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978B1 - 자동 조획기 - Google Patents

자동 조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978B1
KR101587978B1 KR1020150057128A KR20150057128A KR101587978B1 KR 101587978 B1 KR101587978 B1 KR 101587978B1 KR 1020150057128 A KR1020150057128 A KR 1020150057128A KR 20150057128 A KR20150057128 A KR 20150057128A KR 101587978 B1 KR101587978 B1 KR 10158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drum
button
control box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흥길
Original Assignee
심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흥길 filed Critical 심흥길
Priority to KR102015005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조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낚싯줄을 투승 및 양승시키는 자동조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획기는 외부전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낚싯줄이 감기고 풀리는 드럼; 상기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낚싯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드럼으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드럼에 낚싯줄이 감기고 풀릴 때 충격을 흡수하는 로프; 낚싯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스토퍼; 및 상기 컨트롤박스, 드럼 및 가이드롤러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조획기{Automatic jigg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조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낚싯줄을 투승 및 양승시키는 자동 조획기에 관한 것이다.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낚싯대를 이용하여 물고기 등을 낚는 채낚기 어업에 있어서, 수십 미터 이상의 길이를 가진 낚싯줄을 최대한 멀리 투승한 다음 물고기가 낚여져 중량이 늘어난 상태에서 양승하는 낚싯줄 투승 및 양승 작업은 조업시마다 수 회 내지 수십 회 이상 반복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낚싯줄을 걷어올리는 양승작업은 통상 낚싯줄에 물고기가 낚여져 있어 중량이 크게 늘어난 낚싯줄들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걷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힘과 시간이 요구되며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에 더욱 힘이 들고 손바닥이 갈라지는 등의 상처도 입기 쉬운 매우 고된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채낚기 어업시 낚싯줄의 양승을 인력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투입되는 조업인력과 조업시간에 비해 어획량이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조업인력의 고령화 추세에 의해 조업원들의 개인작업능률마저 떨어져 위와 같은 채낚기 어업의 문제점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10-07126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투승된 낚싯줄을 인력에 의하지 않고 기계적인 힘을 빌려 신속하게 양승할 수 있어 조업원의 작업편의성을 개선하여 채낚기어업의 조업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 조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획기는 외부전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낚싯줄이 감기고 풀리는 드럼; 상기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낚싯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드럼으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드럼에 낚싯줄이 감기고 풀릴 때 충격을 흡수하는 로프; 낚싯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스토퍼; 및 상기 컨트롤박스, 드럼 및 가이드롤러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의 전면에는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에는 'Z'버튼, 'P'버튼, 'E'버튼, '드래그+' 버튼, '드래그-'버튼, '조획+' 버튼, '조획-'버튼, '정지+' 버튼, '정지-버튼', '↑'버튼,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 회전주기 및 회전방향을 선택 또는 조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동작 프로그램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동작 프로그램을 컨트롤박스에서 실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획기는 낚싯줄을 기계적인 힘에 의해 양승 또는 투승할 수 있고, 또한 낚싯줄의 하강정도와 상승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을 드리울 때는 드럼에 감겨 있던 낚싯줄이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여 서서히 풀리면서 바닷속으로 하강하므로 낚싯줄이 엉키지 않으며, 또한 낚싯바늘에 걸어놓은 미끼도 이탈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컨트롤박스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획기의 컨트롤박스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획기는 선박에 자동조획기를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조업시 파고가 심하거나 급격한 배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조획기가 선박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조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조획기는 투승과 양승과정을 중단함 없이 투승과 양승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인 조업이 가능하다. 낚싯줄을 풀고 감는 과정을 기계적인 힘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승과 투승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그 결과 조업 중단 없이 빠른 속도로 조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획기(10)는 드럼(100), 컨트롤박스(200), 가이드롤러(300), 로프(400), 스토퍼(500) 및 지지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드럼(10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낚싯줄을 감고 푼다. 