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693B1 - 여닫이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693B1
KR101005693B1 KR1020080023634A KR20080023634A KR101005693B1 KR 101005693 B1 KR101005693 B1 KR 101005693B1 KR 1020080023634 A KR1020080023634 A KR 1020080023634A KR 20080023634 A KR20080023634 A KR 20080023634A KR 101005693 B1 KR101005693 B1 KR 10100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shoe
elastic member
legs
fix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333A (ko
Inventor
이찬봉
Original Assignee
이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봉 filed Critical 이찬봉
Priority to KR102008002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693B1/ko
Priority to PCT/KR2009/001292 priority patent/WO2009113837A1/ko
Publication of KR2009009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여닫이문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을 고정하기 위한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지않게 지탱해주는 말굽다리, 상기 말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다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말굽다리의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기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말굽다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굽다리는 상기 말굽다리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에 관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절부 아래 부분이 꺽일 수 있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여닫이문 고정장치{Door stopper}
본 발명은 여닫이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들이 쉽게 여닫이문을 열고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여닫이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도어 스토퍼(door-stopper)라고 하여 여닫이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 일시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그런데, 여닫이문을 열어서 고정 지지하기 위해 말굽다리 부분을 지면을 향해서 내리기는 용이하나, 여닫이문을 닫기 위해 말굽다리 부분을 상방으로 올리는 것이 불편하다. 통상적으로 말굽다리 부분을 발로 걷어서 올리는데, 여닫이문과 말굽다리 사이의 좁은 틈에 발을 넣어서 끌어올리거나 손으로 들어올리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으로 좋지 않을뿐더러 구두와 같은 신발류나 고정장치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말굽다리를 수직 하방으로 하강시켜 여닫이문을 고정시킨 후 고정장치에 장착된 고정 해제수단을 발 끝으로 눌러서 해제시켜 말굽다리를 수직 상방으로 다시 상승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여닫이문 고정장치가 시중에 나와 있으나, 말굽다리를 한쪽 발로 누를때 나머지 한 발로 몸을 지탱하게 되어 불편 하고, 또한 구두나 신발의 끝 부분이 손상되거나 고정장치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말굽다리의 구조를 간단히 개량하여 고정된 여닫이문을 살짝 밀기만하면 여닫이문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여닫이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을 고정하기 위한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지않게 지탱해주는 말굽다리, 상기 말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다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말굽다리의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기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말굽다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굽다리는 상기 말굽다리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에 관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절부 아래 부분이 꺽일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말굽다리는 상기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여닫이문이 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이며, 상기 관절부가 꺽이면서 상기 관절부 상측단이 상기 고정부를 밀어 상기 말굽다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말굽다리가 관통하며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할 경우 다시 상승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상기 관절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절부 상측단에 의해서 밀리는 해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말굽다리의 상기 관절부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관절부는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구를 구비한다.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락킹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2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락킹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서브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락킹부에 형성된 제2서브고정부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상기 말굽다리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탱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압축탄성체인 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탱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부의 상기 말굽다리에 상기 말굽다리가 압축될 경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 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압축탄성체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굽다리에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굽다리에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탄성체이다.
본 발명의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고정된 말굽다리를 다시 올릴 때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기만 하면 말굽다리가 스스로 올라가고 여닫이문이 저절로 닫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말굽다리와 여닫이문의 틈에 억지로 발을 밀어 넣거나 손을 이용하여 여닫이문을 닫지 않아도 되며, 문을 가볍게 밀기만 하면 말굽다리가 튀어 올라오므로, 말굽다리는 물론 여닫이문과 신발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손을 쓰지 않아 위생적이고 양손에 짐을 들고 있을 때에도 편리하게 여닫이문을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을 가볍게 밀어서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므로, 기존의 말굽다리와 같이 말굽다리를 한쪽 발로 누를때 나머지 한 발로 몸을 지탱하게 되어 불편한 점도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말굽다리가 하강하여 여닫이문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여닫이문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여닫이문을 밀었을 때의 고정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을 고정하기 위한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여닫이문(105)에 부착되는 케이스(110), 케이스(110)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여닫이문(105)이 닫히지않게 지탱해주는 말 굽다리(120), 말굽다리(120)에 연결되어, 말굽다리(120)가 하강시 다시 말굽다리(120)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130) 및 말굽다리(120)의 하강시 말굽다리(120)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여닫이문(105)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말굽다리(120)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켜 말굽다리(120)가 상승하도록 하는 고정부(140)를 구비한다.
