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51Y1 - 렌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51Y1
KR200428051Y1 KR2020060019750U KR20060019750U KR200428051Y1 KR 200428051 Y1 KR200428051 Y1 KR 200428051Y1 KR 2020060019750 U KR2020060019750 U KR 2020060019750U KR 20060019750 U KR20060019750 U KR 20060019750U KR 200428051 Y1 KR200428051 Y1 KR 20042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motor
jig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화
Original Assignee
신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화 filed Critical 신희화
Priority to KR2020060019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하우징 내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렌즈배럴의 조립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렌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렌즈하우징 내에 렌즈배럴을 나사 체결하여 렌즈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모터(130)와; 연직 방향의 회동축(131)을 가지면서 상기 모터(130)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지그(140)와; 렌즈하우징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요홈부(152)와 이 제1요홈부(152) 내에 렌즈배럴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요홈부(153)가 형성되되, 상기 지그(140)에 끼워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2요홈부(152)(153)의 중심이 상기 지그(140)의 회동축과 일치하는 안착부(150)와; 상기 지그(140)의 회동축 상에 위치하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부(150)의 상부에서 상하 선형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160)와; 상기 로드부(160)의 하단에 고정되며, 진공 흡착에 의해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픽업부(170)와; 상기 모터(130)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픽업부(170)에 공급되는 진공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유니트(200)로 구성되어, 렌즈 모듈의 조립 공정 중에 렌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립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렌즈 모듈의 모델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렌즈 조립장치, 진공, 렌즈하우징, 렌즈배럴, 렌즈픽업부, 안착부.

Description

렌즈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lens}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지그와 안착부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안착부의 평면구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로드부 구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광센서와 그 높이 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니트와 주변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패널 120 : 제2패널
130 : 모터 140 : 지그
150 : 안착부 152 : 제1요홈부
153 : 제2요홈부 160 : 로드부
170 : 렌즈픽업부 180 : 광센서 높이 조절수단
190 : 광센서 200 : 제어유니트
본 고안은 렌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모듈을 구성한 렌즈하우징 내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렌즈배럴의 조립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렌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회로패턴이 인쇄된 PCB 유니트 위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이미지센서 상부에 렌즈배럴이 조립된 렌즈하우징이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렌즈 모듈을 이루는 렌즈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조립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립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렌즈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각각 고정 포커싱(FF)과 자동 포커싱(AF) 렌즈 모듈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FF 렌즈 모듈은 렌즈하우징(10)에 원통 형상의 수납부(11)가 구비되며, 이 수납부(11)의 내주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렌즈배럴(20)은 원통형상의 바디(21) 상부에 집광을 위하여 고정된 렌즈(22)로 이루어진다.
FF 렌즈 모듈의 조립은 작업자가 렌즈배럴(20)을 고정하기 위한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렌즈하우징(10)의 수납부(11)에 렌즈배럴(20)을 돌려서 조립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AF 렌즈 모듈은 렌즈하우징(30) 중앙에 원통 형상의 수납부가 구비되며, 이 수납부 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블레이드(31)가 구비된다.
이때, 블레이드(31)는 렌즈하우징(30) 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탄성 지지되어 수납된다.
렌즈배럴(40)은 원통형상의 바디(41) 상부에 집광을 위하여 고정된 렌즈(42)로 이루어진다.
AF 렌즈 모듈의 조립은 FF 렌즈 모듈과 동일하게 작업자가 렌즈배럴(40)을 고정하기 위한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렌즈하우징(30)의 블레이드(31)에 렌즈배럴(40)을 돌려서 조립하게 된다.
FA 렌즈 모듈 조립의 경우에는 렌즈배럴(40)을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31)가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조립 과정이 FF 렌즈 모듈에 비하여 상당히 까다롭다.
이와 같이 렌즈 모듈은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직접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에 조립하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상당히 떨어진다.
