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39B1 -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 Google Patents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39B1
KR102487039B1 KR1020200065213A KR20200065213A KR102487039B1 KR 102487039 B1 KR102487039 B1 KR 102487039B1 KR 1020200065213 A KR1020200065213 A KR 1020200065213A KR 20200065213 A KR20200065213 A KR 20200065213A KR 102487039 B1 KR102487039 B1 KR 10248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locking
fishing line
main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656A (ko
Inventor
문용호
Original Assignee
문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용호 filed Critical 문용호
Priority to KR102020006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20Line length or dept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01K97/11Supports for rods with automatic h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써, 추가 수중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낚싯줄이 팽팽하게 유지되고, 추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상기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낚싯줄과 연결되어 상기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움직이는 감지판을 상태감지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낚싯줄을 일정량 감아올리는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Line Hauler Device for Sensing the Ground Using Weights}
본 발명은 양승기에 있어서, 추가 수중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낚싯줄이 팽팽하게 유지되고, 추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어종은 수심층에 따라 분포가 달라진다. 수중 바닥 가까이에 서식하는 어종의 경우, 수중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내에 분포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람이 직접 투승줄을 풀고, 추가 바닥에 닿으면 1~2m 정도 끌어올려 수중 바닥 가까이에 서식하는 어종을 잡았다. 하지만 매번 수작업으로 상기 투승줄의 길이를 조절하면, 작업의 피로가 쌓이고 여러 어장을 한 번에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6016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6016호'의 갈치잡이장치 및 조상기는, 낚싯줄의 하강길이를 설정하고, 낚싯줄이 하강할 때 회전되는 지시기가 상기 하강길이를 가리키면 전자브레이크에 의해 상기 낚싯줄의 하강이 멈춘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6016호'는 처음부터 정해진 하강길이에 따라 낚싯줄이 하강하는 발명으로, 수중 바닥의 높이에 맞춰 하강길이를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60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가 수중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낚싯줄이 팽팽하게 유지되고, 추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상기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낚싯줄과 연결되어 상기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움직이는 감지판을 상태감지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낚싯줄을 일정량 감아올리는 양승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낚싯줄과,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낚싯줄이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따라 수중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지는 추와, 상기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연동부와, 상기 회전된 연동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연동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태감지센서에 감지되는 감지판과, 상기 연동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감지판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태감지센서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낚싯줄의 장력과, 상기 장력에 의해 회전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추가 수중 바닥에 닿았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추가 수중 바닥에 닿고 나면, 낚싯줄을 일정량 이상 감아올려 원하는 수심에 추를 위치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링크를 이용하여, 낚싯대를 자동으로 고패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분해 사시도(본체 제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본체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드럼의 정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가이드부의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가이드부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연동부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연동부의 후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구동부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상태감지센서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추가 수중 바닥에서 이격되어 낚싯줄이 팽팽할 때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추가 수중 바닥에 닿아 낚싯줄이 느슨할 때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정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부분 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낚싯대가 올라가 있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낚싯대가 내려가 있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고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낚싯줄이 던져지는 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고 구동모터(111)를 포함하는 구동부(110)와,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5)에 설치되어 회전축(115)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200)과,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드럼(200)에 감기거나 풀리는 낚싯줄(10)과, 낚싯줄(10)의 단부에 결합되어 낚싯줄(10)이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따라 수중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지는 추(11)를 포함한다.
또한, 낚싯줄(10)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연동부(400) 및 회전된 연동부(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추(11)가 수중 바닥에 닿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00)의 우측면에는 회전축 관통홈(101)과, 가이드부 설치홈(102)과, 구동부 설치홈(103)과, 감지센서 설치홈(104)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회전축 관통홈(101)은 본체(100)의 우측면의 중앙에 형성된다.
회전축 관통홈(101)에는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5)이 설치된다.
가이드부 설치홈(102)은 본체(100)의 우측면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부 설치홈(102)은 2개의 홈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게 형성된다.
