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78Y1 - 현관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78Y1
KR200293478Y1 KR2020020023323U KR20020023323U KR200293478Y1 KR 200293478 Y1 KR200293478 Y1 KR 200293478Y1 KR 2020020023323 U KR2020020023323 U KR 2020020023323U KR 20020023323 U KR20020023323 U KR 20020023323U KR 200293478 Y1 KR200293478 Y1 KR 200293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fixing
fixing device
fixe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훈
Original Assignee
노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훈 filed Critical 노상훈
Priority to KR2020020023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78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문이나 각종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유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고정장치를 쉽게 내리고 들어올릴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개량된 현관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관문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며, 일측으로 단턱(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돌기(14) 및 상기 돌기(14)와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편(16)과, 상기 회동편(16)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으로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으로 미끄럼 방지고무(24)가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어느 지점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돌기(14)에 다른 끝단이 고정된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다 개량된 현관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관문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a front door}
본 고안은 현관문이나 각종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유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고정장치를 쉽게 내리고 들어올릴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현관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현관문이나 기타 사무실에 사용되는 철제문 등에는 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10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10)에 말굽형 몸체(120)가 힌지(140) 고정되어 있으며, 이 몸체(120)의 단부에는 미끄럼 방지고무(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장치는 상기 말굽형 몸체(120)를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아래방향으로 내리면 미끄럼 방지고무(130)가 바닥면에 닫게 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고무(130)가 바닥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문(100)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문(100)을 닫을 때에는 말굽형 몸체(120)를 위로 들어올려서 상기 힌지(140)로부터 회동시키면 상기 미끄럼 방지고무(130)가 바닥면에서 이탈되어 문(100)을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관문 고정장치는 문(100)을 개방한 후 말굽형 몸체(120)를 아래로 내려 고정시켰다가 다시문(100)을 닫으려면 고정시켰던 몸체(120)를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위로 들어올려 주어야 하는데, 이때 몸체(120)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문(100)과 몸체(120)의 좁은 틈 사이로 사용자 발의 앞부분을 밀어 넣은 후 발등을 이용하여 몸체(120)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몸체(120)를 들어올리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손으로 몸체(120)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으며, 상술한 구두의 등 부분으로 몸체를 들어올림으로써, 구두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관문과 고정장치의 좁은 틈 사이에 발을 집어넣어 몸체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쉽게 현관문을 고정시켜주는 현관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구두의 발등으로 말굽형 몸체를 들어올리지 않아 구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관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현관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2 : 단턱
14 : 돌기 16 : 회동편
20 : 몸체 22 : 걸림부재
24 : 미끄럼방지고무 3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현관문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며, 일측으로 단턱(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어느일측에 형성된 돌기(14) 및 상기 돌기(14)와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편(16)과, 상기 회동편(16)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으로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으로 미끄럼 방지고무(24)가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어느 지점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돌기(14)에 다른 끝단이 고정된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상단부에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0)에 상기 걸림부재(22)와 대응되는 곳에 단턱(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사각면체의 문(100)과, 상기 문(100)의 현관문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며, 일측으로 단턱(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배면 일측으로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으로 미끄럼 방지고무(24)가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와 상기 고정판(10)에 연결된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고정장치를 나타낸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관문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돌기(14) 및 상기 돌기(14)와 이격되어 형성된회동편(16)과, 상기 회동편(16)에 고정되어 회동되며, 회동편(16)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으로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으로 미끄럼 방지고무(24)가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어느 지점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돌기(14)에 다른 끝단이 고정된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현관문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을 작동되는 상태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현관 안쪽에서 문을 밀거나 혹은 현관 바깥쪽에서 문을 잡아당긴다. 이때, 개방된 문을 사용자가 발 및 손을 사용하여 문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장치를 작동시켜 고정시킨다.(작동되는 상태는 도 5를 참조한다.) 이때, 고정판과 몸체에 연결되어 고정된 스프링이 인장되고, 몸체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 및 단턱을 형성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다) 이때,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고무부재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술한 내용으로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밀면, 상기 인장된 스프링이 수축되어 고정판에 형성된 단턱에서 걸림부재가 해제되며, 몸체가 회동된다. 이때, 상기 고무부재가 바닥면에서 이탈되어 문을 닫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체를 들어올리는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몸체와 문 사이의 좁은 틈에 사용자가 발을 밀어 넣어 발등으로 몸체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몸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몸체를 들어올리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몸체를 들어올리므로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구두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현관문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며, 일측으로 단턱(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14); 및
    상기 돌기(14)와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편(16)과;
    상기 회동편(16)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면 일측으로 걸림부재(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으로 미끄럼 방지고무(24)가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어느 지점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돌기(14)에 다른 끝단이 고정된 스프링(3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장치
KR2020020023323U 2002-08-05 2002-08-05 현관문 고정장치 KR200293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23U KR200293478Y1 (ko) 2002-08-05 2002-08-05 현관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23U KR200293478Y1 (ko) 2002-08-05 2002-08-05 현관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78Y1 true KR200293478Y1 (ko) 2002-10-30

Family

ID=7312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23U KR200293478Y1 (ko) 2002-08-05 2002-08-05 현관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6B1 (ko) 2006-09-15 2007-08-10 한재호 출입문 고정구
KR100797017B1 (ko) 2006-07-26 2008-01-22 송재해 도어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17B1 (ko) 2006-07-26 2008-01-22 송재해 도어 스토퍼
KR100748616B1 (ko) 2006-09-15 2007-08-10 한재호 출입문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0213A (en) Window lock
US20050225100A1 (en) Rocking doorstop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US4142752A (en) Burglar entry stop device
KR200293478Y1 (ko) 현관문 고정장치
KR200406433Y1 (ko) 도어버팀장치
CN214659455U (zh) 脚开门装置
US20080127457A1 (en) Doorstop
JP2006097248A5 (ko)
KR100987120B1 (ko) 스토퍼가 내장되는 도어
KR200174784Y1 (ko) 냉장고문의 오픈용 발판
KR102184570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200427827Y1 (ko)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KR200229068Y1 (ko) 도어 스톱퍼
KR200248415Y1 (ko) 문 고정장치
KR200319052Y1 (ko) 도어 오픈 고정용 스토핑 장치
KR200284052Y1 (ko) 현관문 고정장치
KR200400581Y1 (ko) 도어 스톱퍼
KR20050040457A (ko)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101029832B1 (ko) 자동복귀가 가능한 출입문 닫힘 방지장치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JP4834644B2 (ja) ドア錠及び該ドア錠を使用したドア
KR20040085624A (ko) 도어 오픈 고정용 스토핑 장치
KR200336470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200327764Y1 (ko) 현관 출입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