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15Y1 - 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15Y1
KR200248415Y1 KR2020010016960U KR20010016960U KR200248415Y1 KR 200248415 Y1 KR200248415 Y1 KR 200248415Y1 KR 2020010016960 U KR2020010016960 U KR 2020010016960U KR 20010016960 U KR20010016960 U KR 20010016960U KR 200248415 Y1 KR200248415 Y1 KR 200248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rseshoe body
footrest
door
horse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중
Original Assignee
김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중 filed Critical 김한중
Priority to KR202001001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15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문이나 각종의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와, 상기 말굽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을 누르면(밀면) 말굽몸체가 쉽게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기구적 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말굽몸체와 문 사이의 좁은 틈에 사용자가 발을 밀어넣어 말굽몸체를 발등으로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켰고, 아울러 구두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들어올리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DOOR}
본 고안은 현관문이나 각종의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쉽게 들어올릴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현관문이나 기타 사무실에 사용되는 철제문 등에는 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장치(일명 「말굽장치」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문(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1)에 말굽몸체(12)가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이 몸체(12)의 단부에는 미끄럼 방지고무(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장치는 상기 말굽몸체(12)를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아래방향으로 내리고 미끄럼 방지고무(13)가 바닥면에 닫게 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고무(13)가 바닥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문(10)을 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문(10)을 닫을 때에는 말굽몸체(12)를 위방향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힌지(14)로부터 회동시키면 상기 미끄럼 방지고무(13)가 바닥면에서 해제되어 문(10)을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관문 고정장치는 현관문(10)을 연 후 말굽몸체(12)를 내려 정지시켰다가 다시 문(10)을 닫으려면 고정시켰던 말굽몸체(12)를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위방향으로 들어올려주어야 하는데, 이때 말굽몸체(12)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문(10)과 말굽몸체(12)의 좁은 틈 사이로 사용자 발의 앞부분을 밀어넣은 후 발등을 이용하여 말굽몸체(12)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말굽몸체(12)를 들어올리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손으로 말굽몸체(12)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구두의 등부분으로 말굽을 들어올림으로서 구두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문과 말굽몸체의 좁은 틈 사이에 발을 집어넣어 말굽몸체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쉽게 문을 닫을 수 있게 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두의 등으로 말굽을 들어올리지 않아 구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문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와, 상기 말굽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판에 하단이 힌지고정되어 회동가능하고 상단에는 상기 발판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와, 상기 발판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말굽몸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대에 고정된 연결바의 일단은 발판지지대의 힌지와 소정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말굽몸체에 고정된 연결바의 타단은 말굽몸체의 힌지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말굽몸체가 힌지고정된 축에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이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이 구동기어의 축에 상기 발판이 고정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판스프링의 양단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말굽몸체의 힌지고정된 상단에는 발판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말굽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판스프링을 밀어주기 위한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말굽몸체가 힌지고정된 축에 종동캠이 설치되고, 이 종동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캠이 설치되고, 이 구동캠의 축에 발판이 고정되는 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문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측단면도,
(b)는 정면도,
(c)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측단면도,
(b)는 정면도,
(c)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측단면도,
(b)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측단면도,
(b)는 정면도,
(c)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판 21 : 결합판
22 : 말굽몸체 22a : 힌지
23 : 발판 24 : 발판지지대
24a : 힌지 25 : 연결바
30 : 고정판 31 : 결합판
32 : 말굽몸체 32a : 축
33 : 발판 34 : 종동기어
35 : 구동기어 35a : 축
40 : 고정판 40a : 홀
41 : 결합판 42 : 말굽몸체
42a : 모서리부 43 : 발판
44 : 판스프링 50 : 고정판
51 : 결합판 52 : 말굽몸체
52a : 축 53 : 발판
54 : 종동캠 55 : 구동캠
55a : 축
이하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문 고정장치는 문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20)과, 이 고정판(2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판(21)과, 이 결합판(21)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22)와, 이 말굽몸체(22)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2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21)은 고정판(2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2개의 결합판(21)이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2개의 결합판(21) 사이에 상기 말굽몸체(22)가 힌지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판(21)에는 하단이 힌지고정되어 회동가능하고 상단에는 상기 발판(23)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지지대(24)는 소정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판지지대(24)의 힌지(24a)와 말굽몸체(22)의 힌지(22a)는 일치하지 않으며 각각이 회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당한 간격을 두고 상기 결합판(21)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발판지지대(24)의 힌지(24a)가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된다.