특히, AF 렌즈 모듈의 경우에는 블레이드(31)가 렌즈하우징(30)에 고정된 상 태가 아니라 탄성 지지되어 수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렌즈배럴(40)을 정확히 조립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렌즈배럴(40)의 정확히 수직한 방향에서 삽입되지 못한 경우에는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렌즈 모듈의 구동 불량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렌즈 모듈은 적용되는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렌즈하우징과 렌즈배럴의 크기나 형상이 상당히 다양하므로, 조립 공정을 자동화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하우징 내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렌즈배럴의 조립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면서도 렌즈 모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모델 변경이 용이한 렌즈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AF 렌즈 모듈과 같이 렌즈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조립이 난이한 경우에도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렌즈 조립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렌즈하우징에 조립되는 렌즈배럴의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어, 렌즈 모듈의 조립 후에 렌즈 포커싱을 최적화하기 위한 후공정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렌즈하우징 내에 렌즈배럴을 나사 체결하여 렌즈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연직 방향의 회동축을 가지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지그와; 렌즈하우징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요홈부와 이 제1요홈부 내에 렌즈배럴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요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그에 끼워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2요홈부의 중심이 상기 지그의 회동축과 일치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그의 회동축 상에 위치하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하 선형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진공 흡착에 의해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픽업부와; 상기 모터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픽업부에 공급되는 진공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장치의 하우징은 수평한 제1패널(110)과, 이 제1패널(110)과 일체로 이루어져서 다수의 버튼(121)과 디스플레이(122)가 설치되는 제2패널(120)로 이루어진다.
제1패널(110)의 하부에는 모터(130)가 설치되며, 모터(130)는 회동축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패널(110)의 상부에는 지그(140)가 구비되며, 이 지그(140)는 모터(130)의 회동축과 연결되어 모터(1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 모터(13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하며, 이러한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모터에 의해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 내에 나사 방향(정회전)으로 조립하기 전에 나사 반대 방향(역회전)으로 렌즈배럴을 일정 시간 동안 회전 구동한 후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렌즈배럴과 렌즈하우징의 나사 조립 과정에서 나사산이 손상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130)가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므로, 렌즈 모듈의 조립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렌즈하우징에서 렌즈배럴의 분해도 가능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모터(130)와 축(131)으로 연결된 지그(140) 상부에는 안착부(150)가 고정되며, 안착부(150)는 지그(140)에 끼워 고정이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지그(140)의 상부에는 다수의 요철(141)이 형성되며, 안착부(150)의 하부에도 요철(141)과 대응되는 요홈(151)이 형성되어, 안착부(150)의 요홈(151)을 지그(140)의 요철(141)과 일치하도록 끼워 조립함으로써 안착부(150)를 지그(14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50)의 상부 면에는 렌즈하우징이 안착 고정되는 제1요홈부(152)와, 이 제1요홈부(152)의 안쪽에 렌즈배럴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요홈부(153)가 형성된다.
제1요홈부(152)와 제2요홈부(153)는 그 중심이 지그(140)의 회동축과 일치하며, 제1요홈부(152)와 제2요홈부(153)는 크기와 형상은 각각 렌즈하우징과 렌즈배럴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서는 조립 렌즈 모듈의 모델이 변경 시에는 그 크기나 형상에 적합한 제1,2요홈부를 갖는 안착부만을 교환하게 된다.
제2패널(120)에는 구동수단에 위해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160)가 설치되며, 특히 로드부(160)는 지그의 회동축 상에 위치한다. 로드부(160)를 상하 구동하게 되는 구동수단은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로드부(160)를 상하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모터와, 이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주지의 랙과 피니언기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로드부(160)가 작동 시에 상단과 하단에서의 가동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주지의 스위치 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는 제어유니트로 전달되어 로드부의 상하 이동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 로드부에는, 로드부가 렌즈를 픽업 시에 작용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로드부(160)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161)과; 이 하우징(161) 내에서 상기 로드부(160)의 상단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2)과; 이 코일스프링(162)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하우징(161)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조작이 가능한 조절노브(163)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로드부 구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하우징(161)은 원통 형상의 수납공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 내에 는 로드부(160), 코일스프링(162)이 삽입되고 상단에서 조절노브(163)가 코일스프링(162)을 지지하도록 나사 체결된다.
조절노브(163)의 상단 면에는 렌치를 고정하기 위한 홈(163a)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홈(163a)에 렌치를 고정하여 조절노브(163)를 회전하여 코일스프링(162)의 압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절노브(164)의 홈(163a)에 렌치를 고정하여 조절노브(163)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게 되며, 로드부(160)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렌즈배럴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렌즈에 가하게 되는 하중을 조절할 수가 있다.
로드부(160)의 하단에는 렌즈를 진공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렌즈픽업부(170)가 설치된다.
