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31B1 - 끌낚시용 양승기 - Google Patents

끌낚시용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31B1
KR101263131B1 KR1020110137439A KR20110137439A KR101263131B1 KR 101263131 B1 KR101263131 B1 KR 101263131B1 KR 1020110137439 A KR1020110137439 A KR 1020110137439A KR 20110137439 A KR20110137439 A KR 20110137439A KR 101263131 B1 KR101263131 B1 KR 10126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shing
winding
winding por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1013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권양할 때, 원줄과 모릿줄을 모두 권양할 수 있는, 양승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는,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끌낚시용 양승기{Troll lines hauler}
본 발명은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감아올리는 끌낚시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중/저층 끌낚시는 중/저층에 회유하는 어종을 동시에 잡기 위하여 낚싯줄에 여러개의 낚시를 달고, 추를 많이 달아 예인 시 낚싯줄이 경사를 크게 이루도록 한 것이다.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이하, 간단히 '낚싯줄'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원줄(발줄), 모릿줄 및 아릿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주연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끌낚시어구(낚싯줄)를 사용하여 10~5월에 방어, 삼치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방어와 삼치는 중/저층용 끌낚시어구(낚싯줄)에 의해 어획되고 있다. 이러한 끌낚시 조업 방법은 양승기를 사용하여 권양 드럼에 감긴 무거운 원줄과 발줄을 풀면서 60~70개의 낚시를 저층에 침강시켰다가, 어획 시 양승기로 원줄을 권양한 다음, 인력으로 모릿줄을 양승하면서 아릿줄의 어획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때, 여러 마리가 한 번에 어획되면, 인력으로 모릿줄을 양승하는 작업이 아주 힘들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2~3시간 힘을 소진하면서 어구와 어획물을 인양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끌어올리기 위한 종래의 양승기는 원줄, 모릿줄 및 아릿줄로 이루어지는 낚싯줄을 권양할 때, 무거운 원줄만을 권양하고 있을 뿐 모릿줄을 함께 권양하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권양할 때, 원줄과 모릿줄을 모두 권양할 수 있는,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는,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권양할 때, 원줄과 모릿줄을 모두 권양함으로써, 작업자들이 보다 힘을 덜들이고도 보다 효율적으로 낚싯줄을 감아올릴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를 이용하여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권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원줄 권양부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를 이용하여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을 권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형태의 모릿줄 권양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원줄 권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900)을 권양할 때, 원줄(902)과 모릿줄(907)을 모두 권양할 수 있는 양승기(800)에 관한 것이다.
즉, 끌낚시 어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어업 기계(양승기)는 원줄(끌줄)만 권양하는 기능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800)는 원줄(902) 권양에 부가하여 원줄 권양 후 모릿줄(907)을 롤러로 권양할 수 있는, 즉, 한대의 양승기(800)로 두 가지 목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원줄 권양부(200), 모릿줄 권양부(300) 및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의 기본이 되는 프레임으로서, 장착부(110)를 통해 선박(700)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의 내부에는 원줄 권양부(200)와 모릿줄 권양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410, 420)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직육면체의 일측면에는 원줄 권양부(200)가 장착되고,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는 모릿줄 권양부(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은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장치를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을 개방시킨 후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410, 420)의 이상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다음, 원줄 권양부(200)는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낚싯줄(900) 권양시, 특히, 원줄(902)을 권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9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902), 모릿줄(907) 및 아릿줄(9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큰 원에는 낚시바늘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원줄(902)로는 스테인리스 와이어(직경 2mm)가 사용되고, 모릿줄(907)로는 경심 50호가 사용되며, 아릿줄로는 경심 20호가 사용될 수 있다.