말굽다리(120)는 말굽다리(12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에 관절부(150)를 구비하여 관절부(150) 아래 부분이 꺽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여닫이문(105)이 고정장치의 말굽다리(120)에 의해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말굽다리(120)가 케이스(110)보다 위로 많이 올라와 있는 상태이다.
말굽다리(120)의 관절부(150)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기 위해 관절부(150)는 체결홀(미도시)과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구(153)를 구비한다. 즉, 체결구(153)에 의해서 관절부(150) 하부의 말굽다리 부분은 여닫이문(105)을 미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꺽일 수 있다.
고정부(140)는 말굽다리(120)가 관통하며 말굽다리(120)가 하강할 경우 다시 상승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락킹부(141) 및 락킹부(141)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관절부(150)까지 연장형성되어 관절부(150) 상측단에 의해서 밀리는 해제부(143)를 구비한다.
말굽다리(120)는 여닫이문(105)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여닫이문(105)이 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이며, 관절부(150)가 꺽이면서 관절부(150) 상측단 이 고정부(140)를 밀어 말굽다리(12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말굽다리(120)가 하강시 말굽다리(120)를 고정시키도록 락킹부(141)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160)가 락킹부(141) 하부에 설치된다. 제2탄성부재(160)의 하부에 제2탄성부재(160)를 지지하는 지지부(165)가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탄성부재(160)가 락킹부(141) 하부에 설치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다. 제2탄성부재(16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굽다리(120)를 둘러싸는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65)도 말굽다리(120)가 관통하는 홀을 구비하여 제2탄성부재(160)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락킹부(141)는 제2탄성부재(160)에 의해서 말굽다리 위쪽으로 탄성력을 받게된다.
제2탄성부재(160)가 말굽다리(120)를 둘러싸는 형상이 아니더라도 케이스(110)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65)가 말굽다리(1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상부면과 락킹부(141) 하부 사이에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됨으로써 락킹부(141)에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0)는 체결구(153) 하부에 설치되어 말굽다리(120)에 탄성력을 주고, 제1탄성부재(130)의 하부에 제1탄성부재(130)를 지지하는 지탱부(133)가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도1에서처럼 제1탄성부재(130)는 말굽다리(120)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지탱부(133)는 제1탄성부재(130) 하부에서 말굽다리(120)가 도3에서처럼 꺽여서 움직일 경우에도 제1탄성부재(130)를 지탱해야 하므로 말굽다리(120)가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서 말굽다리(120)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바닥면에 말굽다리(120)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113)를 구비한다. 지탱부(133)의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스(110) 바닥면의 통로(113) 양측(115)이 제1탄성부재(130)를 지지함으로써 지탱부(133)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1에서처럼 여닫이문(105)이 고정되기 전에 말굽다리(120)는 케이스(110) 상부로 많이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140)의 락킹부(141)는 제2탄성부재(160)에 의해서 계속해서 위쪽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락킹부(141)가 말굽다리(120)와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게 된다. 말굽다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쪽 방향으로 뻗어있는 기둥모양일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 상부에서 "ㄱ"자 형상으로 꺽인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면, 말굽다리(120)가 기둥 모양일 때보다 사용자가 발을 덜 높이 올려도 되므로 편리할 수 있다. 이때, "ㄱ" 형상으로 꺽인 말굽다리의 상부면이 옆으로 퍼진 넓은 형상을 가지면 사용자가 발로 밟을 때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또한, "ㄱ"자 형상으로 꺽인 하단부가 한번 더 케이스(110) 방향으로 꺽이면서 "ㄷ"자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여닫이문(105)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발 등을 이용해서 말굽다리(120)의 상부를 누르면 말굽다리(12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하강하여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된다.(도 2참조) 말굽다리(120) 하단부에는 고무(125)가 장착되어 지면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킨다. 말굽다리(120)는 고정부(140)의 홀을 관통하여 아래로 하강하며 이 때 고정부(140)의 락킹부(141)는 제2탄성부재(160)에 의해서 계속해서 위쪽으로 힘을 받으며 고정부(140)의 홀과 말굽다리(120)의 마찰력에 의해서 말굽다리(120)가 고정된다.