구동부 설치홈(103)은 회전축 관통홈(101)의 주변에 형성된다.
구동부 설치홈(103)은 4개의 홈이 정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회전축 관통홈(101)은 상기 정사각형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감지센서 설치홈(104)은 회전축 관통홈(101)의 전측 하부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은 2개의 드럼측판(201)과 두 드럼측판(201) 사이에 형성되는 감개부(202)를 포함한다.
드럼측판(201)의 원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감개부(202)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감개부(202)의 지름은 드럼측판(20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낚싯줄(10)을 감개부(202)에 감을 때, 낚싯줄(10)이 드럼측판(201)쪽으로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드럼측판(201) 및 감개부(202)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회전축 설치홈(203)이 형성된다. 회전축 설치홈(203)에는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5)이 설치된다.
본체(100)에는 투승되는 낚싯줄(10)의 방향을 잡아주는 가이드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도 5 내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부(300)는 본체(100)에 결합되는 설치판(301)과, 설치판(301)에 결합되는 가이드측판(303)과, 가이드측판(303)에 결합되고 낚싯줄(10)이 설치되는 가이드본체(304)를 포함한다.
설치판(301)은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설치판(301a)과, 제1설치판(301a)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제2설치판(301b)과, 제2설치판(301b)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3설치판(301c)을 포함한다.
제2설치판(301b)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하여, 드럼(200)에서 나오는 낚싯줄(10)이 가이드본체(304)의 중앙에 오게 가이드본체(30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2,3설치판(301a,301b,301c)은 각각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설치판(301a)에는 2개의 나사홈(30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나사홈(302)은 본체(100)의 가이드부 설치홈(102)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가이드측판(303)의 전방은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측판(303)의 전방에는 가이드본체(304) 및 가이드봉(305)이 설치된다.
가이드측판(303)의 후방은 상부, 하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측판(303)의 후방에는 가이드롤러(306)가 고정된다.
가이드본체(304)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본체(304)의 상면은, 드럼(200)의 감개부(202)의 상면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감개부(202)에 감긴 낚싯줄(10)은 가이드본체(304)에 걸쳐진 낚싯줄(1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본체(304)의 후방에는 금속감지센서(308)가 설치된다. 금속감지센서(308)는 가이드본체(304)의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낚싯줄(10)이 금속감지센서(308) 위를 지나간다. 낚싯줄(10)에 매달린 금속이 금속감지센서(308)를 위를 지나가면, 금속감지센서(308)가 이를 감지한다.
가이드본체(304)의 전방의 좌우 양측에는 위아래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가이드봉(305)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306)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롤러(306)는 가이드측판(303)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끼워지는 롤러나사(307)에 의해 설치된다. 가이드롤러(306)는 롤러나사(307)를 회전축으로 회전한다.
가이드롤러(306)는 좌우 양측에서 중앙으로 올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롤러(306)에 걸쳐지는 낚싯줄(10)이 가이드롤러(306)의 중앙으로 이동되고, 가이드롤러(306)의 전방에 위치한 금속감지센서(308)에 낚싯줄(10)이 보다 원활하게 감지될 수 있다.
가이드봉(305)의 일단은 가이드측판(303)에 고정된다. 가이드봉(305)의 일측은 상기 일단에서부터 가이드본체(304)의 상면보다 위쪽까지 연장된다. 그 후 후방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롤러(306)의 후방까지 연장된다. 그 후 하부로 연장되어 가이드롤러(306)의 하부로 절곡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봉(305)은 가이드측판(30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롤러(306)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가이드봉(305)은 낚싯줄(10)이 가이드롤러(306) 및 가이드본체(304)에서 벗어나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연동부(400)는 도 7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동부(400)는 전체적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연동부(400)는 본체(100)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낚싯줄(10)의 장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라면 본체(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연동부(400)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동판(401)과, 연동판(401)의 일측에 설치되는 줄끼움부(410)를 포함한다.
