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901B1 -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 Google Patents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901B1
KR101817901B1 KR1020170085869A KR20170085869A KR101817901B1 KR 101817901 B1 KR101817901 B1 KR 101817901B1 KR 1020170085869 A KR1020170085869 A KR 1020170085869A KR 20170085869 A KR20170085869 A KR 20170085869A KR 101817901 B1 KR101817901 B1 KR 10181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motor
line
guide 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관
박용석
박수현
윤희복
홍성완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7008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줄권양구동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릿줄권양구동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모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원줄권양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투승된 원줄을 권양할 수 있는 원줄권양기, 상기 원줄권양기 전면에 형성되어 투승된 원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모릿줄권양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타측에 연결되어 투승된 모릿줄을 양승하는 모릿줄라인홀러 및 상기 모릿줄라인홀러 주변부에 위치하여 모릿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모릿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함으로써 양승 시, 장력증가에 의한 기계고장 및 작업자 안전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자동화된 안전조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Line hauler for hairtail fishing}
본 발명은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A01K 77/00)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끌낚시 어구 양승 시, 끌낚시 어구의 장력이 증가하면 권양기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승장치의 기계고장 및 작업자 안전을 도모한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갈치(Trichiurus lepturus)는 농어목 갈치과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 동중국해, 발해, 일본 서부 및 큐슈 연안 등에 넓게 분포하는 난류성 어종이다. 갈치는 월동기간인 1~3월에 제주도 서남방과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분포하며, 4월부터 북상하기 시작해 7~9월에는 남해안과 서해남부 연안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등어, 멸치와 함께 국내 대표적 어획 대상종으로 1974년 약 16만톤의 어획량을 기록했으며, 1980년대 12만톤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 41,049톤, 2016년 33,291톤으로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또한 갈치는 야행성 어종으로 낮 동안 수심이 깊은 곳에 머물다가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수면위로 떠오르게 된다. 불빛을 보면 따라오는 습성이 있어 집어등에 반응한다.
갈치 어획은 우리나라 연근해의 대표적인 어업 중 하나인 채낚기 어업으로 실시되어 왔다. 채낚기 어업은 낚싯대는 끝에 약 50m의 모릿줄을 달고 모릿줄의 맨 끝에는 800∼1,200g 정도의 추를 단 후, 추에서 1m 떨어진 곳에서부터 약 2m 간격으로 낚시가 달린 아릿줄(2m)을 15여개 단다. 또한 모릿줄 중 낚시가 부착된 부분의 양끝에는 도래를 부착하여 낚싯줄의 꼬임과 낚시 간의 엉킴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미끼는 갈치, 꽁치 등을 주로 사용하며, 해가 질 무렵부터 집어등을 켜서 갈치 및 갈치의 먹이생물을 유집한 후, 보통 1인이 2개의 낚시대를 사용하여 번갈아 가며 조업한다.
낚시 투입은 먼저 추를 돌리면서 먼 곳에 던져놓고 낚시에 미끼를 끼워 미리 정리해 놓은 미끼수납띠에서 낚시를 하나씩 떼어 같이 투입하며, 갈치가 미끼를 입질을 한다고 느껴지거나 물었다고 생각되면 낚시대를 움직여 갈치가 낚시 바늘에 잘 끼도록 한 후, 손으로 모릿줄을 감아 올리면서 갈치를 어획한다. 이러한 조업은 해진 후부터 해가 뜰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채낚기어업은 노동 집약적인 조업 구조이고, 집어등 사용에 많은 예너지가 필요하다. 최근 승선 기피에 의한 선원 구인난이 심각하고 어업종사자가 매년 감소하면서 고령화 추세에 있기 때문에 해가 갈수록 어려움이 있으며 연료 등의 출어 경비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 집약적인 갈치 채낚기 어업보다는 기술집약적인 끌낚시 어업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끌낚시 어업이란 회유성 어종 중 미끼에 대해 적극적 행동을 보이는 어종을 주 대상으로 낚시 줄에 한 개 또는 여러개의 낚시를 달아 배가 끌고 가면서 대상 생물이 낚시를 물도록 하여 잡는 어업을 말한다.
끌낚시는 원줄에 모릿줄 3~5개를 달고 각 모릿줄 끝에는 인공미끼를 달아 조업한다. 예인 중 낚시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낚시줄에는 추를 적당한 간격으로 여러 개 단다. 이때 낚싯줄마다 추의 수를 달리하여 낚시가 위치하는 깊이를 조절한다.
