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27Y1 -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27Y1
KR200427827Y1 KR2020060019461U KR20060019461U KR200427827Y1 KR 200427827 Y1 KR200427827 Y1 KR 200427827Y1 KR 2020060019461 U KR2020060019461 U KR 2020060019461U KR 20060019461 U KR20060019461 U KR 20060019461U KR 200427827 Y1 KR200427827 Y1 KR 200427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locking
piec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훈
Original Assignee
노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훈 filed Critical 노상훈
Priority to KR2020060019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출입문 내측 벽면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복수개 형성된 벽판과;
상기 벽판의 일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내림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내림발판의 하측으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작동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제1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편과 대응되도록 제2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의 하부로 절곡되어, 끝단이 바닥접지굴절장치로 형성된 제2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2작동부에 형성된 제1걸림편 사이에 내입되는 스프링과;
일측 끝단은 바닥접지부로서 상기 제2작동부에 형성된 바닥접지굴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패킹이 구비된 접지부를 제공함으로써,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출입문을 고정할 수 있다.
출입문, 고정장치

Description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entrance door using elasticit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에 따른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판 12 : 체결공
20 : 하우징 22 : 중공부
24 : 격벽 30 : 제1작동부
32 : 내림발판 34 : 제1걸림돌기
36 : 제2걸림돌기 38 : 가이드 홈
40 : 제2작동부 42 : 제1걸림편
44 : 제2걸림편 46 : 바닥접지굴절장치
50 : 스프링 60 : 접지부
62 : 패킹 70 : 완충부재
본 고안은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고정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에 의한 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작동시킬 때, 자세가 좋지 않다거나 또는 좁은틈 사이로 지지대를 발등을 걸어서 들어올리기가 쉽지않으며 구두나 신발 등의 물건이 손상되는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된 장치를 갖는 출입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아파트 또는 사무실의 출입문은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를 통해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거나 또는 그 도어를 장시간 개방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목재 또는 신문으로 임시적으로 만든 고정수단을 도어의 하부와 바닥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임시적이고 그 사용이 불편하며, 또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도어가 불시에 폐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입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명 "노루발"이라 칭하는 도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도어 고정장치는, 도어(D)의 하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편(100)과, 연결편(200)에 의해 장착편(100)에 회동 가능하게 강제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300)를 구비한다. 물론, 지지대(300)에는 사용자가 발로 그 지지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발판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300)의 단부에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스토퍼(4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D)를 개방상태로 고정 및 유지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D)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손으로 지지대(30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스토퍼(400)가 바닥에 접하도록 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지지대(30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스토퍼(400)를 바닥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도어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손으로 지지대(30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지지대(300)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어가 자유롭게 되어 이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고정장치는 다소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고정장치를 해제시켜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비위생적이고 또한 상처를 입을 수 있으며, 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좁은틈 사이로 지지대를 발등으로 걸어서 들어올리기가 쉽지않고, 이 때문에 신발이 손상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이나 발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 고정장치의 장기간 또는 빈번한 사용시 장착편과 지지대간의 접촉이 이완되거나 또는 연결핀의 고정력이 이완되는 경우 지지대가 헐거워져 임의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도어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장기간 개방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려 하는 경우에도 어린이 또는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 고정장치가 임의로 해제되어 도어가 임의로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장치를 해제시켜 출입문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고정장치를 만지지 않더라도, 출입문 내측 벽면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로 삽입되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작동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이 바닥접지굴절장치로 형성된 제2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입되는 스프링과, 일측 끝단은 바닥접지부로서 상기 제2작동부에 형성된 바닥접지굴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패킹이 구비된 접지부를 가지는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작동하지 않고 발로 손쉽게 출입문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작동부와 마주하는 접지부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출입문 내측 벽면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복수개 형성된 벽판과;
상기 벽판의 일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내림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하측으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작동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제1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편과 대응되도록 제2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의 하부로 절곡되어, 끝단이 바닥접지굴절장치로 형성된 제2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2작동부에 형성된 제1걸림편 사이에 내입되는 스프링과;
일측 끝단은 상기 제2작동부에 형성된 바닥접지굴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패킹이 구비된 접지부;
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작동부와 마주하는 곳에 완충부재가 삽입된 접지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출입문의 벽면에 부착가능하도록 체결공(12)이 형성된 벽판(10)과, 상기 벽판(10)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중공부(22)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하며 걸림돌기(34,3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작동부(30)와, 상기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스프링(50)과, 상기 제1작동부(30)와 상기 스프링(50)의 하면에 위치하며 걸림편(42,44)이 형성된 제2작동부(40) 및 상기 제2작동부(40)의 일측으로 체결된 접지부(6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입문 내측 벽면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체결공(12)이 복수개 형성된 벽판(10)과;
상기 벽판(10)의 일측으로 중공부(22)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격벽(24)이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상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내림발판(32)이 형성되고, 상기 내림발판(32)의 하측으로 제1걸림돌기(34)와 제2걸림돌기(36)가 형성된 제1작동부(30)와;
상기 하우징(20) 하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제1걸림편(42)이 형성되 고, 상기 제1걸림편(42)과 대응되도록 제2걸림편(44)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44)의 하부로 절곡되어, 끝단이 바닥접지굴절장치(46)로 형성된 제2작동부(40)와;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격벽(24)과 상기 제2작동부(40)에 형성된 제1걸림편(42) 사이에 내입되는 스프링(50)과;
일측 끝단은 상기 제2작동부(40)에 형성된 바닥접지굴절장치(46)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패킹(62)이 구비된 접지부(6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출입문을 개방상태로 고정 및 유지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입문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작동부(30)의 내림발판(32)을 하방으로 누르면 스프링(50)과 제2작동부(40)가 하방으로 밀려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작동부(40)와 결합된 접지부(6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지면과 접촉을 하여 출입문이 고정된다.
이때 제2작동부(40)와 접지부(60) 간에 바닥접지굴절장치(46)가 있어 접지부 (60)가 지면과의 접촉이 최대가 되도록하여 출입문이 고정되도록 한다.
반대로 출입문을 폐쇄하고자 할 때, 발끝으로 제2걸림돌기(36)를 가볍게 누르면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50)에 의해 제2작동부(40)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고 접촉된 제1작동부(30) 또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제2작동부(40)와 연결된 접지부(60)가 지면에서 이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제1걸림돌기(34)와 제2걸림돌기(36)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38)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부(3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34) 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출입문 고정장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문의 벽면에 부착가능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벽판과, 상기 벽판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작동부와 상기 스프링의 하면에 위치하며 걸림편이 형성된 제2작동부 및 상기 제2작동부의 일측으로 체결된 접지부로 이루어진 출입문 고정장치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치거나 신발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탄성체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바닥접지굴절장치(46)가 있어 바닥접지부의 접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출입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내측 벽면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체결공(12)이 복수개 형성된 벽판(10)과;
    상기 벽판(10)의 일측으로 중공부(22)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격벽(24)이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상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내림발판(32)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32)의 하측으로 제1걸림돌기(34)와 제2걸림돌기(36)가 형성된 제1작동부(30)와;
    상기 하우징(20) 하부로 삽입되며, 상면 끝단에는 제1걸림편(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편(42)과 대응되도록 제2걸림편(44)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44)의 하부로 절곡되어, 끝단이 바닥접지굴절장치(46)가 형성된 제2작동부(40)와;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격벽(24)과 상기 제2작동부(40)에 형성된 제1걸림편(42) 사이에 내입되는 스프링(50)과;
    일측 끝단은 상기 제2작동부(40)에 형성된 바닥접지굴절장치(46)에 연결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패킹(62)이 구비된 접지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제1걸림돌기(34)와 제2걸림돌기(36)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3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34)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40)와 마주하는 접지부(60) 간에 바닥접지굴절장치(46)가 있어 접지부(60)가 지면과의 접지력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고정장치.
KR2020060019461U 2006-07-19 2006-07-19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KR200427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61U KR200427827Y1 (ko) 2006-07-19 2006-07-19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61U KR200427827Y1 (ko) 2006-07-19 2006-07-19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27Y1 true KR200427827Y1 (ko) 2006-09-29