낚싯줄(900)은 원줄(902)과 모릿줄(907)에 일정한 간격으로 납(901)을 다는 외에, 별도로 5Kg의 발줄(906)이 원줄(902) 끝에 달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낚싯줄을 권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줄 권양부(200)는 특히, 원줄(902)을 권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원줄 권양부(200)는, 제1구동부(4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0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원줄(902)을 권양하기 위한 드럼(204) 및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드럼이 원줄에 의해 큰 장력을 받을 때 드럼이 헛돌거나 원줄 방향으로 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클러치부(201, 210, 280, 2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02)은 제1구동부(4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2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10)에 구비된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본체 내부와 외부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202)은 제1구동부(410)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의 회전력은 드럼(204)을 회전시켜 원줄(902)을 권양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02)은 제1구동부에 구비된 이송부에 의해 좌우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원줄이 드럼(204)의 전체면에 골고루 감겨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02)이 좌우 왕복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드럼(204)에 감기는 원줄은 계속해서 드럼의 일부분에만 감길 수 있으며, 이후 계속해서 감기는 원줄은 드럼의 또 다른 일부분으로 이동될 수 없다. 이때, 보다 늦게 감긴 원줄이 이전에 감긴 원줄보다 드럼의 안쪽 부분에 감기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중에 원줄을 다시 바다에 투승할 경우, 원줄이 꼬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202)이 좌우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줄이 드럼(204)의 전면에 고르게 펴진 상태로 감겨질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회전축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드럼(204)은 원줄을 감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원통(204a)의 좌우 양측면에 원통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204b, 204c)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는 원통의 외주면에 감기는 원줄이 원통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와 맞닿는 원통(204a)의 일측면에 장착된 제1가이드(204b)는 원통(204a)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면에 장착되는 제2가이드(204c)에는 회전축(202)과 체결되는 너트(210)에 의해 제2가이드(204b)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280)이 장착되어 있다. .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일측면에 장착된 제1가이드(204b)의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202)은 원통(204a)을 관통한 후, 원통의 타측면에 장착된 제2가이드(204c)의 개폐판(280)를 관통하여 원통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202)에는 너트(210)가 체결된다. 이로인해, 개폐판(280)은 원통과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부(201, 210, 280, 290)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이 상기 원줄에 의해 큰 장력을 받을 때 상기 드럼이 헛돌거나 또는 상기 원줄 방향으로 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찰클러치부를 구성하는 플렌지(201)는 본체의 일측면 외부에서 회전축(20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마찰클러치부를 구성하는 스프링(290)은 회전축(202)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202)이 회전하면 스프링도 회전하면서 원통(204a)이 회전되며, 이로 인해, 원줄이 원통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줄을 감는 과정 중, 원줄이 암초 등에 걸리거나 또는 기타의 원인들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면, 원줄이 원통에 대하여 장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통이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인해 회전축 역시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원줄이 끊어지거나 또는 회전축이 휘는 등의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낚싯줄이 해저에 걸려 일정 이상의 장력을 받게 되면 원줄이 파단 되거나, 회전축이 파손되어, 조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러치의 기능을 하도록 스프링으로 구성된 마찰클러치부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원줄이 원통에 강한 반발력을 작용하여 원통 및 회전축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회전축과 스프링(290)만이 회전되고, 원통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회전축(202)이 관통되고 있는 플렌지(201) 면에 제1가이드(204b), 스프링(290), 개폐판(280), 너트(210)가 구비되며, 거기에 끼워지는 스프링(290)의 반발력이 제1가이드(204b)가 플렌지(201) 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력을 가하면, 플렌지 면에 제1가이드(204b)가 밀착되면서, 그 압력에 대응되는 세기만큼 그 마찰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원줄의 부하 걸림력이 그 설정된 동력 전달 가능한 마찰력의 최대값을 초과하면, 스프링(290)의 압박력을 이기고, 플렌지(201) 면과 제1가이드(204b) 간의 마찰력을 이겨 미끄러져서 동력 전달이 안돼 원줄 끊어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부 구동부의 고장 방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최대값 이하이면 미끄러짐 없이 플렌지 면과 제2가이드(204c)간의 마찰방식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다음, 모릿줄 권양부(300)는 모릿줄(907)을 권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원줄 권양부(200)에 의해 낚싯줄의 원줄이 다 감기게 되면, 원줄에 연결되어 있는 모릿줄(907)은 모릿줄 권양부(300)를 통해 권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릿줄 권양부(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마찰차(310), 소마찰차(320) 및 보조마찰차(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모릿줄 가이드(340) 및 보조마찰차 제어기(35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대마찰차(310), 소마찰차(320) 및 보조마찰차(330)는 모릿줄과의 마찰력에 의해 모릿줄을 감아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모릿줄은 대마찰차, 소마찰차 및 보조마찰차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잡아당겨져 권양될 수 있다.