끌낚시에는 원줄과 모릿줄, 낚시가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낚시에는 낚시바늘 및 인공미끼가 연결되어 있어, 투승과 양승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줄이 엉키기 쉽기 때문에 매우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였으며, 투승과정에 빠른 손놀림으로 낚시줄을 엉키지 않게 투승하고 양승과정에서도 다음 투승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숙련된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보편적으로 끌낚시로 조업할 때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자동화 장비는 납이 달린 원줄을 감아올리는 양승기와 모릿줄을 당겨 올리는 양승기가 있다. 이러한 끌낚시 조업은 양승기를 사용하여 권양드럼에 감긴 무거운 원줄과 발줄을 해권하면서 80여개의 낚시를 저층에 침강시켰다가, 어획 시 양승기로 원줄을 권양한 후 모릿줄을 인력으로 양승하면서 아릿줄의 어획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 때 대상어 여러 마리가 한 번에 어획되면 인력으로 모릿줄을 양승하는 작업이 아주 힘들기 때문에 23시간 힘을 소진하면서 어구와 어획물을 인양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좋은 어장에서는 많은 어선이 밀집하여 조업하는데, 앞으로 갈치끌낚시에서 사용하려는 장비를 사용하여 1인이 조업하기 위해서는 안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어선이 호어장에 밀집할 경우 조업이 곤란하고 그 것이 어획량의 감소로 연결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1~2인이 승선 조업할 수 있는 끌낚시어구어법 도입과 조업 자동화 장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특히 어업종사자의 고령화, 인력난 등에 따라 투승과정의 자동화가 필요하며, 특히 1인 승선 조업이 가능하도록 양승 작업 경감과 양승 과정에서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5879 호에서는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모터; 선박에서 투승된 낚싯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 아래에서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로 낚싯줄을 상기 거치대의 거치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 및 그 외주면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름 접촉하면서 상기 낚싯줄에 장력을 부가하여 상기 낚싯줄이 상기 구동풀리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도록 하는 텐션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3895 호에서는 주요 동력원인 모터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를 정지상태로 변환시키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거치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동작하도록 연결시키는 링크장치; 상기 하우징의 특정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메인풀리; 상기 메인풀리의 외주면에 접하고 상기 메인풀리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낚시줄을 양승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보조풀리; 상기 메인풀리와 일직선상의 하부에 설치되고, 채낚기의 양승시 낚시줄에 꿰어진 납추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경량형 채낚기용 양승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7427 호에서는 유입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인양롤러의 하부 양측에 인입측볼롤러와 출력측볼롤러를 각각 굴대 설치하여 인입측볼롤러를 통해 인입되는 견인로프를 인양롤러로 회권시킨 후에 출력측볼롤러를 통해 출력토록 하되, 상기 인양롤러를 더블형인양롤러로 형성하고, 상기 더블형인양롤러의 하측에서 인입측과 출력측에는 인입측볼롤러와 출력측볼롤러를 각각 굴대 설치하고 상기 인입측볼롤러와 출력측볼롤러의 사이 중앙에는 방향전환볼롤러를 소정의 각도로 틀어 굴대 설치하여, 인입측볼롤러를 통해 인입되는 견인로프를 일측의 인양롤러로 회권시키고 방향전환볼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시키며 타측의 인양롤러로 회권시킨 후에 출력측볼롤러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조업용 더블롤러형 양승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6820 호에서는 낚시줄을 감기 위한 두 개의 보조롤러, 소인양롤러, 보조인양롤러, 대인양롤러; 상기 두 개의 보조롤러, 소인양롤러, 보조인양롤러, 대인양롤러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두 개의 제1축, 제3축, 제4축, 제5축; 및 상기 두 개의 제1축, 제3축, 제4축, 제5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보조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양승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끌낚시 어구를 자동적으로 손쉽게 양승할 수 있고, 양승 시, 어구 장력이 증가하면 권양기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승장치의 기계고장 및 작업자 안전의 위험요소를 제거한 본 발명의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와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끌낚시 어업에서 끌낚시 어구를 양승하는 경우, 추나 분동이 튀거나 낚싯줄 장력이 증가하여 어구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최소의 인원이 어려움없이 손쉽게 양승할 수 있는 자동화된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줄권양구동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릿줄권양구동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모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원줄권양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투승된 원줄을 권양할 수 있는 원줄권양기, 상기 원줄권양기 전면에 형성되어 투승된 원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모릿줄권양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타측에 연결되어 투승된 모릿줄을 양승하는 모릿줄라인홀러 및 상기 모릿줄라인홀러 주변부에 위치하여 모릿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모릿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이용함으로써 끌낚시 어구를 낚시줄 엉킴없이 자동적으로 손쉽게 양승할 수 있고, 양승 시, 어구의 장력이 증가하면 권양기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승장치의 기계고장 및 작업자 안전의 위험요소를 제거한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하여 어업인의 구인난, 어촌의 고령화에 따라 노동집약적 조업과정을 자동화 및 안전조업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과하중 발생시 모터 보호용 요철 클러치가 장착된 원줄권양기의 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구동모터 배치와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양승동작 제어 결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측면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원줄가이드롤러와 리밋스위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원줄 양승 시(A) 및 분동 인양 시(B)의 리밋스위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가이드롤러 및 걸쇠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원줄이 걸쇠에 연결되어 어획량 추정장치로 신호를 보내도록 한 구성을 나타낸다.