상기 발판지지대(24)와 상기 말굽몸체(22)는 연결바(2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25)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의 형상이며, 그 일단이 상기 발판지지대(2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말굽몸체(2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바(25)의 상기 발판지지대(24)에 고정된 일단은 발판지지대(24)의 힌지(24a)와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즉, 발판지지대(24)의 힌지(24a)는 발판지지대(24)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결바(25)의 일단은 상기 힌지(24a)와 어느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발판지지대(24)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25)의 타단은 말굽몸체(22)의 힌지(22a)와 근접하게 고정된다.
즉, 도2의 (a)에서 부호 'A'는 발판지지대(24)에서의 힌지(24a)와 연결바(25)의 고정된 위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B'는 말굽몸체(22)에서의 힌지(22a)와 연결바(25)의 고정된 위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A'를 'B'보다 훨씬 길게 구성하는 것이다.
보다 적절하게는 'A'와 'B'의 비율이 5:1 혹은 6:1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들(22a)(24a) 간의 간격과 말굽몸체(22) 및 발판지지대(24)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상기 연결바(25)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23)을 사용자가 발로 밀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조금만 회동시켜도 상기 연결바(25)가 말굽몸체(22)의 하단부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므로 발판지지대(24)와 말굽몸체(22)가 연결된 상태에서 말굽몸체(22)의 회동량이 많아지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발판지지대(24)의 회동각도가 30~45°인 경우 말굽몸체(22)의 회동각도는 대략 180°정도가 되어 상기 발판(23)을 조금만 밀어주어도 쉽게 말굽몸체(22)를 위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첨부한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문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30)과, 이 고정판(3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판(31)과, 이 결합판(31)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32)와, 이 말굽몸체(32)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3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은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결합판(31)은 고정판(3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2개의 결합판(31)이 구비되며, 이 2개의 결합판(31) 사이에 상기 말굽몸체(32)가 힌지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말굽몸체(32)가 힌지고정된 축(32a)에는 종동기어(34)가 고정되며, 이 종동기어(3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35)가 축(35a)에 의해 결합판(31)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34)와 구동기어(35)의 기어비로 인해 구동기어(35)가 조금만 회동하여도 종동기어(34)는 큰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5)가 고정되는 축(35a)에는 상기 발판(33)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35)의 축(35a)에 발판(33)을 고정시킬 때 축(35a)의 양측으로 2개의 발판(33)을 고정시키며, 축(35a)의 일측에 한 개의 발판을 고정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33)을 밀어 축(35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구동기어(3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구동기어(35)와 맞물린 종동기어(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말굽몸체(32)를 들어올리는 것이다.