제1탄성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상태를 유지한다.
여닫이문(105)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여닫이문(105)을 살짝 여닫이문(105)이 열리는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말굽다리(120)의 관절부(15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여닫이문(105)과 반대방향으로 꺽이게된다. 이때 말굽다리(120)는 케이스(110) 바닥의 통로(113)를 통해서 자유롭게 꺽일 수 있다.
말굽다리(120) 하부가 꺽이면서 관절부(150)의 상측단은 고정부(140)의 해제부(143)를 밀게된다. 그러면 해제부(143)가 밀리면서 해제부(143)와 일체로 형성된 락킹부(141)가 제2탄성부재(160)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락킹부(141)의 홀과 말굽다리(120) 사이에 간극이 생겨 말굽다리(120)는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1과 같이 다시 상승하게 되고 여닫이문(105)의 고정이 해제된다.
여기서, 제1탄성부재(130)나 제2탄성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말굽다리(120)를 감싸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130)는 압축스프링 이외에도 판스프링, 고리스프링, ㄱ자 스프링, 비금속 탄성체 등 같은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탄성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지부(165)와 관절부(150) 사이에 말굽다리(120)가 상승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용 탄성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65) 측면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167)는 굽혀졌던 말굽다리(120) 가 위로 다시 상승할 때, 하부 말굽다리가 상부 말굽다리와 일직선이 되지 못했을 경우 연장부(167)에 하부 말굽다리가 닿아 일직선으로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기존장치가 사용자가 한쪽 발로 말굽다리 상부를 누를때 나머지 한 발로 몸을 지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여닫이문(105)을 살짝 밀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고정장치가 해제되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고정장치에서는 제1탄성부재(130a)가 체결구 상부에 설치되어 말굽다리(120a)에 탄성력을 주며, 제1탄성부재(130a)의 하부에 제1탄성부재(130a)를 지지하는 지탱부(175)가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130a)의 상부에 말굽다리(120a)가 압축될 경우 제1탄성부재(130a)를 압축하기 위한 돌출부(121)가 의 말굽다리(120a)에 형성된다.
도 5의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제1탄성부재(130a)가 말굽다리(120a)의 상부, 즉 지탱부(175)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말굽다리(120a)가 하강할 경우 말굽다리(120a)에 탄성력을 준다. 제1탄성부재(130a)는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압축탄성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말굽다리(120a)가 압축되고, 도 7에서처럼 여닫이문(105)이 여는 방향으로 밀리면 말굽다리(120)의 관절부가 꺽여서 여닫이문(105)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말굽다리(120a)가 하강시 말굽다리(120a)를 고정시키도록 락킹부(141) 하부에서 락킹부(141)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160a)가 락킹부(141) 하부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160a)의 하부에 제2탄성부재(160a)를 지지하는 지지부(165a)가 케이스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설치된다. 도 5의 고정장치의 제1탄성부재(130a)의 위치가 도 1의 고정장치와 상이하지만 그 동작 원리는 도 1의 고정장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6,7에 도시된 고정장치는 도 1,2,3에 도시된 고정장치에 비해서 말굽다리(120a)의 관절부가 케이스(110) 하부 근처로 내려와 있다. 그러면, 케이스(110)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말굽다리(120a)가 이동하는 통로(113) 구비하지 아니하고 케이스(110) 상부에 구비된 관통 홀과 비슷한 크기의 홀 만 구비되어도 관절부 이하의 말굽다리가 꺽이는 동작이 자유로울 수 있다.