Family

ID=4177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461U KR200427827Y1 (ko) 2006-07-19 2006-07-19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93B1 (ko) 2008-05-07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도어 스토퍼
WO2009113837A1 (ko) * 2008-03-14 2009-09-17 Lee Chan Bong 여닫이문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3837A1 (ko) * 2008-03-14 2009-09-17 Lee Chan Bong 여닫이문 고정장치
KR101005693B1 (ko) 2008-03-14 2011-01-05 이찬봉 여닫이문 고정장치
KR100864293B1 (ko) 2008-05-07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200427827Y1 (ko)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KR10101928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10100781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200421876Y1 (ko) 원터치로 고정과 풀림이 가능한 도어 스토퍼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KR20200002569U (ko) 자동복귀도어스토퍼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CN214659455U (zh) 脚开门装置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20060094507A (ko) 답식 도어스토퍼
KR200390828Y1 (ko) 도어용 스토퍼
KR200325008Y1 (ko) 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GB2187789A (en) Fastening devices
KR200415911Y1 (ko)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200213386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KR200293478Y1 (ko) 현관문 고정장치
KR100810525B1 (ko) 도어 고정장치
KR101183470B1 (ko) 복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스토퍼
KR200424754Y1 (ko) 자석을 이용한 출입문 닫힘 방지다리
KR20210074113A (ko) 발잡이문
JP3310236B2 (ja) ドアストッパ装置
KR200294622Y1 (ko) 도어 고정장치
JP3106781U (ja) 引出しロックパーツ及び引出しロックパーツを備えた引出し付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