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74Y1 -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74Y1
KR200428074Y1 KR2020060020155U KR20060020155U KR200428074Y1 KR 200428074 Y1 KR200428074 Y1 KR 200428074Y1 KR 2020060020155 U KR2020060020155 U KR 2020060020155U KR 20060020155 U KR20060020155 U KR 20060020155U KR 200428074 Y1 KR200428074 Y1 KR 200428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scrap
conveyor belt
mesh plat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룡
Original Assignee
박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766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2807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운룡 filed Critical 박운룡
Priority to KR2020060020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02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을 재생 처리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진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반원통 형태의 그물판, 상기 그물판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부착된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투입된 몰딩 스크랩이 상기 그물판 내에서 회전되는 상기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분쇄기 ; 일단이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물 중 금속 성분을 분리하는 자석 선별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에서 그 용도를 다하고 남은 스크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금속 성분과 수지 성분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생 처리 시설을 제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자동차, 몰딩, 스크랩, 재생

Description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RECYCLING FACILITY FOR MOLDING SCRAP FOR CA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그물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자석 선별기의 동작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례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절단기
200 : 분쇄기 220 : 그물판
230 : 회전체 231 : 분쇄날
300 : 자석 선별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을 금속 성분과 수지 성분으로 분리하여 회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몰딩은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거나 소음, 빗물 등에 대한 실링 등을 위하여 자동차의 각 부위에 다양하게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용 몰딩 중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을 감싸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띠 형태의 자동차용 몰딩은, 금속판이 연질의 합성수지에 삽입되거나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자동차용 몰딩의 생산과정 또는 설치과정 중에 자동차용 몰딩의 스크랩(SCRAP)이 발생할 경우 스크랩 그 자체로서는 재활용하기에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스크랩을 그대로 폐기할 경우 이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어 폐기하기에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에서 그 용도를 다하고 남은 스크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금속 성분과 수지 성분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생 처리 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 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을 재생 처리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진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반원통 형태의 그물판, 상기 그물판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부착된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투입된 몰딩 스크랩이 상기 그물판 내에서 회전되는 상기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분쇄기 ; 일단이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물 중 금속 성분을 분리하는 자석 선별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들은 상기 회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를 이루며, 상기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가 상기 회전체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상기 분쇄날과 상기 그물판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과 상기 그물판 사이의 간격은 0.8mm~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석 선별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직교하여 마련되는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 내측에 마련되는 자석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크게 절단기(100), 분쇄기(200), 자석 선별기(300)로 이루어지며, 각 장치들 사이에서는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어 절단된 몰딩 스크랩, 분쇄된 몰딩 스크랩 등을 이동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길이가 긴 몰딩 스크랩의 경우 절단기(100)에 투입되어, 길이가 짧은 몰딩 스크랩으로 변화된다.
절단기(100)는 인입다이(110)의 상부에 인입롤러(120)가 마련되며, 몰딩 스크랩은 인입롤러(120)와 인입다이(110)에 맞물려 인입롤러(120)의 회전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
절단기(100)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구동하는 절단칼(130)이 마련되어 인입롤러(120)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송된 몰딩 스크랩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절단기(100)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몰딩 스크랩은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하여 이송되어 분쇄기(200)로 투입된다.
분쇄기(200)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진 호퍼(210)와 상기 호퍼(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그물판(220)과 다수의 분쇄날(231)이 부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30)로 이루어진다.
그물판(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 형태를 이루며, 토출구(221)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221)는 분쇄기(200)에서 분쇄된 몰딩 스크랩이 하부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물판(220)은 그 개방된 부위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 개방된 부위로 후술하는 회전체(230)가 삽입되어 회전된다.
회전체(230)의 주면에는 다수의 분쇄날(231)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30)에 부착된 분쇄날(231)은 회전체(2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232)를 이루며,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232)는 회전체(230)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총 5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232)는 다른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에 대하여 72°(360°/5)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232)의 숫자는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232)를 계단 형태로 배치한 것은 몰딩 스크랩의 분쇄시 회전체(230)에 지나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분쇄날(231)과 그물판(220)이 이루는 간격은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분쇄를 위하여 약 0.8mm~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에 의하면 0.8mm 미만일 경우 회전체(230)에 지나친 부하가 걸리며, 1.3mm를 초과할 경우 금속판과 수지가 서로 이탈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분쇄날(231)은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마모되며, 따라서 분쇄날(231)과 그물판(2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분쇄날(231)이 회전체(230)에 위치를 달리하며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분쇄날(231)에 한쌍의 슬롯 형태의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구멍에 볼트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볼트가 회전체(230)에 결합되면서 분쇄날(231)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슬롯 형태의 구멍을 통하여 볼트에 대한 분쇄날(2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쇄기(200)에 투입된 몰딩 스크랩은 그물판(220)과 회전하는 분쇄날(231) 사이에서 분쇄되어 수지 성분과 금속 성분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분쇄물은 그물판(220)의 토출구(221)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분쇄날(231)과 몰딩 스크랩의 마찰로 인하여 분쇄기(200) 내부에 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기 보호 등을 위하여 미량의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출된 분쇄물은 컨베이어 벨트(12)에 의하여 이송된다.
컨베이어 벨트(12)의 상부에는 자석 선별기(300)가 마련되어 분쇄물 중 금속 성분을 선별하여 분리한다.
자석 선별기(3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와 직교하여 마련되는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301)와 상기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301) 내부에 고정 마련되는 자석체(302)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2)를 따라 이송되는 분쇄물 중 금속 성분은 자석체(302)의 자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 후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301)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자석체(302)가 존재하는 않는 부위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금속 회수함(303)에 모이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12)를 따라 이송되는 분쇄물 중 수지 성분은 수지 회수함(400)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금속 성분은 금속 회수함(303)에 모이게 되며, 수지 성분은 수지 회수함(400)에 모이게 되므로, 금속 성분과 수지 성분을 다시 사용하거나 혹은 재처리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례의 개념도로서, 도 1의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고 상용화한 것이다.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은 그 길이가 매우 다양하므로, 절단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짧게 절단한 후 분쇄기(1차)를 거치는 공정과,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분쇄기(1차)를 거치는 공정을 모두 마련하였으며, 각 공정의 후단에는 자석 선별기(1차)를 통하여 1차로 금속 성분을 회수한 후, 회수되지 않은 분쇄물들은 2차 분쇄기를 통하여 재분쇄한 후 다시 2차 자석 선별기를 통하여 2차로 금속 성분을 회수하고 나머지는 수지 회수함으로 투입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에서 그 용도를 다하고 남은 스크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금속 성분과 수지 성분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생 처리 시설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Claims (5)