갈치는 주로 매년 511월에 제주연안으로 어군을 형성하여 회유하는 어종으로 어선어업 종사자에게 주요한 어업 대상종이면서, 제주 연근해에서 채낚시와 주낙어구에 의해 어획되고 있다. 채낚시와 주낙으로 갈치 어획 시 다수의 인력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인력난과 연료 등의 출어 경비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어업 경영 여건을 개선하려면, 1~2인이 승선 조업할 수 있는 끌낚시어구어법 도입과 조업 자동화 장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1인 조업하기 위해서는 양승과정에서 발동 또는 분동이 인양되면서 튀는 문제가 있어, 분동이 선상으로 올라올 때까지 조업자가 어구의 거동을 감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일반적인 유압 작동식으로는 양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정지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분동이 선상이 올라오는 동시에 원줄을 권양하는 릴이 자동적으로 정지할 수 있으며, 원줄권양기를 구동하여 원줄을 권양하고, 전기 모터로 라인홀러를 구동하여 모릿줄을 양승할 수 있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안출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9),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줄권양구동모터(10),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릿줄권양구동모터(15), 상기 하우징(9)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모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 상기 원줄권양구동모터(10)와 컨트롤러(11)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9) 일측에 배치되어 투승된 원줄을 권양할 수 있는 원줄권양기(1), 상기 원줄권양기(1) 주변부에 형성되어 투승된 원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8), 상기 모릿줄권양구동모터(15)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9) 타측에 연결되어 투승된 모릿줄을 양승하는 모릿줄라인홀러(2) 및 상기 모릿줄라인홀러(2) 주변부에 위치하여 모릿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모릿줄가이드(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줄권양기(1)는 장구형으로 제작된 릴에 납이 부착된 원줄이 감기도록 하였으며, DC24V 450W의 모터로 구동되고, 권양기에 감긴 원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낚시 어구를 목적으로 하는 수층에 부설되도록한 후 릴의 구동을 정지하였을 때 어구의 장력이 릴을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감속비 45:1 웜기어를 사용하였다.
모릿줄라인홀러(2)는 모릿줄 양승 기능을 갖추도록 구동 마찰차와 피동 마찰차로 구성되었다. 모릿줄라인홀러(2) 주변부에는 모릿줄가이드(3)를 장착하여 권양 시 모릿줄이 엉키거나 롤러에 눌리면서 마찰차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였다. 모릿줄라인홀러(2)는 DC24V 150W의 모터로 구동되게 설계하였다.
또한, 모터 컨트롤러 등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비하여 스위치(4)를 자동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양승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수동으로 조작하여 계속 조업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으며, 이 때 원줄권양기(1)와 모릿줄라인홀러(2)의 속도 조절만 할 수 없을 뿐,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배선하였다. 자동 조작 시에는 분동이 현장에 설치한 가이드롤러의 스위치에 접촉하면 전기 신호를 보내어 권양기가 정지하는 구조이며, 원줄권양기와 모릿줄라인홀러의 속도와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과하중 발생 시 모터 보호용 요철 클러치가 장착된 원줄권양기의 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조업 중 원줄을 릴에 감을 때 모릿줄 또는 아릿줄이 암초 등에 걸리거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면, 권양기의 원줄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권양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원줄을 정상적으로 권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면 어구가 해저로부터 일정 이상의 장력을 계속 받게 되고 종국에는 어구가 파단된다.
