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23Y1 -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23Y1
KR200428823Y1 KR2020060020021U KR20060020021U KR200428823Y1 KR 200428823 Y1 KR200428823 Y1 KR 200428823Y1 KR 2020060020021 U KR2020060020021 U KR 2020060020021U KR 20060020021 U KR20060020021 U KR 20060020021U KR 200428823 Y1 KR200428823 Y1 KR 200428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racket
road
vehicl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석
Original Assignee
정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석 filed Critical 정성석
Priority to KR2020060020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 유턴지점의 직전 유도구간, 분기선, 병목구간 등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인명 및 차량의 피해가 클 것이라는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주의의무를 다하게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고, 무리한 운행으로 인한 충돌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는, 가로재(11)가 세로재(12)에 비해 훨씬 긴 직사각틀의 안쪽에 유도표시재(13a)(13b)가 부착되고 각 세로재(12)의 외면에는 브래킷(14)이 부착된 펜스(10)와 상기 펜스(10)의 브래킷(14)에 대응하는 브래킷(21)이 부착된 기둥(20)으로 이뤄지고, 상기 펜스(10)의 양측에 기둥(20)을 위치시킨 다음에 브래킷(14)(21)을 맞대어 보울트-너트(30)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펜스, 가로재, 세로재, 유도표시재, 브래킷, 통풍공간, 기둥

