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30Y1 - 오징어 자동 조상기 - Google Patents

오징어 자동 조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30Y1
KR200428330Y1 KR2020060018192U KR20060018192U KR200428330Y1 KR 200428330 Y1 KR200428330 Y1 KR 200428330Y1 KR 2020060018192 U KR2020060018192 U KR 2020060018192U KR 20060018192 U KR20060018192 U KR 20060018192U KR 200428330 Y1 KR200428330 Y1 KR 20042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quid
advent
fish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엘씨 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씨 텍(주) filed Critical 엘씨 텍(주)
Priority to KR2020060018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줄의 투승과 양승을 통해 오징어를 포획하는 자동 조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줄의 투승과 양승이 교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방지하여 조업의 효율을 향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싯줄의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지도록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폴리(12)를 구성한 양승기(11)와, 이 양승기(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5)로 이루어진 동작부(10);
소정의 폭을 가진 1열의 절개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원줄(41)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도래가이드(21)와, 이 도래가이드(21)의 절개홈(22)상에 부착되어 원줄(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3)와, 도래(42)가 이동되면서 도래(42)의 돌기부분과 접촉에 의해 수심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24)와, 상기 도래가이드(21)를 비롯하여 스토퍼(23), 리미트스위치(24) 및 후술하는 포획부(40)를 지지하는 도래지지대(25)로 이루어진 감지부(20);
상기 원줄(41)의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원줄(41)의 이동 및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하는데, 이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롤러(31), 제2롤러(32)를 각각 구비하여 받침대(33)에 부착시켜 고정하는 가이드부(30);
상기 감지부(20)의 내부통로를 왕복하는 원줄(4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 된 도래(42)의 돌기부분에 구비된 가지줄(43)과 낚시바늘(44)로 이루어져 오징어를 잡기 위한 수단되는 포획부(40);로 구성되는 오징어 자동 조상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선체에 설치하여 조업시, 한쪽에서 원줄을 바다속으로 투입시키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상기 도래의 돌기부분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면서 수심을 카운터하고, 오징어 잡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른쪽으로는 상기 원줄이 선체로 올라오게 되면서 서로 교대로 조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오징어, 양승기, 폴리, 원줄, 도래, 조상기