제2탄성부재(160a)도 제1탄성부재(130, 130a)처럼 락킹부(141)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말굽다리(120, 120a)가 하강시 말굽다리(120, 120a)를 고정시키도록 락킹부(141)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가 락킹부(141) 상부에 설치되며, 제2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서브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2탄성부재의 하단부는 락킹부(141)에 형성된 제2서브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된다.
제1서브고정부는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고리와 같은 장치일 수 있고, 제2서브고정부는 락킹부(141)에 형성된 고리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는 고무줄과 같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 탄성체일 수 있다. 그러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2탄성부재는 말굽 다리(120, 120a)가 하강하면 늘어나서 락킹부(141)에 위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주면서 락킹부(141)를 위쪽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그러면 락킹부(141)가 내부의 홀이 말굽다리(120, 120a)와 닿게되어 말굽다리(120, 120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제1탄성부재(805)의 연결방법 및 구조가 도 1내지 도 7의 고정장치의 제1탄성부재(130, 130a)와 상이하다. 도 8내지 도 10의 고정장치는 제1탄성부재(805)로서 인장탄성체를 사용한다. 즉, 고무밴드와 같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이용한다.
제1탄성부재(805)는 체결구(153)의 상부에 설치되어 말굽다리(820)에 탄성력을 주고,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는 제1탄성부재(805)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801)가 형성되고, 말굽다리(820)에는 제1고정부(801)보다 하부에 제1탄성부재(805)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803)가 형성된다.
제1고정부(801)는 케이스(110) 내측 벽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805)의 상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다만, 그 형상이 고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고정부(803)는 제1고정부(801)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말굽다리(820)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805)의 하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다만, 그 형상이 고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결구(153)를 돌출시켜 홈을 형성하고 체결구(153)에 제1 탄성부재(805)의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체결구(153)를 제2고정부(803)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10에는 말굽다리(820)의 뒷편에 제1고정부(801)와 제2고정부(803)가 형성되어 있어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8에서처럼 여닫이문(105)을 고정시키기 전에 말굽다리(820)는 케이스(110) 윗편으로 돌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발 등을 이용하여 말굽다리(820) 상부를 누르면 말굽다리(820)가 하강하여 락킹부(141)에 의해서 고정되고 따라서 여닫이문(105)이 고정된다. 도 8에는 락킹부(141)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160a)가 락킹부(141)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160a)가 락킹부(141)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말굽다리(820)가 하강하여 락킹부(141)에 의해서 고정되면 제1고정부(801)와 제2고정부(803) 사이의 제1탄성부재(805)는 늘어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10과 같이 여닫이문(105)을 살짝 밀면 관절부(150)가 꺽이면서 관절부(150) 상측단이 해제부(143)를 밀게되고 락킹부(141)에 의한 말굽다리(82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제1탄성부재(805)의 탄성력에 의해서 말굽다리(820)가 위쪽으로 상승한다.
말굽다리(820)의 관절부(150)가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하면 케이스(110)는 도 4의 형태가 되고, 관절부(150)가 케이스(110) 바닥면에 가까이 내려와 있는 경우(도 8 내지 도 10 참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말굽다리(820) 하부가 움직이기 위한 통로(113)가 도 4처럼 별도로 필요하지 아니하고 도 4의 케이스(110) 상부면의 관통 홀과 같은 관통 홀이 하부면에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위에서는 인장탄성체인 제1탄성부재(805)가 체결구(153)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인장탄성체인 제1탄성부재(805)가 체결구(153)의 하부에 설치되어 말굽다리(820)에 탄성력을 줄 수도 있다. 즉,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에는 제1탄성부재(805)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801)가 형성되고, 말굽다리(820)에는 제1고정부(801)보다 하부이면서 체결구(153)보다도 하부에 제1탄성부재(805)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8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부(801)와 제2고정부(803)는 앞서 설명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고정부(801)의 위치는 케이스(110) 체결구(153)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측 벽면 상의 상부와 하부 어느 곳이든 가능하나 제2고정부(803)는 말굽다리(820)의 체결구(153)보다도 하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1탄성부재(805)는 말굽다리(820)에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탄성부재(130, 130a, 805)와 제2탄성부재(160, 160a)의 위치와 구조는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의 여닫이문 고정장치는 여닫이문(105)을 살짝 밀면 말굽다리의 관절부가 여닫이문(105)이 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이면서 지면에 고정된 말굽다리가 상승하여 여닫이문(105)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말굽다리가 하강하여 여닫이문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여닫이문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여닫이문을 밀었을 때의 고정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5)

  1. 여닫이문을 고정하기 위한 여닫이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케이스 ;
    상기 케이스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지않게 지탱해주는 말굽다리 ;