  1. 금속판과 수지로 이루어져 띠 형태를 이루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을 재생 처리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이 투입되도록 이루어진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반원통 형태의 그물판, 상기 그물판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부착된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투입된 몰딩 스크랩이 상기 그물판 내에서 회전되는 상기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분쇄기 ;
    일단이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물 중 금속 성분을 분리하는 자석 선별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들은 상기 회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계단 형태로 배치되어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를 이루며, 상기 단위 길이방향 분쇄부가 상기 회전체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상기 분쇄날과 상기 그물판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과 상기 그물판 사이의 간격은 0.8mm~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선별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직교하여 마련되는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선별용 컨베이어 벨트 내측에 마련되는 자석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KR2020060020155U 2006-07-26 2006-07-26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KR200428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55U KR200428074Y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55U KR200428074Y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74Y1 true KR200428074Y1 (ko) 2006-10-04

Family

ID=4177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55U KR200428074Y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637B1 (ko) * 2018-02-21 2018-05-28 다산아이엔디 주식회사 전자제품 몰딩의 고무자석 분리장치
KR101913043B1 (ko) 2017-08-08 2018-10-29 박진규 냉장고도어 가스켓용 자석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043B1 (ko) 2017-08-08 2018-10-29 박진규 냉장고도어 가스켓용 자석분리장치
KR101861637B1 (ko) * 2018-02-21 2018-05-28 다산아이엔디 주식회사 전자제품 몰딩의 고무자석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10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DE69816070T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chredderstaub
EP1572429B1 (en) Pulverization process of a vulcanized rubber material
EP1421995B1 (en) Recycling apparatus for gypsum plasterboards
KR100801418B1 (ko) 자동차 폐유리를 재생하기 위한 분쇄 방법 및 그 장치
CN101541431B (zh) 废物粉碎装置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EP1490182B1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US7182285B1 (en) Tire rubber granulator
CN104014407A (zh) 一种物料破碎装置
KR20110042179A (ko) 타이어들을 위한 미가황 고무 처리된 스틸 코드 재료를 분리하는 방법
KR101500941B1 (ko) 타이어 스틸코드지 분리장치
KR200428074Y1 (ko)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KR19990087302A (ko) 재생 가능한 쓰레기 재료를 분류하고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15444B1 (ko) 미가류 재생타이어의 고무와 철심 분리장치
KR20140103209A (ko) 산업 폐기물 및 지금고철 순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JPH048998Y2 (ko)
KR20040104058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CN106269112A (zh) 一种建筑塑料模板破碎除钉机
JP3624115B2 (ja) 粗大物の破砕装置
KR100886211B1 (ko) 해머를 이용한 건축 폐기물 분쇄장치
KR200236742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JP3295688B2 (ja) 木片チップの回収方式とその装置
CN204367234U (zh) 一种定位塑料撕碎装置
JP2008073609A (ja) ガラス成形体の粉砕機及び粉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114

Effective date: 20081127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30

Effective date: 2009121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324

Effective date: 201102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