연동판(401)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동판(401a)과, 제1연동판(401a)의 우측에 연결되고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제2연동판(401b)과, 제2연동판(401b)의 우측에 연결되고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제3연동판(401c)과, 제3연동판(401c)의 우측에 연결되고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제4연동판(401d)을 포함한다.
제1연동판(401a), 제2연동판(401b) 및 제4연동판(401d)은 본체(100)의 우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연동판(401c)은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3연동판(401c)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제4연동판(401d)에 설치되는 줄끼움부(410)의 좌우방향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1연동판(401a)의 중심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회전축 끼움홈(402)이 형성된다.
제1연동판(401a)의 좌측면의 회전축 끼움홈(402) 둘레에는 돌출부(403)가 형성된다. 돌출부(403)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돌출부(403)의 좌측면은 본체(100)의 우측면에 접한다.
제1연동판(401a)과 제2연동판(401b)이 본체(100)에 접하는 대신, 돌출부(403)만 본체(100)에 접함으로써, 연동판(401)과 본체(1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연동판(401)이 회전되기 쉬워진다.
또한, 돌출부(403)는 본체(100)와 연동판(401) 사이를 이격시켜 본체(100)와 연동판(401) 사이에 상태감지센서(500)가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제1연동판(401a)의 둘레에는 전방 하부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우측면에서 바라본 기준)으로, 제1걸림판(404)과, 제1절개부(405)와, 감지판(408)과, 제2절개부(407)와, 제2걸림판(406)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제2걸림판(406)은 제1연동판(401a)의 둘레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다.
제1걸림판(404)의 좌우방향 길이는, 돌출부(403)의 좌우방향 길이와 유사하거나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판(404)은 제1걸림판(404)과 제2걸림판(406) 사이에 설치되는 상태감지센서(500)의 측부에 걸릴 수 있다. 제1걸림판(404)이 상태감지센서(500)에 걸리면, 연동판(401)은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제1절개부(405)는 호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절개부(405)는 상태감지센서(500)가 제1절개부(405)와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할 때, 상태감지센서(500)의 우측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감지판(408)은 상태감지센서(500)가 감지판(408)과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할 때, 상태감지센서(500)의 우측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연동판(401)의 회전에 의해, 상태감지센서(500)가 제1절개부(405)와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할 때는 상태감지센서(500)가 연동판(401)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태감지센서(500)가 감지판(408)과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할 때는 상태감지센서(500)가 연동판(401)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판(408)은 낚싯줄(10)이 최대로 팽팽할 때도 상태감지센서(500)가 감지판(408)과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연동판(401a)의 둘레를 따라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제2절개부(407)는 호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절개부(407)는 상태감지센서(500)가 제2절개부(407)와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해도, 상태감지센서(500)의 우측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도록, 제1연동판(401a)의 둘레를 따라 충분히 짧게 형성된다.
제2걸림판(406)의 좌우방향 길이는, 돌출부(403)의 좌우방향 길이와 유사하거나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걸림판(406)은 제1걸림판(404)과 제2걸림판(406) 사이에 설치되는 상태감지센서(500)의 측부에 걸릴 수 있다. 제2걸림판(406)이 상태감지센서(500)에 걸리면, 연동판(401)은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제4연동판(401d)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줄끼움부 설치홈(409)이 형성된다. 줄끼움부 설치홈(409)에는 줄끼움부(410)가 설치된다.
줄끼움부(410)는 줄끼움부 설치홈(409)에 고정되는 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직선부(411)와, 제1직선부(411)와 연결되어 코일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선부(412)와, 곡선부(412)와 연결되고 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직선부(413)를 포함한다.
곡선부(412)는 제1직선부(411) 및 제2직선부(413)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제1직선부(411)의 외측면과 제2직선부(413)의 외측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낚싯줄(10)은 갭(G)을 통해 곡선부(412) 내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110)는 구동모터(111)와,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5)과, 구동모터(111)를 본체(100)에 결합하는 고정부(112)를 포함한다.
