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93Y1 -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 Google Patents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93Y1
KR200470293Y1 KR2020120000386U KR20120000386U KR200470293Y1 KR 200470293 Y1 KR200470293 Y1 KR 200470293Y1 KR 2020120000386 U KR2020120000386 U KR 2020120000386U KR 20120000386 U KR20120000386 U KR 20120000386U KR 200470293 Y1 KR200470293 Y1 KR 20047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rength fiber
fiber sheet
torsion prevent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58U (ko
Inventor
전현자
Original Assignee
전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자 filed Critical 전현자
Priority to KR2020120000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9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3Including fibers made from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68Including fibers made from 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8Textiles 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구비되어, 중앙부에 구비되어, 지반을 지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와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과 휨을 방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비틀림방지시트(200)와;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와 상기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의 격자망으로 토사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유입 방지시트(300)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주에 다수의 통공(400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수유공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는 배수기능이 탁월하고, 지지력,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A GROUND REINFORCEMENT DEVICE HAVING DRAIN FUNCTIONS}
본 고안은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호안이나 옹벽 등을 축조하는 경우에 연약지반에 설치되어 지반을 보다 견고하게 하고, 배수를 원활히 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공사시 옹벽보강, 사면 보강, 지반보강 등을 위해 지반 보강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지반 보강재는, 섬유를 격자 형태로 제직한 다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역청, 아크릴, 라텍스 및 고무계 수지 등으로 피복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반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위사와 경사가 할줄씩 교차 직조되어, 지반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속적인 지반의 하중에 의해 섬유가 늘어나는 등 변형이 일어나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열성이 낮은 합성섬유 또는 부직포 등이 주로 재료로써 이용되므로 지반의 고온 또는 화재시에 녹아서 변형되거나, 불타서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약지반으로 침투되는 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침투수로 인한 지반의 강도 저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력이 우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형의 우려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열성이 우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앙부에 구비되어, 지반을 지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고강도 섬유시트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비틀림방지시트와 하부비틀림방지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의 비틀림과 휨을 방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비틀림방지시트와;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와 상기 하부비틀림방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의 격자망으로 토사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유입 방지시트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주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수유공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는, 세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위사와;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위사의 상하로 교차되는 다수의 제1 경사와; 상기 제1 경사와 인접하며, 상기 제1 경사와 엇갈리게 상기 다수의 위사의 상하로 교차되는 다수의 제2 경사와; 상기 다수의 위사의 상하로 교차되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를 'S'자 형태로 감아 경사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지지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 비틀림방지시트, 토사유입 방지시트는 니들펀칭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는 한 줄의 위사에 제1 경사와 제2 경사가 인접하여 교차하고, 상기 제1 경사와 제2 경사를 'S'자 형태로 감아 경사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지지줄로 이루어 지는 고강도 섬유시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강도 섬유시트가 격자망 형태로 견고하게 직조되고, 경사의 흐트러짐이 방지되어 격자망 크기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지지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강도 섬유시트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강요 섬유시트가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 짐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는 외주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공관이 구비된다.
따라서, 지반으로 유입되는 침투수가 배수유공관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되어 원활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의 사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는, 중앙부에 구비되는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하에 구비되는 비틀림방지시트(200)와, 비틀림방지시트(200)의 상하에 구비되는 토사유입 방지시트(300) 등으로 구성된다.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지반 보강재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위사(110)와 경사(120)가 격자 형태로 교차 직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격자망 사이로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지반의 하중을 견디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위사(110)와, 세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위사(110)와 교차하는 다수의 제1 경사(122)와, 제1 경사(122)와 인접하여 구비되며 제1 경사(122)와 엇갈리게 위사(110)와 교차하는 다수의 제2 경사(124)와, 제1 경사(122)와 제2 경사(124)를 'S'자 형태로 감으면서 위사(110)와 교차하는 지지줄(130) 등으로 이루어 진다.
도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사(110)는, 세로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열로 구비된다. 상기 위사(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 경사(122), 제2 경사(124) 및 지지줄(130)과 수직으로 직조된다.
상기 위사(110)의 일측에는, 상기 위사(110)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경사(122)와 제2 경사(124)가 각각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경사(122)는,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위사(110)의 상하를 차례로 교차하며 수직으로 직조된다. 예를들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사(110)의 첫번째 열에서 상기 제1 경사(122)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위사(110)의 두번째 열에서 상기 제1 경사(122)가 하부에 위치하면서 교차로 상기 위사(110)와 직교한다.
