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220A - 장력감소식 윈치 - Google Patents

장력감소식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220A
KR20130066220A KR1020110132954A KR20110132954A KR20130066220A KR 20130066220 A KR20130066220 A KR 20130066220A KR 1020110132954 A KR1020110132954 A KR 1020110132954A KR 20110132954 A KR20110132954 A KR 20110132954A KR 20130066220 A KR20130066220 A KR 2013006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nch
tension
winch rop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석
Original Assignee
(유)디에스이지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디에스이지휴먼텍 filed Critical (유)디에스이지휴먼텍
Priority to KR102011013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220A/ko
Publication of KR2013006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2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varying rope or cable tension, e.g. when recovering craft fro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33Flui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드럼에 윈치로프를 권취함에 있어서 윈취로프의 장력을 사전에 감소시킨 상태에서 권취드럼에 권취함에 따라 중량체의 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로프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장력감소식 윈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는, 제 1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제 1 지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윈치로프가 최종 권취되며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권취드럼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트래버스유닛과, 상기 트래버스유닛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프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상기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하는 장력감소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력감소식 윈치{TENTION-RELEXING TYPE WINCH}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닻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소형잠수정 등을 견인할 때, 또는 그물을 감아 올릴 때,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선박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winch)는 원통형의 드럼에 윈치로프(와이어)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드럼 수에 따라 단동, 복동, 다동 윈치로 구분되며, 기계공장을 비롯하여 토목건축현장, 선박, 광산 등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들 중 특히, 선박 내에서 사용되는 윈치는 주로 닻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소형잠수정 등을 견인할 때, 그물을 감아 올릴 때, 또는 대형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박용 윈치는 그 동력원에 따라 크게 PTO(Power Take Off) 윈치, 유압윈치, 전동윈치로 구분되는데, PTO 윈치는 선박엔진의 주기관에서 동력을 인출하여 구동되는 윈치로서 대형 수하물을 하역할 때 사용되는 트롤윈치 등이 이에 속하고, 유압윈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동력을 조달하는 윈치로서, 파워를 끌어내기 위한 파워펌프가 별도로 장착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며, 전동윈치는 선박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한 후 감속기어를 통해 토크를 높이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윈치로서, 그 설치나 사용이 간단하고 쉬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박용 전동윈치의 일 예로,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9-0022005호 (1999.06.25. 공개)에는 브래킷으로 선체 등에 고정시킬 수 있고 내부에는 전동모터가 내설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권취드럼이 결합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출력축과, 전동모터로부터 증폭된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전동모터와 회선으로 연결되어 전동모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윈치가 공개된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1027398호(2011.03.30.)에는 동력원과 연결된 구동기어, 구동기어의 축상에 고정된 권취드럼,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윈치로프, 구동기어의 축을 고정하는 드럼브래킷을 포함하는 윈치장치에서,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권취유도홈과, 상기 구동기어와 치결합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상기 권취드럼과 평행하게 상기 드럼브래킷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안내홈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직하방 위치인 상기 드럼브래킷의 바닥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윈치로프가 관통되는 로프안내공 및 상기 로프안내홈에 걸림되는 안내돌기를 갖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정브래킷으로 구성된 선박용 소형 윈치장치가 공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선박용 전동윈치의 경우에는 윈치로프를 권취드럼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샤프트(트래버스유닛에 해당)를 거치기는 하지만 전동모터에 직결되는 권취드럼에 직접 윈치로프를 감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권취시 윈치로프에 상당한 장력이 가해져 권취가 용이하지 않는 관계로 적은 하중의 중량체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윈치로프에 가해지는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윈치로프가 끊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윈취로프의 장력을 사전에 감소시킨 상태에서 윈치로프를 권취드럼에 최종적으로 권취시킴에 따라 중량체의 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로프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장력감소식 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제 1 지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윈치로프가 최종 권취되며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권취드럼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트래버스유닛과, 상기 트래버스유닛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프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상기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하는 장력감소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력감소유닛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제 2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제 2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윈치로프가 최초로 견인되어 안내되는 다수의 제 1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제 1 견인풀리와,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연결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홈과 함께 견인트랙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제 2 견인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로프는 상기 제 1 견인풀리와 상기 제 2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돌려져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상기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력감소유닛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 상에서 상기 제 1 견인풀리의 후방에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제 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롤러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 상에서 상기 제 2 견인풀리의 전방에 상기 제 2 견인풀리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제 