이때, 구동기어(35)와 종동기어(34)의 이빨수의 차이로 인해 발판(33)을 조금만 눌러주어도 말굽몸체(32)가 많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첨부한 도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문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40)과, 이 고정판(4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판(41)과, 이 결합판(41)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42)와, 이 말굽몸체(42)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43)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0)에는 홀(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40a)에는 판스프링(44)이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43)은 말굽몸체(42)의 힌지고정된 상단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고, 이 발판(43)의 고정된 위치의 내측으로 상기 말굽몸체(42)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판스프링(44)을 밀어주기 위한 모서리부(4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판(43)을 화살표방향으로 밀면 이 발판(43)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말굽몸체(42)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문을 고정하고 있던 상태에서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말굽몸체(42)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모서리부(42a)가 상기 판스프링(44)에 닿은 후 판스프링(44)을 밀어주게 되어 판스프링(44)이 도면에서와 같이 탄지력을 받게 되고, 이 판스프링(44)의 탄지력에 의해 말굽몸체(42)가 고정되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문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50)과, 이 고정판(5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판(51)과, 이 결합판(51)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52)와, 이 말굽몸체(52)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5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51)은 고정판(5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2개의 결합판(51)이 구비되어 이 2개의 결합판(51) 사이에 상기 말굽몸체(52)가 힌지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말굽몸체(52)가 힌지고정된 축(52a)에는 종동캠(54)이 고정되며, 이 종동캠(54)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캠(55)이 축(55a)에 의해 결합판(5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캠(55)이 고정되는 축(55a)에는 상기 발판(53)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53)을 화살표방향으로 밀면 축(55a)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캠(5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구동캠(55)이 회동함에 따라 종동캠(5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이 종동캠(54)이 고정된 축(52a)과 상기 말굽몸체(52)를 회동시켜 결과적으로 말굽몸체(52)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구동캠(55)과 종동캠(54)의 형상에 따라 발판(53)을 미는 각도와 말굽몸체(52)가 들어올려지는 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말굽몸체를 들어올리는 발판을 구성함으로써 말굽몸체와 문 사이의 좁은 틈에 사용자가 발을 밀어넣어 발등으로 말굽몸체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말굽몸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말굽몸체를 들어올리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을 밀어(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말굽몸체를 들어올리므로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구두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문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힌지고정되어 회동하는 말굽몸체와,
    상기 말굽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에 하단이 힌지고정되어 회동가능하고 상단에는 상기 발판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와, 상기 발판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말굽몸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에 고정된 연결바의 일단은 발판지지대의 힌지와 소정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말굽몸체에 고정된 연결바의 타단은 말굽몸체의 힌지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몸체가 힌지고정된 축에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이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이 구동기어의 축에 상기 발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판스프링의 양단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말굽몸체의 힌지고정된 상단에는 발판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말굽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판스프링을 밀어주기 위한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몸체가 힌지고정된 축에 종동캠이 설치되고, 이 종동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캠이 설치되고, 이 구동캠의 축에 발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KR2020010016960U 2001-06-07 2001-06-07 문 고정장치 KR200248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60U KR200248415Y1 (ko) 2001-06-07 2001-06-07 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60U KR200248415Y1 (ko) 2001-06-07 2001-06-07 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15Y1 true KR200248415Y1 (ko) 2001-10-22

Family

ID=7310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960U KR200248415Y1 (ko) 2001-06-07 2001-06-07 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072A1 (en) * 2003-04-01 2004-10-14 Sang Choon Lee Stopping apparatus for fixing door opened
KR101952828B1 (ko) 2017-08-28 2019-02-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의 발 개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072A1 (en) * 2003-04-01 2004-10-14 Sang Choon Lee Stopping apparatus for fixing door opened
KR101952828B1 (ko) 2017-08-28 2019-02-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의 발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674B2 (en) Toilet seat saver
KR200248415Y1 (ko) 문 고정장치
KR101023954B1 (ko) 전동방식에 의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
US20060214437A1 (en) Door jamb socket plug
KR20190096250A (ko) 손끼임방지용 도어힌지장치
US10837197B2 (en) Handle for door closing
JP2005336983A (ja) 閉扉装置
KR20200001805U (ko)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가락끼임을 방지하는 기구
CN214659455U (zh) 脚开门装置
KR101107767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2249340B1 (ko) 도어 손끼임 방지장치
KR200293478Y1 (ko) 현관문 고정장치
KR20110009737U (ko) 발로 조작 가능한 도어스토퍼
JP3212274B2 (ja) ドア固定装置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102674342B1 (ko) 걸림간의 회전작동이 편리한 도어용 스토퍼
BRPI0607151A2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para cofres de telefones públicos
KR200394864Y1 (ko) 도어 스토퍼
KR102625060B1 (ko) 유니버셜 히든도어
KR100577842B1 (ko)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페달 휴지통
WO2003031754A1 (en) Handling device for revolving doors, in particular window shutters
KR20100011220A (ko) 도어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