상기 제2 경사(124)는, 상기 제1 경사(122)의 일측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위사(110)의 상하를 차례로 교차하며 수직으로 직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124)는 상기 제1 경사(122)와 엇갈리게 상기 위사(110)와 직조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사(110)의 첫번째 열에서 상기 제1 경사(122)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2 경사(124)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위사(110)의 두번째 열에서 상기 제1 경사(122)가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2 경사(124)가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경사(124)의 일측 또는 제1 경사(122)의 일측에는, 지지줄(1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줄(130)은, 상기 인접한 제1 경사(122)와 제2 경사(124)의 외측을 'S'자 형태로 감으면서 상기 위사(110)의 상하를 교차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사(110)의 첫번째 열에서 상기 위사(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122)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제1 경사(122)와 상기 제2 경사(124)의 상부를 지나 상기 위사(110)의 두번째 열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위사(110)의 두번째 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사의 외츨을 감싸면서 상기 제2경사와 상기 제1 경사(122)의 하부를 지나 상기 위사(110)의 세번째 열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줄(130)은, 상기 위사(110)의 상하부를 교차하면서, 상기 제1 경사(122)와 상기 제2 경사(124)의 외측을 'S'자 형태로 감싸 경사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위사(110)와, 상기 제1 경사(122)와, 상기 제2 경사(124)와, 상기 지지줄(130)은,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일측에는 비틀림방지시트(200)가 구비된다.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는,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는, 격자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는,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하여,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의 일측에는 토사유입 방지시트(300)가 구비된다. 상기 토사유입 방지시트(300)는,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와, 상기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사유입 방지시트(300)는, 지반 보강재의 외피를 형성하며, 압착된 토목섬유로 형성된다. 상기 토사유입 방지시트(300)는, 토사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비틀림방지시트(200)의 격자망 틈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해 지지력을 보강하고, 상하의 지반층 사이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 비틀림방지시트(200), 토사유입 방지시트(300)는 니들펀칭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되어 지반 보강재를 형성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 고강도 섬유시트(100),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가 차례로 상부로 적층되어 총 5겹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배수유공관(400)이 더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수유공관(40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며, 다수개가 좌우방향(도 4에서 좌우)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는, 상기 배수유공관(400)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며, 다수개가 좌우방향(도 4에서 좌우)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유공관(400)은, 지반의 외측에 배수를 위하여 시공되는 자갈층(700)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배수유공관(400) 끝단의 유출구가 상기 자갈층(70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수유공관(40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에는 다수의 통공(400a)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공관(400)은, 지반으로 침투된 침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침투수는 상기 다수의 통공(400a)을 통해 상기 배수유공관(400)의 관내로 유입된 후, 상기 배수유공관(400)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자갈층(700)으로 배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의 작용을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의 사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반의 활동파괴 등으로 지반이 연약한 지역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축대 붕괴지역 및 토목공사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사이완부 지역의 원지반(500) 상부에 본원 고안에 의한 지반 보강재(600)를 적층하고, 상기 지반 보강재(600) 상부에 토사(S)를 적층한다. 상기 지반 보강재(600)는 앵커(610)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지반 보강재(600)와 토사(S)를 차례로 다수겹으로 적층하여 공사지반을 완성한다.
상기 지반 보강재(600)는,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 고강도 섬유시트(100),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가 차례로 상부로 적층되어 총 5겹의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수유공관(400)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공사지반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빗물 등의 침투수가 스며들면, 토사(S)로 침투수가 유입되고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는, 압착된 토목섬유로 형성되어 토사(S)가 침투수와 함께 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투수만을 원활하게 하측으로 배수시킨다.
토사(S)에 침투수가 스며들게되면 토사(S)에 유동성이 생겨 토사(S)의 지지력이 약해지고, 무게가 증가하여 하측으로 침하하게 된다. 상기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는, 짧은 토목섬유가 압착되어 형성되어 지지력이 약하므로, 토사(S)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게 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고강도의 섬유로 형성되어 토사(S)가 침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의 하측을 떠받쳐 상기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S)가 침하하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강도가 우수해 장시간동안 토사(S)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없이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사(S)의 부분별 하중에 따라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가 받는 하중이 달라지게되면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과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와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는,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도의 섬유로 이루어져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와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하부에 각각 밀착하여,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 고강도 섬유시트(100),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는,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지는 대신, 투수성이 낮으므로 격자망 형태로 형성되어 격자망 틈으로 빗물을 배수하게 된다.
상기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를 통과한 침투수는, 마지막으로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 또한 상기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와 마찬가지로, 압착된 토목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로 토사(S)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킨다.
한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배수유공관(40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토사유입방지시트(310)을 통과한 침투수가 자갈층(700)으로 배수되도록 유도된다.