2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견인풀리는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비해 일측 및 상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유압모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에 따르면, 윈치로프를 최종 권취하는 권취드럼의 전방에, 윈치로프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하는 장력감소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윈취로프의 장력을 사전에 감소시킨 상태에서 윈치로프를 권취드럼에 최종적으로 권취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량체의 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로프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져 절단되는 안전사고 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의 측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의 평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1)는, 윈취로프(3)의 장력을 사전에 감소시킨 상태에서 권취드럼(20)에 최종적으로 권취시킴에 따라 중량체의 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로프(3)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브래킷(11)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프레임(10)과, 제 1 베이스프레임(10)의 제 1 지지브래킷(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윈치로프(3)가 최종 권취되며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21)가 연결되어 권취드럼(20)과, 권취드럼(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윈치로프(3)가 권취드럼(20)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트래버스유닛(30)과, 트래버스유닛(3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윈치로프(3)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43, 46)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트래버스유닛(30)으로 제공하는 장력감소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베이스프레임(10)은 권취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권취드럼(20)의 양측에서 권취드럼(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브래킷(11)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제 1 베이스프레임(10)의 제 1 지지브래킷(11)에는 권취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권취드럼(20)은 윈치로프(3)를 최종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권취드럼(20)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모터(21)가 연결된다. 제 1 구동모터(21)는 감속기 일체형 전동모터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큰 하중의 중량체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권취드럼(20)의 전방에는 트래버스유닛(30)이 설치되는데, 이 트래버스유닛(30)은 권취드럼(20)의 회전과 연동회전되면서 윈치로프(3)가 권취드럼(20)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가이드롤러에 해당하는 것으로, 권취드럼(2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31)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래버스유닛(30)은 통상의 윈치 뿐만 아니라 낚시용 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권취장치에 적용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베이스프레임(10), 권취드럼(20) 및 트래버스유닛(30)은 종래의 선박용 윈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성부품에 해당된다.
전술한 트래버스유닛(30)의 전방에는 장력감소유닛(40)이 이격 설치되는데, 이 장력감소유닛(40)은 윈치로프(3)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43, 46)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트래버스유닛(3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제 2 지지브래킷(42)이 구비되는 제 2 베이스프레임(41)과, 제 2 베이스프레임(41)의 제 2 지지브래킷(42)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윈치로프(3)가 최초로 견인되어 안내되는 다수의 제 1 가이드홈(44)이 구비되는 제 1 견인풀리(43)와, 제 1 견인풀리(43)에 연결되는 제 2 구동모터(45)와, 제 2 베이스프레임(41)의 제 2 지지브래킷(42)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제 1 가이드홈(44)과 함께 견인트랙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 가이드홈(47)이 구비되는 제 2 견인풀리(46)를 포함한다.
특히 제 2 견인풀리(46)는 제 1 견인풀리(43)에 비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오프셋됨과 동시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오프셋 배치구성에 의해 윈치로프(3)는 제 1 견인풀리(43)의 일측단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홈(44)을 통해 최초 견인된 후 제 1 견인풀리(43)의 제 1 가이드홈(44)과 제 2 견인풀리(46)의 제 2 가이드홈(47)에 의해 형성되는 견인트랙에 걸쳐 수회 감아돌려진 다음 제 2 견인풀리(46)의 타측단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홈(47)을 통해 배출되어 트래버스유닛(30)으로 제공된다.
제 1 견인풀리(43)에 연결되는 제 2 구동모터(45)는 감속기 일체형 전동모터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큰 하중의 중량체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견인풀리(46)에도 구동모터가 별도 연결될 수도 있지만, 구동모터가 연결되지 않더라도 제 1 견인풀리(43)와 제 2 견인풀리(46)에 걸쳐 수회 감아돌려짐과 동시에 제 2 견인풀리(46)는 제 1 견인풀리(43)에 비해 상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됨에 따라 윈치로프(3)에 의해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해 제 1 견인풀리(43)와 함께 회전된다.
윈치로프(3)는 제 1 견인풀리(43)의 제 1 가이드홈(44)과 제 2 견인풀리(46)의 제 2 가이드홈(47)에 의해 형성되는 견인트랙에 걸쳐 제 1 견인풀리(43)와 제 2 견인풀리(46) 사이에 수회 감아돌려지는데, 이 경우에 윈치로프(3)에 가해지는 장력은 1회 감아돌릴수록 반으로 양분됨에 따라 장력감소유닛(40)을 거치면서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트래버스유닛(30)으로 제공되어 최종적으로 권취드럼(20)에 권취된다.
또한 제 2 베이스프레임(41)의 제 2 지지브래킷(42) 상에서 제 1 견인풀리(43)의 후방에는 제 1 이탈방지롤러(4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제 1 이탈방지롤러(48)는 제 1 견인풀리(43)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 1 가이드홈(44)의 개방상단 일부를 폐쇄함으로써 윈치로프(3)가 제 1 가이드홈(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베이스프레임(41)의 제 2 지지브래킷(42) 상에서 제 2 견인풀리(46)의 전방에는 제 2 이탈방지롤러(4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제 2 이탈방지롤러(49)는 제 2 견인풀리(46)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 2 가이드홈(47)의 개방측 일부를 폐쇄함으로써 윈치로프(3)가 제 2 가이드홈(4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1)의 경우에는, 윈치로프(3)를 최종 권취하는 권취드럼(20)의 전방에 장력감소유닛(40)이 설치되어 윈치로프(3)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제 1 견인풀리(43)와 제 2 견인풀리(46)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함에 따라, 윈취로프(3)의 장력을 사전에 감소시킨 상태에서 윈치로프(3)를 권취드럼(20)에 최종적으로 권취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량체의 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로프(3)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져 원치로프(3)가 절단되는 안전사고 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소식 윈치(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박 상에서 예를 들어 닻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소형잠수정 등을 견인할 때, 또는 그물을 감아 올릴 때,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선박 이외에 영역에 작용되는 윈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 장력감소식 윈치
3 : 윈치로프
10 : 제 1 베이스프레임
11 : 제 1 지지브래킷
20 : 권취드럼
21 : 제 1 구동모터
30 : 트래버스유닛
40 : 장력감소유닛
41 : 제 2 베이스프레임
42 : 제 2 지지브래킷
43, 46 : 견인풀리
44 : 제 1 가이드홈
45 : 구동모터
47 : 제 2 가이드홈
48 : 제 1 이탈방지롤러
49 : 제 2 이탈방지롤러