상기 드럼(1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도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정, 역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10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도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은 드럼(10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수심을 측정하고, 상기 모터가 구동될 때 수심깊이에 해당하는 회전수로 회전구동하여 적정한 수심에서 채낚하게 됨으로써 조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수심값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여 낚싯줄의 풀림량과 감김량을 조정하여 자동으로 감지된 수심층에 분포되어 있는 어류의 채낚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어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박스(200)는 드럼(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박스(200)를 이용하여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낚싯줄이 드럼(100)에 감기고 풀리게 된다. 컨트롤박스(200)는 미리 입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낚싯줄의 하강정도와 상승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고기잡이를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200)에는 상기 드럼(100)의 회전속도, 회전주기 및 회전방향을 선택, 조합함으로써 다수의 동작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자동으로 자동조획기(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200)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210)를 이용하여 자동조획기(10)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
'Z'버튼(211)은 드럼(100)의 회전수를 계측하여 측정되는 깊이측정값을 리셋하거나, 기계적 결함이 발생했을 때 공장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버튼(212)은 컨트롤박스(200)에 미리 입력된 동작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E'버튼(213)은 메인메뉴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동작 프로그램을 끝낼 때 사용한다.
'+'버튼(214) 및 '-' 버튼(215)은 '드래그'(a), '조획'(b), '정지'(c)의 3가지 모드에서 사용된다.
'드래그'(a)버튼은 자동조획기(10)를 멈출때나 낚싯줄을 끌어당길 때 클러치를 통해 휠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드래그 +' 버튼(214a) 및 '드래그 -' 버튼(215a) 버튼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조획'(b)버튼은 낚싯줄을 끌어당기거나, 자동조획기(10)를 멈출 때 드럼(100)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조획 +' 버튼(214b) 및 '조획 -' 버튼(215b) 버튼을 통해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정지'(c)버튼은 드럼(100) 또는 가이드롤러(300)에 낚싯줄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드럼(100) 또는 가이드롤러(300)에 감긴 낚싯줄을 느슨하게 풀어줄 때 사용하는 버튼으로, '정지 +' 버튼(214c) 또는 '정지 -' 버튼(215c)버튼을 통해 드럼(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A'버튼(216)은 자동으로 낚싯줄을 감고 푸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버튼이다. 'A'버튼(216)을 누를 때마다 입력된 동작 프로그램이 다시 시작되고, 'A'버튼(216)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드럼에 감겨진 낚싯줄이 끝까지 풀어진다.
'↑'버튼(217)을 누르면 낚싯줄이 감아 올려진다. 한번 빠르게 '↑'버튼(217)을 누르면 낚싯줄이 감겨 올라가고, '↑'버튼(217)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누르면 모터가 멈춘다.
'↓'버튼(218)은 정지버튼으로, '↓'버튼(218)을 누르면 작동중인 모든 동작 프로그램이 중단된다.
램프(220)는 물고기 등이 낚싯바늘에 걸리면 깜빡거리고, 램프가 깜빡거릴 때 경보음도 함께 울릴 수 있다.
모니터(230)에는 투승 된 낚싯줄의 길이, 작동중인 동작 프로그램, 자동조획기(10)의 상태 등이 표시된다.
가이드롤러(300)는 낚싯줄을 투승하거나 양승할 때 드럼(100)에 감겨져 있던 낚싯줄이 가이드롤러(300)를 거쳐 올라가고 내려감으로써 낚싯줄이 서로 엉키지 않는다.
로프(40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100)에 낚싯줄이 감기고 풀릴 때 충격을 흡수한다.
스토퍼(500)는 일정한 무게를 갖고 있어 낚싯줄 및 로프가 드럼(100)까지 감겨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600)는 상기 컨트롤박스(200), 드럼(100) 및 가이드롤러(30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획기(10)의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100) 및 컨트롤박스(200)를 세로지지대(610)에 고정하고, 가로지지대(620)의 끝단에는 가이드롤러(300)를 고정한 후, 상기 세로지지대(610)와 가로지지대(620)를 연결하여 선박에 고정시킨다.
상기 자동 조획기(10)는 선박에 여러 대를 설치할 수 있어 낚싯줄의 하강정도와 상승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낚싯줄을 기계적인 힘에 의해 양승 또는 투승할 수 있어 낚싯줄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드럼(100)에 감겨있는 낚싯줄을 스토퍼(500) 및 로프(400)에 연결하고, 상기 낚싯줄 끝단에 무게추(도면 미도시)를 달아 물속으로 투입시킨다. 상기 물속에 투입하는 낚싯줄 끝에는 하나 이상의 낚싯바늘이 연결된다. 물속에 투입된 낚싯줄 끝에 달린 미끼를 어류가 물어 낚싯줄에 하중이 발생하면, '↑'버튼(270)을 빠르게 누르면 모터가 동작하고, '+'버튼의 '드래그'(240-A)를 누르면 낚싯줄이 부드럽게 감겨 올라온다. 모든 낚싯줄이 드럼(100)에 감겼을 때, '↓'버튼(280)을 눌러 정지시키고, 'Z'버튼(210)을 눌러 계측기를 리셋한다.
이때 감겨지는 낚싯줄은 가이드롤러(300)를 경유하여 양승함으로써 낚싯줄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낚싯줄 끝단에 연결된 스토퍼(500)에 의해 낚싯줄이 끝까지 드럼(100)에 감기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자동조획기
100 : 드럼
200 : 컨트롤박스
210 : 버튼부
220 : 램프
230 : 모니터
300 : 가이드롤러
400 : 로프
500 : 스토퍼
600 : 지지대
610 : 세로지지대
620 : 가로지지대