고정부(112)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13)이 형성된다.
나사홈(113)은 본체(100)의 구동부 설치홈(103)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고정부(112)의 우측면에는 원판 형상으로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돌출부(114)에 의해, 고정부(112)가 본체(100)에 고정될 때, 돌출부(114)와 본체(10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회전축(115)은 돌출부(114)의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115)은 본체(100)의 회전축 관통홈(101)을 통해 본체(100) 우측으로 돌출된다.
회전축(115)의 중앙에는 위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드럼고정돌기(116)가 형성된다. 드럼고정돌기(116)는 드럼(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축(115)이 회전될 때 드럼(200)도 그와 연동되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태감지센서(500)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태감지센서(500)는 연동부(4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501)와, 감지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본체(1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끼움부(502)와, 제1끼움부(502)와 연결되고 본체(100)의 감지센서 설치홈(104)에 위치하는 끼움홈(503)과, 끼움홈(503)과 연결되고 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2끼움부(504)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태감지센서(500)는 상하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본체(100)에 설치된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낚싯줄(10) 끝에 추(11)를 매달고, 양승기를 이용하여 낚싯줄(10)을 투승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11)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10)에 장력이 걸린다.
낚싯줄(10)에 장력이 걸리면, 낚싯줄(10)이 줄끼움부(410)를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연동부(400)가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감지센서(500)의 감지부(501)의 우측이 연동부(400)의 감지판(408)으로 가로막힌다.
회전축(115)을 회전시켜 드럼(200)에 설치된 낚싯줄(10)을 풀 때, 회전축(115)의 회전에 의해 연동부(400)가 영향을 받더라도, 낚싯줄(10)의 장력에 의해 감지판(408)은 감지부(501)의 우측을 가로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낚싯줄(10)을 계속 풀어 추(11)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11)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10)에 걸리는 장력이 사라진다.
낚싯줄(10)에 걸렸던 장력이 사라지면, 낚싯줄(10)에 의해 회전되었던 연동부(400)가 제2,3,4연동판(401b,401c,401d)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연동부(400)는 제1걸림판(404)이 상태감지센서(500)에 걸릴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감지센서(500)의 감지부(501)의 우측이 연동부(400)의 제1절개부(405)에 의해 개방된다. 이로 인해 상태감지센서(500)는 추(11)가 수중 바닥에 닿았음을 감지하고, 낚싯줄(10)을 일정량 감아 올려 원하는 위치에 추(11)가 위치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싯줄(10)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는 연동부(400)와, 연동부(4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500)를 이용하여 손쉽게 어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에 제2구동부(1610)에 의해 고패질(물고기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입질을 유도하기 위해 올렸다 내렸다 하는 것)하는 낚싯대(1690)를 더 포함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2구동부(1610)와 낚싯대(1690) 사이에는 제2구동부(1610)의 구동력을 낚싯대(1690)에 전달하는 링크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1610)와, 상기 링크 어셈블리와, 낚싯대(1690)는 도 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낚싯대(1690)가 설치되는 고정대(1680)와, 고정대(1680)에 형성되는 연동축(1682)과, 연동축(1682)에 설치되어 연동축(1682)과 연동되는 제1캠(1630)과, 제2구동부(1610)의 회전축(1614)에 설치되어 회전축(1614)과 연동되는 제2캠(1640)과, 제1캠(1630)과 제2캠(1640)을 연결하는 링크(1650)를 포함한다.
또한, 연동축(1682)은 제2구동부(1610)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1620) 및 제2고정판(1670)에 의해 고정된다.
제2구동부(1610)는 구동모터(1611)와, 구동모터(1611)와 연결되고 본체(1100)에 결합되는 고정부(1612)와, 구동모터(1611)와 연결되고 고정부(1612)의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축(1614)을 포함한다.
고정부(1612)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613)이 형성된다.
고정부(1612)는 나사홈(1613)을 통해 본체(1100)에 나사결합된다.