Claims (5)

  1. 제 1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프레임;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제 1 지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윈치로프가 최종 권취되며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권취드럼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트래버스유닛; 및
    상기 트래버스유닛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프를 최초로 감아올린 후 2개의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 돌려 장력을 감소시킨 다음 상기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하는 장력감소유닛을 포함하는 장력감소식 윈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소유닛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제 2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제 2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윈치로프가 최초로 견인되어 안내되는 다수의 제 1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제 1 견인풀리와,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연결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홈과 함께 견인트랙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제 2 견인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로프는 상기 제 1 견인풀리와 상기 제 2 견인풀리 사이에 수회 감아돌려져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상기 트래버스유닛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소식 윈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소유닛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 상에서 상기 제 1 견인풀리의 후방에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제 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롤러와,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제 2 지지브래킷 상에서 상기 제 2 견인풀리의 전방에 상기 제 2 견인풀리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가 상기 제 2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소식 윈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견인풀리는 상기 제 1 견인풀리에 비해 일측 및 상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소식 윈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감소식 윈치.
KR1020110132954A 2011-12-12 2011-12-12 장력감소식 윈치 KR2013006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954A KR20130066220A (ko) 2011-12-12 2011-12-12 장력감소식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954A KR20130066220A (ko) 2011-12-12 2011-12-12 장력감소식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220A true KR20130066220A (ko) 2013-06-20

Family

ID=4886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954A KR20130066220A (ko) 2011-12-12 2011-12-12 장력감소식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2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902A (zh) * 2013-09-18 2015-03-25 国家电网公司 升降装置
CN104507221A (zh) * 2014-12-17 2015-04-08 大同裕隆环保有限责任公司 组合式矿用防爆兼本安型巷道灯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CN114878052A (zh) * 2022-04-18 2022-08-09 杭州流控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通道宽量程的张力绞车试验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902A (zh) * 2013-09-18 2015-03-25 国家电网公司 升降装置
CN104507221A (zh) * 2014-12-17 2015-04-08 大同裕隆环保有限责任公司 组合式矿用防爆兼本安型巷道灯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CN114878052A (zh) * 2022-04-18 2022-08-09 杭州流控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通道宽量程的张力绞车试验系统
CN114878052B (zh) * 2022-04-18 2024-01-02 杭州流控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双通道宽量程的张力绞车试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6847A (ko) 장력센서가 구비된 장력감소식 윈치
US8640895B2 (en) Drum tens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hoist wire rope
US3300187A (en) Semi-automatic warping and mooring arrangement
JP7367011B2 (ja) 2本ロープ式運転および3本ロープ式運転において牽引ロープまたは巻上げロープをそれぞれ強制的に繰り出す汎用キャリッジ
KR101085826B1 (ko)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US4476801A (en) Mooring device
CN104671136B (zh) 一种收放拖曳海缆埋设机用双卷筒摩擦绞车
US9950915B2 (en) Winch system
KR102511234B1 (ko) 해상 리프팅 크레인
KR20130066220A (ko) 장력감소식 윈치
KR101475730B1 (ko)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CN203860276U (zh) 高效液压绞网机
CN207330157U (zh) 一种重力式电缆卷筒
US4453642A (en) Carriage-mounted skidding line take-up apparatus
CN214422150U (zh) 一种电动船用绞车设备
CN209276059U (zh) 一种多卷盘节能绞车
CN103482516B (zh) 一种拖缆绞车
RU2743304C2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0587232B1 (ko) 선박용 양망기
CN212503742U (zh) 一种加装于船舶甲板的液压拖缆绞车
KR100944498B1 (ko)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권양기
CN219652571U (zh) 一种绞盘驱动定位装置
WO2018103001A1 (zh) 钢丝绳张紧装置、张紧方法及工程机械
CN219408715U (zh) 一种海洋深海潜标缆绳投放回收装置
CN210634714U (zh) 一种无离合器的防逆转式液压起锚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