즉, 상기 배수유공관(400)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00a)를 통해, 침투수가 상기 배수유공관(400)의 관내로 유입되어 모이게 되며, 상기 배수유공관(40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침투수가 자갈층(70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공사지반은, 투수성과 지지력이 우수해, 상부에 건축물의 축조가 가능하고, 상부 및 측부에 식물의 생장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의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 하부비틀림방지시트, 고강도 섬유시트, 상부비틀림방지시트,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 및 배수유공관은 각각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반의 보강력을 더 높이기 위해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를 두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 하부비틀림방지시트, 상부비틀림방지시트,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 배수유공관을 각각 두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100 : 고강도 섬유시트 110 : 위사
120 : 경사 122 : 제1 경사
124 : 제2 경사 130 : 지지줄
200 : 비틀림방지시트 210 : 상부비틀림방지시트
220 : 하부비틀림방지시트 300 : 토사유입 방지시트
310 :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 320 :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
400 : 배수유공관 500 : 원지반
600 : 지반 보강재 610 : 앵커
700 : 자갈층 S : 토사

Claims (4)

  1. 중앙부에 구비되어, 지반을 지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와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의 비틀림과 휨을 방지하는 격자망 형상의 비틀림방지시트(200)와;
    상기 상부비틀림방지시트(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토사유입 방지시트(310)와 상기 하부비틀림방지시트(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토사유입 방지시트(320)로 이루어져,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의 격자망으로 토사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유입 방지시트(300)와;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와 상기 비틀림방지시트(2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주에 다수의 통공(400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수유공관(400)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며;
    세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위사(110)와,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위사(110)와 직조되는 다수의 제1 경사(122)와, 상기 제1 경사(122)와 인접하여 가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위사(110)와 직조되는 다수의 제2 경사(124)와; 상기 다수의 위사(110)의 상하로 교차 되며 상기 제1 경사(122) 및 제2 경사(124)를 지지하는 지지줄(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122)는,
    상기 다수의 위사(110)의 상하를 차례로 교차하여 수직으로 직조 되고;
    상기 제2 경사(124)는,
    상기 제1 경사(122)와 엇갈리게 상기 다수의 위사(110)의 상하를 차례로 교차하여 수직으로 직조 되며;
    상기 지지줄(130)은,
    상기 다수의 위사(110)의 상하로 교차 되면서 상기 제1 경사(122)와 상기 제2 경사(124)를 'S'자 형태로 감아, 상기 위사(110) 및 경사(122, 124)를 서로 밀착시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강도 섬유시트(100), 비틀림방지시트(200), 토사유입 방지시트(300)는,
    니들펀칭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0386U 2012-01-16 2012-01-16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KR200470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86U KR200470293Y1 (ko) 2012-01-16 2012-01-16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86U KR200470293Y1 (ko) 2012-01-16 2012-01-16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900 Division 2011-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58U KR20120001958U (ko) 2012-03-15
KR200470293Y1 true KR200470293Y1 (ko) 2014-01-02

Family

ID=5140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386U KR200470293Y1 (ko) 2012-01-16 2012-01-16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60B1 (ko) * 2017-11-29 2020-10-22 주식회사 자인 잡초생육방지 및 지반 침하방지 보도블럭용 다중직 직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744Y1 (ko) * 2000-08-10 2001-02-15 양영규 토목공사용 배수부재
US20020121720A1 (en) * 1999-06-21 2002-09-05 Pella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reinforcing mat for a pultruded part
KR200332299Y1 (ko) * 2003-08-22 2003-11-05 주식회사 화광건설 절토법면 시공용 강화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720A1 (en) * 1999-06-21 2002-09-05 Pella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reinforcing mat for a pultruded part
KR200212744Y1 (ko) * 2000-08-10 2001-02-15 양영규 토목공사용 배수부재
KR200332299Y1 (ko) * 2003-08-22 2003-11-05 주식회사 화광건설 절토법면 시공용 강화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58U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7051C1 (ru) Клееные композитные сетчат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текстильные материалы
US8333220B2 (en) Double layer woven fabric
EP2423359B1 (en) Industrial fabric
KR101193150B1 (ko) 겉보기 구멍크기와 투수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직포 지오텍스타일
KR101732153B1 (ko) 지반 보강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KR200470293Y1 (ko) 배수 기능을 갖는 지반 보강재
CN109750680B (zh) 一种挡土网和抗滑桩-挡土网联合支挡系统
KR100324502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KR100737458B1 (ko) 연약지반 간극수 수평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5678384B2 (ja) 土木用シート
CN213142343U (zh) 一种带编织环的土工织物及加固结构
KR20130037781A (ko)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JP4450824B2 (ja) 孔付メッシュシート
CN210711902U (zh) 一种芯吸加筋土工织物
JP5075888B2 (ja) 住宅地盤の強化方法
JP2007169836A (ja) ブロックマット用シート
KR102651115B1 (ko) 올 풀림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KR20100010865A (ko) 보강력을 높인 토목공사용 지오그리드
KR200405526Y1 (ko) 연약지반 간극수 수평배수구조체
KR100830682B1 (ko) 더블라셀을 이용한 산업용 섬유대
JP3864354B2 (ja) 排水ネット
KR20120000664U (ko) 보강된 부직포 부착식 일체형 배수판
KR102651112B1 (ko) 올 풀림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JP4916625B2 (ja) 土木資材用不織布
KR20200019475A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