제1고정판(1620)은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고정판(1620)의 후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622)이 형성된다. 제1고정판(1620)은 나사홈(1622)에 의해 고정부(1612)에 나사결합된다.
제1고정판(1620)이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연동축 관통홈(1621)이 형성된다. 제1연동축 관통홈(1621)에는 연동축(1682)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캠(1630)과 제2캠(1640)은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캠(1630)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연동축 설치홈(1631)이 형성된다. 연동축 설치홈(1631)에는 연동축(1682)이 고정되어, 제1캠(1630)이 연동축 설치홈(163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연동축(1682)도 이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1캠(1630)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632)이 형성된다. 나사홈(1632)에는 링크(165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캠(1640)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모터축 설치홈(1641)이 형성된다. 모터축 설치홈(1641)에는 구동모터(1611)의 회전축(1614)이 고정되어, 회전축(1614)이 회전하면, 제2캠(1640)도 이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2캠(1640)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642)이 형성된다. 나사홈(1642)에는 링크(1650)의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1650)는 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링크(1650)의 일측에는 제1캠연결부(1651)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1캠연결부(1651)는 결합나사(1660)를 통해 제1캠(1630)의 나사홈(1632)에 설치된다.
링크(1650)의 타측에는 제2캠연결부(1652)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2캠연결부(1652)는 결합나사(1660)를 통해 제2캠(1640)의 나사홈(1642)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제1캠(1630)이 구동모터(1611)의 회전축(1614)에 회전되면, 제1캠(1630)의 회전력이 링크(1650)를 통해 제2캠(1640)에 전달된다.
제2고정판(167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2고정판(1670)은 우측판(1671)과, 우측판(1671)의 후방에서 좌측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후측판(1672)과, 후측판(1672)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좌측판(1673)을 포함한다.
제2고정판(1670)은 제1캠(1630), 제2캠(1640) 및 링크(165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우측판(1671)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연동축 관통홈(1674)이 형성된다. 제2연동축 관통홈(1674)에는 연동축(168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연동축(1682)은 제1고정판(1620)과, 제2고정판(1670)의 우측판(1671)에 의해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좌측판(167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1675)이 형성된다. 좌측판(1673)은 나사홈(1675)에 의해 고정부(1612)에 결합된다.
고정대(1680)는 낚싯대(1690)가 끼워지는 설치부(1681)와, 설치부(1681)의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동축(1682)을 포함한다.
낚싯대(1690)는 후측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부(1681)에 설치된다.
다음은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의 낚싯대(1690)의 고패질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구동모터(1611)가 작동하여 회전축(1614)이 180도 회전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1640)이 180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16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캠(1630)의 하부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1캠(1630)의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캠(1630)의 상부가 연동축(168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동축(1682) 또한 회전되어 낚싯대(1690)가 후측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1611)가 작동하여 회전축(1614)이 180도 더 회전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구동모터(1611)를 작동시키면 낚싯대(1690)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와 도 17에 도시된 상태 사이를 왕복하며 고패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낚싯줄 11: 추
100: 본체 101: 회전축 관통홈
102: 가이드부 설치홈 103: 구동부 설치홈
104: 감지센서 설치홈
110: 구동부 111: 구동모터
112: 고정부 113: 나사홈
114: 돌출부 115: 회전축
116: 드럼고정돌기
200: 드럼 201: 드럼측판
202: 감개부 203: 회전축 설치홈
300: 가이드부 301: 설치판
301a: 제1설치판 301b: 제2설치판
301c: 제3설치판 302: 나사홈
303: 가이드측판 304: 가이드본체
305: 가이드봉 306: 가이드롤러
307: 롤러나사 308: 금속감지센서
400: 연동부 401: 연동판
401a: 제1연동판 401b: 제2연동판
401c: 제3연동판 401d: 제4연동판
402: 회전축 끼움홈 403: 돌출부
404: 제1걸림판 405: 제1절개부
406: 제2걸림판 407: 제2절개부
408: 감지판 409: 줄끼움부 설치홈
410: 줄끼움부 411: 제1직선부