원줄이 파단되면 어구 제조 및 조립에 시간이 소요되고 조업 경비가 증가와 더불어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하며,원줄 파단 시 반작용으로 튕겨나간 원줄이 조업자에게 위해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특히 1인 조업 상황에서는 큰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권양기 측면 외부에 클러치(6)를 만들고 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권양기 구동 축에도 동일한 모양의 클러치 접촉부를 장착하였다. 클러치(6)는 보편적으로 릴과 구동축 사이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있다가 어구가 암초에 걸리는 등 과도한 수중 장력이 발생하여 한계에 다다르게 되면, 맞물려 있던 클러치는 서로 해제되면서 권양 릴이 헛돌게 되어 권양기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구동모터 배치와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한 대의 어로 장비에 원줄 권양과 모릿줄 양승 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로서, 소형 어선에서는 대체적으로 직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줄권양기(1)와 모릿줄라인홀러(2)를 구동하는 동력은 직류모터를 채용하였다.
주간에 서식층이 깊은 갈치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끌낚시는 표층 끌낚시에 비하여 모릿줄의 총 연장 길이가 길고 조업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권양기의 권양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원줄권양기(1)의 양승속도는 0.6
Figure 112017064769497-pat00001
이었다.
조업 중의 원줄 장력은 1,000N이라고 생각되므로 고역량의 권양기를 필요로 하였으나, 앞으로는 권양기의 양승 하중은 2,900N을 기본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권양기의 출력
Figure 112017064769497-pat00002
를 다음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7064769497-pat00003
(1)
식 (1)에서 F는 양승 정격 하중 [N], V는 속도 [m/s]이다. 또 권양기의 출력과 구동용 모터 출력
Figure 112017064769497-pat00004
의 관계는 기계 효율을 η라고 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Figure 112017064769497-pat00005
(2)
식 (2)에서 구동용 모터 출력은 양승 속도에 대응하는데,일반적으로 토크 효율은 75~85%이다. 식 (2)에서 양승 하중이 2,900N, 토크 효율이 80%일 때 모터의 출력은 2,175W가 된다. 450W 모터에 감속비가 1:45인 감속기를 사용할 경우 역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20,250W의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한 모터의 용량은 필요출력보다 충분히 큰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양승동작 제어 결선도이다. 끌낚시조업은 원줄을 양승한 후 모릿줄을 양승하기 때문에 권양기과 라인홀러를 동시에 구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도 4에 도시한 결선도와 같이 직류 모터와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전압을 제어하면 효율적으로 권양기와 라인홀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험운용에 지장이 없었다. 모터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제어하여 권양기와 라인홀러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종래의 양승기는 일반적으로 원줄만을 양승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줄 양승 후, 모릿줄과 아릿줄은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양승하고 이를 정리해야 했기 때문에 끌낚시 조업은 작업량이 매우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는 원줄 권양을 위한 원줄권양구동모터(10) 및 모릿줄 권양을 위한 모릿줄권양구동모터(15)를 두고 이들의 작동을 콘트롤러(11)로 조절하도록 하여, 원줄과 모릿줄은 각각 원줄권양기(1)와 모릿줄라인홀러(2)에 의해 양승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작업자가 적은 노동력으로도 용이하게 끌낚시를 양승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측면 사진이다. 모릿줄라인홀러(2)는 원줄과 연결되는 모릿줄을 양승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 모터와 역회전 방지용 웜기어, 구동마찰차(12), 피동마찰차(13), 모릿줄가이드(3), 피동마찰차레버(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마찰차(12)와 피동마찰차(13)는 모릿줄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모릿줄을 당겨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모릿줄은 구동마찰차(12)와 피동마찰차(13) 사이에 삽입하여 마찰차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도록 하였다. 피동마찰차레버(14)는 구동마찰차(12)와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모릿줄은 구동마찰차(12)와 피동마찰차(13)와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지만, 마찰력이 약하면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모릿줄을 양을 양승할 수 없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피동마찰차레버(14)를 이용하여 피동마찰차를 구동마찰차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크게 하여 모릿줄을 슬립하지 않고 양승할 수 있었다. 피동마찰차레버(14)의 상부는 스프링으로 하우징(9)과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9)에 스프링을 착탈할 수 있는 체결부를 장착하였다.