렌즈픽업부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러버가 이용되며, 렌즈픽업부 내에 발생된 진공에 의해 렌즈를 고정하게 되므로, 렌즈 모듈의 조립 시에 토오크가 제한되어 조립 과정에서 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픽업부(170)에는 진공라인(171)에 의해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콤퓨레서(미도시)와 연결된다.
진공라인(171)에는 진공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으나, 밸브의 개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가 이 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밸브를 추가하지 않고 제어유니트가 직접 콤퓨레서를 제어하여 렌즈픽업부에 진공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렌즈배럴이 렌즈하우징에 체결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렌즈 모듈의 조립 후에 렌즈 포커싱을 최적화하기 위한 후공정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써, 로드부(160)의 일측에는 브라켓(164)이 고정되며, 제1패널(110)에는 브라켓(164)의 가동 구간 내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수단(18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광센서(1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에 있어 광센서와 그 높이 조절수단(180)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패널(110)에는 연직 방향으로 두 개의 고정바(181)가 설치되며, 이 고정바(181)에는 수평하게 조립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한 가이드바(182)가 구비된다.
가이드바(182)는 하단으로 스프링(183)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단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노브(184)가 가이드바(182)를 지지한다.
노브(184)는 고정바(181) 상단에 고정된 보조바(185)에 나사 체결되며, 노브(184)를 회전하게 되면 노브(184)가 상하 이동하면서 가이드바(18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바(182) 일측에는 광센서(190)가 구비되며, 이 광센서(190)는 발광부(191)와 수광부(192)로 구성된다.
수광부(192)는 발광부(191)의 발광 신호를 감지하며, 발광 신호가 브라켓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에 이 신호를 제어유니트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부(160)가 아래로 이동하여 발광부(191)와 수광부(192) 사이에 브라켓(164)이 위치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광센서(190)의 신호는 제어유니트로 전달된다.
한편, 제어유니트(200)는 광센서(190)에서 전달된 신호를 감지한 후에 모터(130)의 작동을 중단하여 렌즈배럴과 렌즈하우징의 체결 작업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광센서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렌즈하우징에 체결되는 렌즈배럴의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어유니트(200)는 제2패널(120) 내에 구비되며, 렌즈 조립장치에서 발생되는 전반적인 전기적인 신호의 제어와 판단을 수행한다.
즉, 제어유니트(200)는 주변 센서나 제어 버튼의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130), 로드부(60)의 구동수단 및 렌즈픽업부(170)에 발생되는 진공을 단속하기 위한 진공밸브(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니트(200)에는 모터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회로가 추가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게 되며, 센서 등에서 전달된 신호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 시에는 디스플레이(122)에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제어유니트와 연결될 수 있는 주변 센서나 버튼을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로드부나 모터의 작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며 구동 기구의 오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주지의 센서나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제어유니트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장치가 구비됨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를 이용한 렌즈 모듈의 조립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렌즈배럴을 안착부(150)의 제2요홈부(153) 내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 렌즈픽업 버튼을 누르게 된다.
렌즈픽업 버튼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유니트(200)는 로드부(160)를 하강시키게 되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렌즈픽업부(170)에 진공이 발생되도록 한다.
진공이 발생된 렌즈픽업부(170)는 렌즈를 진공 흡착한 후에 다시 상승하게 된다.
렌즈픽업부(170)가 상승한 후에 작업자는 렌즈하우징을 안착부(150)의 제1요홈부(152)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에 렌즈조립 버튼을 누르게 된다.
렌즈조립 버튼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유니트(200)는 로드부(160)를 하강시키게 되며, 렌즈픽업부(170)에 고정된 렌즈배럴은 조립 위치에서 모터(130)가 역방향(나사 체결 반대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에 회전한 후에 정방향(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하여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에 조립한다.