보조마찰차 제어기(350)는 보조마찰차(330)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모릿줄은 롤러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롤러에 감겨지는 것으로서, 마찰력이 약하면 모릿줄이 감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마찰차 제어기(350)를 이용하여 보조마찰차(330)를 대마찰차(310) 또는 소마찰차(32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강한 마찰력에 의해 모릿줄이 보다 수월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마찰차 제어기(350)의 끝단 부분은 스프링(360)을 통해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본체에는 스프링이 착탈될 수 있는 체결부(370)가 구비되어 있다.
모릿줄 가이드(340)는 모릿줄을 권양할 때, 모릿줄이 대마찰차(310)에 잘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모릿줄과 대마찰차(310)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양승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Π' 모양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모릿줄 가이드(340)는 본체 후면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릿줄과 대마찰차(310) 간의 마찰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릿줄 가이드(340)는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341), 지지대의 끝단에서 대마찰차(310)의 롤러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게 돌출되어 있는 지지봉(342), 지지봉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봉과 대마찰차(310)의 롤러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모릿줄(907)을 대마찰차(310)의 롤러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주가이드(343), 지지봉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봉(344), 연장봉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장봉의 표면을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345) 및 슬라이딩부에서 지지봉(342)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대마찰차의 하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보조가이드(346) 및 제1보조가이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2보조가이드(3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가이드(343)는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주가이드(343)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모릿줄이 대마찰차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마찰차의 한 부분만 사용하여 모릿줄을 양승하게 되면, 모릿줄이 마찰차의 고무에 홈을 만들게 되어 모릿줄과 마찰차 사이에 마찰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싯줄 가이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1보조가이드와 제2보조가이드는 모릿줄을 가이드하고 있으며, 모릿줄이 대마찰차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감겨질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41)는 지지대를 관통하고 있는 절개부(341a) 및 절개부(341a)에 탈부착되는 고정부(341b)에 의해 본체(100)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절개부(341a)의 원하는 위치에 나사와 같은 고정부(341b)를 장착시킴으로써, 지지대(341)를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릿줄 가이드(340) 전체의 위치를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341)의 절개부(341a)와 대응되는 부분의 본체(100)에도, 나사와 같은 고정부(341b)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릿줄 권양부(300) 이외에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마찰차와 소마찰차로 구성된 모릿줄 권양부(300)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모릿줄 권양부는,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V자 홈으로 형성된 드럼(20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걸쇠(380)에 의해서 드럼(204)으로부터 모릿줄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모릿줄 권양부(300)는 다양한 형태의 모릿줄 권양부가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동부는 원줄 권양부(200) 또는 모릿줄 권양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구동부(410) 및 제2구동부(420)를 포함하고 있다. 제1구동부는 원줄 권양부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제2구동부는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는 전기모터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가 유압모터로 구성된 경우, 본체(100)에는 유압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압호스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구동부(400)는 미도시된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어장치를 통해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모두를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원줄을 권양할 때에는 제1구동부만을 구동시키고, 이후, 모릿줄을 권양할 때에는 제2구동부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끌낚시용 양승기는 방어끌낚시 또는 삼치끌낚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200 : 원줄 권양부
300 : 모릿줄 권양부 400 : 구동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줄 권양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드럼;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이 상기 원줄에 의해 큰 장력을 받을 때 상기 드럼이 헛돌거나 또는 상기 원줄 방향으로 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4.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줄 권양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드럼;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이 상기 원줄에 의해 큰 장력을 받을 때 상기 드럼이 헛돌거나 또는 상기 원줄 방향으로 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통;