모릿줄가이드(3)는 모릿줄을 양승할 때 모릿줄이 구동마찰차에 잘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모릿줄과 구동마찰차와의 마찰력을 높여 부차적인 양승력을 얻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 모양으로 만들어서 본체에 장착하였다. 모릿줄 가이드를 본체 후면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 결과, 모릿줄은 모릿줄 가이드 롤러에 유도되어 모릿줄을 양승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가이드롤러(8)와 리밋스위치(7)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과 같이 원줄을 권양기에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를 제작하여 선미의 현장(舷牆: 파도로부터 사람, 짐 등을 보호하기 위해 갑판 가장자리에 설치한 장벽)에 장착하였다. 원줄(b)이 원줄권양기(1)에 골고루 감길 수 있도록 원줄 가이드 본체가 현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투승된 어구의 원줄은 낚싯대에 연결되어 있게 되는데, 의사미끼에 의해 유인된 대상어가 낚시에 걸리면 낚싯줄을 양승한다. 먼저 원줄(b)을 가이드롤러(8) 사이에 끼우고 가이드롤러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잠금장치(8-1)를 잠가 원줄이 양승 중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여 원줄이 이탈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원줄은 먼저 실패형태의 원줄가이드(8-2)와 접촉하여 원줄이 양승되면서 원줄가이드가 회전하므로 선박과 직접 맞닿아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양승되도록 하였다. 특히 갈치 끌낚시는 원줄에는 작은 추들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원줄이 양승되는 과정에서 원줄가이드(8-2) 및 가이드롤러(8)의 회전으로 마찰 발생을 저감시켰다. 가이드롤러(8)는 전후로 두 쌍을 배치하여 원줄이 원줄권양기(1)에 안전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원줄 양승 시(A) 및 분동 인양 시(B)의 리밋스위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어구에 딸린 분동(a)이 현장으로 인양되면 감지 후 권양기가 정지할 수 있게 가이드롤러(8)의 측면에 리밋스위치(7)를 장착하였다. 원줄 가이드 롤러의 앞쪽에는 봉형태로 제작된 롤러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원줄권양기(1)가 원줄을 인양하다가 분동이 인양되면, 분동(a)이 가이드롤러(8) 사이에 끼면서 원줄에 강한 장력이 걸리게 된다. 이때 지레의 원리에 의해 분동(a)이 가이드롤러(8)를 밀면서 가이드롤러(8)가 원줄의 권양 방향으로 전도되고 동시에 리밋스위치(7)를 작동시켜 원줄권양기(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분동이 인양되는 때를 놓치더라도 분동이 원줄권양기까지 올라가 기계고장을 일으키거나, 분동이 걸렸음에도 양승기가 계속 작동하여 양승기에 과도한 장력이 걸려서 원줄이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는 분동이 인양되어 리밋스위치(7)가 작동되면, 분동을 인양하고, 모릿줄 양승에 대비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의 가이드롤러 및 걸쇠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어구의 수중 장력을 어획량 추정 장치에 전달하고 그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원줄 권양 릴 후면의 원줄 가이드 롤러에 수중 장력 감지 걸쇠(16)를 설치하였다. 걸쇠(16)의 상부는 어구 방향으로 휘어진 모양으로 제조되었으며, 원줄에 고정되는 납이 걸려 장력 값을 전달할 수 있게 상부에 U자 형 홈이 내어져 있다. 걸쇠(16) 중앙 상부에는 고리를 장착하여, 로프로 어획량 추정 장치에 연결되어 어구 예항 시 수중 장력을 측정할 수 있게 배치하였다.
