372629Y1 (ko) 돌망태용 철망
JP5808002B2 (ja) 主として瓦礫を用いたふとん篭
KR200470293Y1 (ko)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JP7440064B2 (ja) 石詰め袋及び石詰め袋の使用方法
KR100682735B1 (ko) 돌망태용 철망
JP7451834B1 (ja) 繊維製布団篭
JP3616772B2 (ja) ジオグリ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盛土の補強方法
JPH0723023U (ja) 土木用蛇籠
KR101870204B1 (ko) 토목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