    상기 원통 중 상기 본체와 맞닿는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원통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원통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가이드를 관통한 후, 상기 원통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클러치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플렌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원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6.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원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 및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7. 원줄과 모릿줄로 구성되어 끌낚시에 이용되는 낚싯줄의 상기 원줄을 권양하기 위한 원줄 권양부;
    상기 모릿줄을 권양하기 위한 모릿줄 권양부;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줄 권양부와 상기 모릿줄 권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릿줄 권양부는,
    대마찰차;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대마찰차의 롤러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게 돌출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봉과 상기 대마찰차의 롤러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모릿줄을 상기 대마찰차의 롤러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주가이드와,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봉과, 상기 연장봉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봉의 표면을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지지봉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상기 대마찰차의 하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보조가이드와, 상기 제1보조가이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2보조가이드를 포함하는 모릿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가이드는 상기 모릿줄이 상기 대마찰차에 밀착되도록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기 모릿줄이 대마찰차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감겨질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고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를 포함한 상기 모릿줄 가이드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끌낚시용 양승기.
KR1020110137439A 2011-12-19 2011-12-19 끌낚시용 양승기 KR10126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439A KR101263131B1 (ko) 2011-12-19 2011-12-19 끌낚시용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439A KR101263131B1 (ko) 2011-12-19 2011-12-19 끌낚시용 양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131B1 true KR101263131B1 (ko) 2013-05-15

Family

ID=4866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439A KR101263131B1 (ko) 2011-12-19 2011-12-19 끌낚시용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901B1 (ko) * 2017-07-06 2018-01-1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KR20200074709A (ko) * 2018-12-17 2020-06-25 문용호 조업용 양승기의 회전력 조절 가능한 스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7097U (ko) * 1973-12-12 1975-07-24
KR200249428Y1 (ko) * 2001-07-05 2001-11-16 이전재 낚시줄 권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7097U (ko) * 1973-12-12 1975-07-24
KR200249428Y1 (ko) * 2001-07-05 2001-11-16 이전재 낚시줄 권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901B1 (ko) * 2017-07-06 2018-01-1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KR20200074709A (ko) * 2018-12-17 2020-06-25 문용호 조업용 양승기의 회전력 조절 가능한 스풀
KR102196921B1 (ko) * 2018-12-17 2020-12-30 문용호 조업용 양승기의 회전력 조절 가능한 스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901B1 (ko)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US7111803B2 (en) Cable winch system
KR101263131B1 (ko) 끌낚시용 양승기
CN210795397U (zh) 带有自动排线器的绞盘
KR20130066847A (ko) 장력센서가 구비된 장력감소식 윈치
KR100746752B1 (ko) 주낙 연승장치
CN108935362B (zh) 河豚鱼钓捕方法
CN206562265U (zh) 一种渔船起吊设备
CN201663386U (zh) 一种用于输电线路张力架线用的拖挂式电动牵引机
US20160159623A1 (en) Forestry winch
KR20130066220A (ko) 장력감소식 윈치
CN203582361U (zh) 一种拖缆绞车
CN110731315B (zh) 诱捕式刺网捕捞装置
CN205397921U (zh) 一种带报警装置的行吊
KR101235904B1 (ko) 낚싯줄 감김 양승기
JP5468430B2 (ja) 作業用ゴンドラの落下防止機構
EP2794457A1 (en) A tackle for displacing a load
KR101042449B1 (ko) 주낙 인양 장치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CN210065012U (zh) 一种卷扬机限位保护装置
KR101085952B1 (ko) 캡스턴 호이스트
JP2006075052A (ja) 釣り糸巻取装置における巻上げ・巻下げ速度制御装置
KR20150034910A (ko) 그물 인양장치
KR100860876B1 (ko) 가이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양망기
KR100587232B1 (ko) 선박용 양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