도 9는 걸쇠에 어획량 추정장치와 연결되는 장력전달로프가 연결되어 원줄로부터 받는 장력을 어획량 추정장치로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끌낚시 어구가 투승되면 수중에는 낚시와 모릿줄이, 선상에는 원줄이 남게되고 원줄에는 침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납이 고정부착되어있다. 원줄에 고정된 납을 걸쇠상부 U자 형 홈에 걸어두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어선은 끌낚시를 끌면서 어획하게 된다. 이때 모릿줄에 달린 낚시에 갈치가 어획되면 장력값이 높아져, 원줄을 선측 밖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당겨진 힘을 장력전달로프를 통해 어획량추정장치로 전달하여 알람 등의 신호를 발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끌낚시 어업에서 끌낚시 어구를 낚시줄 엉킴없이 자동적으로 손쉽게 양승할 수 있고, 양승 시, 어구의 장력이 증가하면 권양기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승장치의 기계고장 및 작업자 안전의 위험요소를 제거한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를 제공함으로써 어업인의 구인난, 어촌의 고령화에 따라 노동집약적 조업과정을 자동화 및 안전조업을 도모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 : 원줄권양기 2 : 모릿줄라인홀러
3 : 모릿줄가이드 4 : 스위치
5 : 리모컨 6 : 클러치
7 : 리밋스위치 8 : 가이드롤러
8-1 : 가이드롤러잠금장치 8-2 : 원줄가이드
9 : 하우징 10 : 원줄권양구동모터
11 : 컨트롤러 12 : 구동마찰차
13 : 피동마찰차 14 : 피동마찰차레버
15 : 모릿줄권양구동모터 16 : 걸쇠
a : 분동 b : 원줄

Claims (5)

  1. 원줄권양 구동모터와 모릿줄권양 구동모터가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모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원줄권양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투승된 원줄을 권양하는 원줄권양기, 상기 원줄권양기 전면에 형성되어 투승된 원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후측에 원줄의 수중 장력을 어획량 추정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수중 장력 감지 걸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릿줄권양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 연결되어 투승된 모릿줄을 양승하는 모릿줄라인홀러, 상기 모릿줄라인홀러 전면에 위치하여 모릿줄의 엉킴을 방지하는 모릿줄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면에는 기계고장 시에도 수동으로 원줄을 감아올릴 수 있도록 비상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구동모터와 상기 원줄권양기가 연결되는 축부분에는 클러치가 형성되어 과도한 장력이 걸렸을 때 원줄권양기가 자동으로 풀려 기계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2개의 수직봉이 세워진 11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측에는 리밋스위치가 형성되어 원줄 권양 시 일정한 장력이 걸리면 가이드롤러가 젖혀져 리밋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5. 삭제
KR1020170085869A 2017-07-06 2017-07-06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KR10181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69A KR101817901B1 (ko) 2017-07-06 2017-07-06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69A KR101817901B1 (ko) 2017-07-06 2017-07-06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901B1 true KR101817901B1 (ko) 2018-01-11

Family

ID=610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69A KR101817901B1 (ko) 2017-07-06 2017-07-06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9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42B1 (ko) * 2020-01-30 2020-08-19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채낚기 어선용 투승기
KR20200097565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KR20220068621A (ko) * 2020-11-19 2022-05-26 (주)한국지앤씨 부하 감응형 양승기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KR102648660B1 (ko) * 2023-09-27 2024-03-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좌우 이동이 가능한 채낚기용 양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31B1 (ko) * 2011-12-19 2013-05-1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끌낚시용 양승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31B1 (ko) * 2011-12-19 2013-05-1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끌낚시용 양승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65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KR102229280B1 (ko) * 2019-02-08 2021-03-18 (주)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KR102145142B1 (ko) * 2020-01-30 2020-08-19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채낚기 어선용 투승기
KR20220068621A (ko) * 2020-11-19 2022-05-26 (주)한국지앤씨 부하 감응형 양승기
KR102604145B1 (ko) * 2020-11-19 2023-11-20 (주)한국지앤씨 부하 감응형 양승기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KR102648660B1 (ko) * 2023-09-27 2024-03-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좌우 이동이 가능한 채낚기용 양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901B1 (ko)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CN101379959B (zh) 海面自动钓捕(渔)机
KR101817900B1 (ko) 갈치 끌낚시용 투승기
US7111803B2 (en) Cable winch system
CN210313256U (zh) 一种船舶起笼起网延绳钓作业设备
CN108935364B (zh) 河豚鱼钓捕装置
CN108935362B (zh) 河豚鱼钓捕方法
CN201938252U (zh) 一种钓捕巨型鱿鱼的设备
CN103548790B (zh) 一种金枪鱼延绳钓钓线的干线理线机
CN213369402U (zh) 一种高实用性的鲍鱼养殖平台
KR200416611Y1 (ko) 오징어 날날이 낚시
CN110731315B (zh) 诱捕式刺网捕捞装置
US6631866B1 (en) Device for fly-fishing
CN103548793A (zh) 一种延绳钓支线的整理装置
CN112471088B (zh) 一种自动鱿钓设备
KR101263131B1 (ko) 끌낚시용 양승기
CN208242643U (zh) 滚筒式河豚鱼钓装置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CN105216977A (zh) 一种中华绒螯蟹底拖网捕捞船
CN112471093B (zh) 一种转动式鱿鱼自动钓机
CN113892453B (zh) 一种海上养殖用网箱
CN217547051U (zh) 一种渔竿线轮用卷筒
CN218559115U (zh) 一种拖网渔船
CN216088407U (zh) 一种用于打捞挂底假饵的救饵器
CN212852204U (zh) 一种农田水力工程的虾池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