412: 곡선부 413: 제2직선부
500: 상태감지센서 501: 감지부
502: 제1끼움부 503: 끼움홈
504: 제2끼움부
1100: 본체 1110: 제1구동부
1200: 드럼
1610: 제2구동부 1611: 구동모터
1612: 고정부 1613: 나사홈
1614: 회전축 1620: 제1고정판
1621: 제1연동축 관통홈 1622: 나사홈
1630: 제1캠 1631: 연동축 설치홈
1632: 나사홈 1640: 제2캠
1641: 모터축 설치홈 1642: 나사홈
1650: 링크 1651: 제1캠연결부
1652: 제2캠연결부 1653: 연결바
1660: 결합나사 1670: 제2고정판
1671: 우측판 1672: 후측판
1673: 좌측판 1674: 제2연동축 관통홈
1675: 나사홈 1680: 고정대
1681: 연동축 1682: 설치부
1690: 낚싯대

Claims (2)

  1. 낚싯줄에 달린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낚싯줄을 감거나 푸는 드럼;
    상기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연동부; 및
    상기 회전된 연동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연동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태감지센서에 감지되는 감지판과,
    상기 연동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감지판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태감지센서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2. 삭제
KR1020200065213A 2020-05-29 2020-05-29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KR10248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13A KR102487039B1 (ko) 2020-05-29 2020-05-29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13A KR102487039B1 (ko) 2020-05-29 2020-05-29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56A KR20210147656A (ko) 2021-12-07
KR102487039B1 true KR102487039B1 (ko) 2023-01-10

Family

ID=7886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13A KR102487039B1 (ko) 2020-05-29 2020-05-29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020A1 (en) 2000-12-21 2004-04-29 Kjell Ramberg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hysical bottom contact for objects on a sea bottom
KR101684165B1 (ko) 2015-09-03 2016-12-08 이관희 원투 수심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8137B1 (en) * 2000-09-07 2003-07-08 Rozko, Inc. Ice fishing jig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85879B1 (ko) * 2004-10-29 2006-06-07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KR100526016B1 (ko) 2005-06-20 2005-11-08 김상태 갈치잡이장치 및 조상기
ES1065530Y (es) * 2007-03-13 2007-12-16 Cortell Abelardo-Leon Palacios Dispositivo profundizador del cebo para la pesca al curric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020A1 (en) 2000-12-21 2004-04-29 Kjell Ramberg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hysical bottom contact for objects on a sea bottom
JP2004524022A (ja) * 2000-12-21 2004-08-12 シムラド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海底において物体の物理的な着底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684165B1 (ko) 2015-09-03 2016-12-08 이관희 원투 수심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56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0778B2 (ja) 漁獲装置
EP0804674B1 (en) An end stop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arrangement
KR102487039B1 (ko)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KR102599955B1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US9702184B2 (en) Venetian blinds with single spring loaded lift
US3123130A (en) Operating device for venetian blinds
KR101018888B1 (ko) 고기잡이 조상기
US11649663B2 (en) Position sensing device for sensing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of a hoisting line
JP2693660B2 (ja) 採光調節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US4274219A (en) Automatic power fishing reel
KR101235905B1 (ko) 드럼 교환식 양승기
CN1479570A (zh) 固定线轴钓鱼绕线轮
DE69711874T2 (de) Anzeigenaufhängungssystem
JP2902251B2 (ja) 巻上型ブラインド
EP3705678B1 (en)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JP3288641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180040387A (ko) 낚싯줄 호수 표시구가 구비된 릴
KR101477668B1 (ko) 조업용 양승기
KR101575474B1 (ko) 낚시줄 자동권취 장치
JP2003292290A (ja) ウインチ
KR102660856B1 (ko) 보조릴이 설치되는 낚시대
JP3249785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0302085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장치의 가이드
JPH02138930A (ja) 魚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