Claims (3)

  1. 외부전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낚싯줄이 감기고 풀리는 드럼;
    상기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낚싯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드럼으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드럼에 낚싯줄이 감기고 풀릴 때 충격을 흡수하는 로프;
    낚싯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스토퍼; 및
    선박에 직립으로 고정되고 컨트롤박스 및 드럼이 설치되는 세로지지대와,
    일단은 상기 세로지지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타단은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 계측, 회전속도, 회전주기 및 회전방향을 선택 또는 조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동작 프로그램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동작프로그램을 컨트롤박스에서 실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획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7128A 2015-04-23 2015-04-23 자동 조획기 KR10158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128A KR101587978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 조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128A KR101587978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 조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978B1 true KR101587978B1 (ko) 2016-01-22

Family

ID=5530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128A KR101587978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 조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00B1 (ko) * 2016-12-29 2017-05-29 이만복 낚시용 양승기
KR102127086B1 (ko) * 2019-12-25 2020-06-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스마트 지깅 낚시 장치
KR20200138912A (ko) * 2019-06-03 2020-12-11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330Y1 (ko) * 2006-07-05 2006-10-16 엘씨 텍(주) 오징어 자동 조상기
KR100712642B1 (ko) 2005-08-02 2007-05-02 박중선 물고기 입질 유도기
JP2010273646A (ja) * 2009-05-29 2010-12-09 Towa Denki Seisakusho Co Ltd 自動イカ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42B1 (ko) 2005-08-02 2007-05-02 박중선 물고기 입질 유도기
KR200428330Y1 (ko) * 2006-07-05 2006-10-16 엘씨 텍(주) 오징어 자동 조상기
JP2010273646A (ja) * 2009-05-29 2010-12-09 Towa Denki Seisakusho Co Ltd 自動イカ釣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00B1 (ko) * 2016-12-29 2017-05-29 이만복 낚시용 양승기
KR20200138912A (ko) * 2019-06-03 2020-12-11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KR102235790B1 (ko) * 2019-06-03 2021-04-02 김영구 스마트 지깅 시스템
KR102127086B1 (ko) * 2019-12-25 2020-06-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스마트 지깅 낚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978B1 (ko) 자동 조획기
KR100526016B1 (ko) 갈치잡이장치 및 조상기
CN104823888B (zh) 一种诱虫养鱼捕捞装置
KR20100112520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CN110678071B (zh) 自动钓捕系统以及自动钓捕方法
KR101842894B1 (ko) 전동 릴
CN209121046U (zh) 一种钓鱼设备
CN204335604U (zh) 带有紧急止动机构的鱿鱼钓装置
KR101575474B1 (ko) 낚시줄 자동권취 장치
KR101235905B1 (ko) 드럼 교환식 양승기
KR20220002524U (ko) 회전식 자동 조획장치
KR20220162219A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JP6823340B2 (ja) 携帯型電動巻き上げ機
US2560499A (en) Cable tensioning means for hoists
KR101116152B1 (ko) 주낙 연승장치
CN114097729B (zh) 钓鱼用卷线器以及反冲修正作业状态判定装置
SI25043A (sl) Gozdarski vitel z izpopolnjenim krmiljenjem sklopa za kontrolirano navijanje vlečne vrvi na navijalni boben
KR102487039B1 (ko)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KR102669088B1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CN109349245A (zh) 门架式钓鱼装置
JP3128641U (ja) 釣り糸巻取用ドラムおよび釣り糸巻取機
KR20240052631A (ko) 낚시용 릴의 모터 제어 장치,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모터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
JP3980483B2 (ja) 固定巻き枠釣りリール
KR20230018063A (ko) 갈치낚시용 장치
KR20130100621A (ko) 주낙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