Description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Vehicles induction safety fence of roa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의 분해도
도 2는 조립상태의 정면도
도 3은 펜스와 기둥의 결합부 평면도
도 4는 도로의 유턴지점 직전에 본 고안을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펜스 13a,13b: 유도표시재
14,21: 브래킷 15: 통풍공간
20: 기둥
본 고안은 도로의 유턴 지점의 직전 중앙선 등에 설치하여 운행 차량의 안전운행성을 높인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유턴 운행이 허용된 구간의 직전 중앙선 상에 무단 유턴 운행을 방지하기 위 한 안전시설물이 설치되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
종래의 무단 유턴 방지용 안전시설물은 일정한 간격으로 세운 유도봉이다.
유도봉은 합성수지제와 철제가 있으며, 유도봉은 대체로 외면에 낮과 밤을 불문하고 운전자의 눈에 잘 띄는 반사도료로 색선이 표시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하다가보면 유도봉이 변형된 것, 파손된 것은 물론 유도봉이 서 있던 흔적만 있고 자취를 감춘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유턴지점, 분기지점, 병목구간 등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는 유도봉이 자동차가 약하게 스치고 지나가기만 해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정도로 약하다.
운전자 중에는 유도봉에 가 부딪치더라도 차량 피해가 미미할 것으로 가볍게 여기는 경향도 없잖았다.
유도봉의 파손율이 높은 것을 보면 아마도 그같은 가벼운 생각이 앞선 운전자가 의외로 많은 탓일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여하튼 차도의 유턴지점은 운행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크기 때문에 무단 유턴 운행은 용인되지 않는다.
무단 유턴 운행이 남발되는 것은 유턴 지점의 직전 중앙선에 설치된 유도봉의 무단 유턴 운행에 대한 억제기능이 미흡하고 충돌에 약한 것이 주된 이유 중의 하나로 지목돼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 유턴지점의 직전 유도구간, 분기선, 병목구간 등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인명 및 차량의 피해가 클 것이라는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주의의무를 다하게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고, 무리한 운행으로 인한 충돌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양측 세로재의 외면에 기둥에다 보울트-너트로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이 부착된 사각틀의 내부에 유도표시재를 부착하고 기둥에는 상기 브래킷에 대응하는 브래킷을 부착하여 양측 브래킷을 맞대고 보울트-너트로 체결하여 통상의 유도봉보다도 훨씬 강한 장애물로 인식돼 안전운행에 이바지하도록 구성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는 펜스(10)와 기둥(20)으로 구성된다.
펜스(10)는 내구성이 우수한 자재로 짠 사각틀, 더 구체적으로는 가로재(11)가 세로재(12)에 비해 훨씬 긴 직사각틀의 안쪽에 유도표시재(13a)(13b)를 부착하고, 각 세로재(12)의 외면에는 브래킷(14)을 부착한 것이다.
유도표시재(13a)(13b)는 주행방향으로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주행방향별로 부착되며, 각 주행방향별로 복수의 유도표시재(13a)(13b)를 저마다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연하게 배열해 고정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재(11)의 중간을 경계로 편의상 양분하고 주행방향의 앞쪽 공간에는 당해 차로용 운행차량과 방향이 같은 유도표시재(13a)를 부착하여 반대편 유도표시재(13b)가 겹치는 부분으로 인한 운행방향의 방해현상을 최소화하고, 각 유도표시재(13a)(13b) 사이에 넉넉한 통풍공간(15)을 확보해 강풍에 대비하는 것이다.
기둥(20)은 도로의 중앙선, 분기선, 병목구간 유도선 등에 설치하여 펜스(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외면에는 상기 브래킷(14)에 대응하는 브래킷(21)이 부착되어 있다.
펜스(10)의 양측 브래킷(14)에 기둥(20)의 브래킷(21)을 맞춰대고 보울트-너트(30)로 체결하면 도 2와 같은 양상의 안전펜스가 된다.
도 4에 예시한대로, 유턴지점(b)의 직전 중앙선(a) 상에 안전펜스를 설치하면 운전자에겐 통상의 유도봉보다도 훨씬 강한 일종의 방책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보다 안전하게 운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해 무단 유턴 운행을 삼가게 되고, 안전펜스도 차량과의 충돌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 안전펜스는 중앙분리대, 분기선이나 병목구간 등의 차로 유도용 펜스로도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는 종 래의 유도봉에 비해 훨씬 강한 방책이라는 인식을 심어 정해진 차로를 따라 바르게 운행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이 통상의 유도봉에 비해 아주 우수하고, 펜스의 양측단이 지면에 고정된 기둥에 지지되므로 매우 튼튼한 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가로재(11)가 세로재(12)에 비해 훨씬 긴 직사각틀의 안쪽에 유도표시재(13a)(13b)가 부착되고 각 세로재(12)의 외면에는 브래킷(14)이 부착된 펜스(10)와 상기 펜스(10)의 브래킷(14)에 대응하는 브래킷(21)이 부착된 기둥(20)으로 이뤄지고, 상기 펜스(10)의 양측에 기둥(20)을 위치시킨 다음에 브래킷(14)(21)을 맞대어 보울트-너트(30)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재(13a)(13b)는 주행방향별로 복수의 유도표시재(13a)(13b)를 저마다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연하게 배열하여 앞뒤 유도표시재 사이에 통풍공간(15)이 확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KR2020060020021U 2006-07-25 2006-07-25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KR200428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21U KR200428823Y1 (ko) 2006-07-25 2006-07-25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21U KR200428823Y1 (ko) 2006-07-25 2006-07-25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23Y1 true KR200428823Y1 (ko) 2006-10-13

Family

ID=4177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021U KR200428823Y1 (ko) 2006-07-25 2006-07-25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14B1 (ko)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
SA515360990B1 (ar) حاجز حماية واقي للطرق
US20110081201A1 (en) Reflective roadway warning system indicating incorrect vehicular travel direction
US3096079A (en) Fence panels for roadways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200428823Y1 (ko) 도로의 차량 유도용 안전펜스
KR102112920B1 (ko)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
CN204199205U (zh) 安全防撞限高架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EP1546464B1 (de) Nebelwarn- und -leiteinrichtung
KR100961607B1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US1870639A (en) Guard for safety zones
ES2372946B1 (es) Barrera tubular de protección de vehículos y personas aplicable a toda clase de carreteras y zonas urbanas.
KR200331575Y1 (ko) 도로분리 표시대
KR100660046B1 (ko) 차선규제봉
KR20240000700U (ko) 전방 사이드미러
CN213805065U (zh) 智能交通隔离护栏
KR200252869Y1 (ko) 고속도로의 비상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062009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알루미늄 델리네이터
CN209011041U (zh) 一种公路隧道入口防撞护栏
CN209798591U (zh) 一种安全防撞的机动车限高架
KR200357085Y1 (ko) 도로용 방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