Description

오징어 자동 조상기 { Automatic winding machine for Spuid fishing }
도 1은 종래의 수동용 낚시로 물레를 이용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 조상기를 이용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동작부 11: 양승기
15: 컨트롤박스 20: 감지부
21: 도래가이드 23: 스토퍼
24: 리미트스위치 25: 도래지지대
30: 가이드부 40: 포획부
본 고안은 오징어 자동 조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줄상에 부착된 도래의 돌기부분에 가지줄과 낚시바늘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여 컨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양승기에 의해 서로 교대로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지도록 양쪽으로 구성함으로써,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엉킴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오징어의 유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적은 인원으로도 어획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오징어 자동 조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를 잡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줄(2) 및 낚시바늘(3)이 부착한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물레(4)를 감고 풀어주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조업시 수십 미터 이상의 길이를 가진 원줄(1)을 최대한 멀리 투승하여 낚여진 오징어로 인하여 중량이 늘어난 상태의 원줄(1)을 양승하는 작업은 매 조업시마다 수 회 내지 수십 회 이상 반복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으로 상당한 힘과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업시 조업인력과 조업시간을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에 더욱 힘이 들고 손바닥이 갈라지는 등의 상처도 입기 쉬운 매우 고된 작업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으로 투승과 양승이 이루어지는 자동 조상기를 개발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업인력과 조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자동 조상기는 조업시 상호간의 엄킴현상이 없도 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에 가지줄(2)을 연결하지 않고 원줄(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낚시바늘(3)을 부착한 상태로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오징어를 어획함에 있어서 오징어의 유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동용 낚시에 비하여 오징어의 조획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조획률이 좋은 수동용 낚시와 같이 원줄상에 부착된 도래의 돌기부분에 낚시바늘이 장착된 가지줄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양승기 양쪽으로 구성하여 서로 교대로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엉킴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오징어를 유인할 수 있으므로 적은 인원으로도 어획률을 높일 수 있는 오징어 자동 조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징어 자동 조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줄상에 부착된 도래의 돌기부분에 가지줄과 낚시바늘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여 컨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양승기에 의해 서로 교대로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지도록 양쪽으로 구성함으로써,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엉킴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오징어의 유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적은 인원으로도 어획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 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작부(10)는 낚싯줄의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지는 양승기(11)와, 이 양승기(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5)로 구성되는데, 상기 양승기(11)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 개의 폴리(12)로 구성되며, 낚시줄의 양승은 상기 폴리(12)의 외주연과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박스(15)는 상기 양승기(11)의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감속 및 가속, 정지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 리미트스위치(24)가 부착된 도래가이드(21) 및 도래지지대(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부(10)의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도래가이드(21)는 소정의 폭을 가진 1열의 절개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원줄(41)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바, 상기 절개홈(22)을 따라 후술할 도래(42)의 돌기부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23)와 리미트스위치(24)는 상기 도래가이드(21)의 절개홈(22)상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23)는 원줄(41)이 피칭 또는 롤링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절개홈(22)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심을 감지함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4)는 상기 도래(42)가 이동되면서 도래(42)의 돌기부분과 접촉에 의해 수심을 카운터하여 정확한 수심을 감지하며,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래지지대(25)는 상기 도래가이드(21)를 비롯하여 스토퍼(23), 리미트스위치(24)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래가이드(21)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원줄(41), 도래(42), 가지줄(43), 낚시바늘(44)로 이루어진 포획부(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원줄(41)의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원줄(41)의 이동 및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동작부(10)의 양측으로 구비하는데, 이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롤러(31), 제2롤러(32)를 각각 구비하여 받침대(33)에 부착시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감지부(20)의 내부통로를 왕복하는 원줄(4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도래(42)의 돌기부분에 구비된 가지줄(43)과 낚시바늘(44)로 이루어져 오징어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도래(42)는 원줄(4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는 원기둥 형태의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이며, 상기 도래가이드(21)의 절개홈(22)의 내부통로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양쪽이 뾰쪽하게 구성되고, 그 일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분을 구성하여 상기 원줄(4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홈(22)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면서 삼각형태로 돌출되 게 구성되며, 이러한 도래(42)의 돌기부분에는 가지줄(43)의 끝단에 낚시바늘(44)이 부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오징어를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미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선체에 설치하여 조업이 이루어지는 작동을 설명하면, 본 고안은 하나의 원줄(41)을 서로 공유하여 조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측 또는 우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줄(41)을 감겨진 상태로 구비하여 오징어를 잡고자 상기 컨트롤박스(15)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감겨진 원줄(41)이 바닷물 속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양승기(11)의 폴리(12)를 중심으로 상기 원줄(41)은 양쪽에 구비된 상기 폴리(12), 도래가이드(21), 제1롤러(31), 제2롤러(32)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원줄(41)의 한쪽이 내려가면 다른 쪽은 올라갈 수 있도록 느슨함이 없이 구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포획된 오징어를 올리고자 상기 컨트롤박스(15)에 의해 양승기(11)를 작동시켜 오징어가 포획된 한쪽의 원줄(41)이 선체로 올라오게 되면 다른 쪽은 내려가면서 상기 도래가이드(21)의 절개홈(22)을 따라 바닷물 속으로 투입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상기 도래(42)의 돌기부분이 상기 리미트스위치(24)와 접촉되면서 수심을 카운터하여 소정의 깊이로 투승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오징어의 포획작업이 서로 교대로 이루어져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오징어 포획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오징어뿐만 아니라, 복어, 우럭, 돔 등과 같은 다른 어종의 조업시에도 적용시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재된 본 고안의 작동에 있어서,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종사하는 당업자에게는 증명이나 설명의 필요없이 그 자체만으로 명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줄상에 부착된 도래의 돌기부분에 낚시바늘이 장착된 가지줄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한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양승기의 폴리 외주연에 걸쳐서 양쪽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교대로 투승 및 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엉킴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오징어를 유인할 수 있으므로 적은 인원으로도 어획률을 월등히 향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 고령화 추세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어로행위에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로 인한 용이하게 조업이 이루어져 비숙련자도 쉽게 조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박에 설치되는 오징어 자동 조상기에 있어서,
    낚싯줄을 투승 및 양승시키는 양승기(11)와, 이 양승기(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5)로 이루어진 동작부(10);
    소정의 폭을 가진 절개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도래가이드(21)와, 이 도래가이드(21)상에 원줄(41)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3)와, 도래(42)의 돌기부분과 접촉에 의해 수심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24)로 이루어진 감지부(20);
    상기 원줄(41)의 이동이 원활하게 하는 제1롤러(31)와 제2롤러(32)가 부착된 받침대(33)로 이루어진 가이드부(30);
    상기 원줄(4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도래(42)의 돌기부분에 가지줄(43)과 낚시바늘(44)로 이루어진 포획부(40);로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박스(15)에 의해 제어되는 양승기(11)를 통해 상기 원줄(41)이 서로 교대로 투승과 양승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자동 조상기.
KR2020060018192U 2006-07-05 2006-07-05 오징어 자동 조상기 KR20042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92U KR200428330Y1 (ko) 2006-07-05 2006-07-05 오징어 자동 조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92U KR200428330Y1 (ko) 2006-07-05 2006-07-05 오징어 자동 조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30Y1 true KR200428330Y1 (ko) 2006-10-16

Family

ID=4177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92U KR200428330Y1 (ko) 2006-07-05 2006-07-05 오징어 자동 조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78B1 (ko) * 2015-04-23 2016-01-22 심흥길 자동 조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78B1 (ko) * 2015-04-23 2016-01-22 심흥길 자동 조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6285B (zh) 一种自动起吊养捕一体装置
KR200428330Y1 (ko) 오징어 자동 조상기
CN103202270B (zh) 灯光诱鱼捕鱼装置及其捕鱼法
DK181431B1 (en) Device for relocating fish within a receptacle and method for relocating the fish
CN210313256U (zh) 一种船舶起笼起网延绳钓作业设备
JP2009072123A (ja) マグロの養殖装置
KR101370603B1 (ko) 오징어 자동 조상장치
KR20110039675A (ko) 주낙용 낚싯줄 성형장치 및 낚싯줄
KR101424914B1 (ko) 갈치 양승기
US10912278B2 (en) Device for translational driving of a scraping member
CN103548790B (zh) 一种金枪鱼延绳钓钓线的干线理线机
KR200393777Y1 (ko) 갈치 자동 채낚기
US6678990B2 (en) Trolling device
KR100585879B1 (ko)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KR101261502B1 (ko) 통발인양장치
KR101042449B1 (ko) 주낙 인양 장치
CN214653244U (zh) 一种淡水鱼起吊装置
KR102396348B1 (ko) 수평 권취식 채낚장치
CN109310073A (zh) 单钩钓鱼机
CN219352821U (zh) 一种鱼品信息采集装置
JP2960031B2 (ja) 自動カツオ釣り装置及び自動カツオ釣り方法
KR20200142891A (ko) 갈치 양승기
KR101263131B1 (ko) 끌낚시용 양승기
US3835567A (en) Troll fishing apparatus
CN216533300U (zh) 一种养鱼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