한편, 작업자는 광센서(190)의 높이 조절수단(180)을 조절함으로써, 렌즈배럴의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먼저, 작업자는 조립 작업 전에 높이 조절수단(180)의 높이 조절용 노브(184)를 조절하여 렌즈배럴의 체결 깊이를 결정하게 되면, 렌즈픽업부(170)가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광센서(190)가 브라켓(164)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따라서 제어유니트(200)는 광센서(19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에서 모터(130)의 작동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렌즈배럴의 체결 깊이를 일률적으로 결정하여 렌즈 모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렌즈 모듈의 조립 공정 후에 렌즈 포커싱을 최적화하기 위한 후공정 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렌즈를 진공 흡착하여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에 자동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 공정 중에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렌즈 모듈의 모델이 변경되더라도 렌즈배럴과 렌즈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안착부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모델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에 나사 조립하기 전에 나사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 구동한 후에 나사 조립하게 되므로, 렌즈배럴 을 렌즈하우징에 나사 조립하는 과정에서 나사산이 파손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종래에 조립 공정이 난이했던 AF 렌즈 모듈의 조립 시에 제품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렌즈 조립장치는 렌즈배럴이 렌즈하우징에 체결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됨으로써, 렌즈 모듈의 조립 후에 렌즈 포커싱을 최적화하기 위한 후공정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나사산이 형성된 렌즈하우징 내에 렌즈배럴을 나사 체결하여 렌즈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연직 방향의 회동축을 가지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지그와;
    렌즈하우징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요홈부와 이 제1요홈부 내에 렌즈배럴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요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그에 끼워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2요홈부의 중심이 상기 지그의 회동축과 일치하는 안착부와;
    상기 지그의 회동축 상에 위치하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하 선형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진공 흡착에 의해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픽업부와;
    상기 모터 및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픽업부에 공급되는 진공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로드부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로드부의 상단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하우징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조작이 가능한 조절노브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가동 구간 내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유니트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센서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로부터 상기 렌즈픽업부의 높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유니트는 렌즈하우징 내에 렌즈배럴을 나사 체결 전에 모터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제어하여 렌즈배럴을 렌즈하우징 내에 나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장치.
KR2020060019750U 2006-07-21 2006-07-21 렌즈 조립장치 KR20042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750U KR200428051Y1 (ko) 2006-07-21 2006-07-21 렌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750U KR200428051Y1 (ko) 2006-07-21 2006-07-21 렌즈 조립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435A Division KR20080009033A (ko) 2007-08-01 2007-08-01 렌즈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51Y1 true KR200428051Y1 (ko) 2006-10-04

Family

ID=4177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750U KR200428051Y1 (ko) 2006-07-21 2006-07-21 렌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450B1 (ko) * 2006-11-14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배럴 체결장치
KR100888439B1 (ko) 2007-11-15 2009-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배럴 조립 장치
KR101491634B1 (ko) * 2013-09-27 2015-02-09 제이모션 주식회사 카메라 줌 렌즈 조립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450B1 (ko) * 2006-11-14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배럴 체결장치
KR100888439B1 (ko) 2007-11-15 2009-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배럴 조립 장치
KR101491634B1 (ko) * 2013-09-27 2015-02-09 제이모션 주식회사 카메라 줌 렌즈 조립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051Y1 (ko) 렌즈 조립장치
CN101439611B (zh) 自动丝网印染机中的刮板压力调节装置
CN103135322B (zh) 滤光片切换装置和成像设备
KR20080009033A (ko) 렌즈 조립장치
JP2003221988A (ja) 電動窓カバーの制御方法及び電動窓カバー
KR101713949B1 (ko) 정밀 이송 구조의 자동 검사 소켓
KR20180072278A (ko) 멀티 태핑 장치
CN208467690U (zh) 一种多工位连续上料式轴承压装机
JP5824559B1 (ja) 自動ねじ締め装置
CN102109752B (zh) 影像感测模组的调整检测方法及装置
KR101083364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초점 조절 및 고정장치
KR100818450B1 (ko) 렌즈배럴 체결장치
KR101180345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포커스 조정 장치
KR100930638B1 (ko) 자동 스크린 날염기에 있어서의 스퀴지압 조절장치
US8222559B2 (en) Automatic soldering machine
KR20040086068A (ko) 스피드 돔 카메라 모듈
KR200316914Y1 (ko) 스피드 돔 카메라 모듈
CN207119994U (zh) 一种攻牙机滑台装置
US6154312A (en) Objective lens switching device
US20030184853A1 (en) Image-taking apparatus
CN102256733A (zh) 工具机,尤其是手持式工具机
KR100486411B1 (ko) 회로기판 검사장비용 불량부품 마킹장치
US8242393B2 (en) Pressure switch incorporated to electronic module of several equipment
CN219036101U (zh) 工业相机镜头连接装置
KR102003782B1 (ko) 펄스 모터의 탈조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