    상기 말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다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 ; 및
    상기 말굽다리의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기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말굽다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말굽다리가 상승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굽다리는,
    상기 말굽다리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에 관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절부 아래 부분이 꺽일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말굽다리는,
    상기 여닫이문을 여는 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여닫이문이 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이며,
    상기 관절부가 꺽이면서 상기 관절부 상측단이 상기 고정부를 밀어 상기 말굽다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말굽다리가 관통하며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할 경우 다시 상승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락킹부 ; 및
    상기 락킹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상기 관절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절부 상측단에 의해서 밀리는 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다리의 상기 관절부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관절부는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락킹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2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다리가 하강시 상기 말굽다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락킹부에 탄성력을 주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락킹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서브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락킹부에 형성된 제2서브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상기 말굽다리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탱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압축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탱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부의 상기 말굽다리에 상기 말굽다리가 압축될 경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압축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2.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을 주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굽다리에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3.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체결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말굽다리에 탄성력 을 주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굽다리에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하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다리 상부가 상기 케이스 바깥쪽으로 "ㄱ" 자 형상으로 꺽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KR1020080023634A 2008-03-14 2008-03-14 여닫이문 고정장치 KR10100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34A KR101005693B1 (ko) 2008-03-14 2008-03-14 여닫이문 고정장치
PCT/KR2009/001292 WO2009113837A1 (ko) 2008-03-14 2009-03-16 여닫이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34A KR101005693B1 (ko) 2008-03-14 2008-03-14 여닫이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33A KR20090098333A (ko) 2009-09-17
KR101005693B1 true KR101005693B1 (ko) 2011-01-05

Family

ID=4106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634A KR101005693B1 (ko) 2008-03-14 2008-03-14 여닫이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5693B1 (ko)
WO (1) WO20091138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307B1 (ko) * 2013-08-26 2014-12-19 주식회사 종근당 도어 스토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6357U (ko) * 1978-11-20 1980-05-26
KR20030090828A (ko) * 2002-05-22 200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27827A (ko) * 2004-03-10 2004-04-01 신원규 항균, 소취 기능이 우수한 은(銀)섬유 천연 염색 면생리대.
KR200390828Y1 (ko) 2005-05-06 2005-07-27 윤문석 도어용 스토퍼
KR200427827Y1 (ko) 2006-07-19 2006-09-29 노상훈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286A (en) * 1973-10-11 1976-11-02 Dorma-Baubeschlag Gmbh & Co. Kg Device for arresting a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6357U (ko) * 1978-11-20 1980-05-26
KR20030090828A (ko) * 2002-05-22 200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27827A (ko) * 2004-03-10 2004-04-01 신원규 항균, 소취 기능이 우수한 은(銀)섬유 천연 염색 면생리대.
KR200390828Y1 (ko) 2005-05-06 2005-07-27 윤문석 도어용 스토퍼
KR200427827Y1 (ko) 2006-07-19 2006-09-29 노상훈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307B1 (ko) * 2013-08-26 2014-12-19 주식회사 종근당 도어 스토퍼
WO2015030441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종근당 도어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3837A1 (ko) 2009-09-17
KR20090098333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1005693B1 (ko) 여닫이문 고정장치
KR200406433Y1 (ko) 도어버팀장치
US7367066B1 (en) Pivotally adjustable toilet lid
KR102051260B1 (ko) 가압식 코너선반
CN107605286B (zh) 滑撑
KR101046872B1 (ko) 도어용 개방 지지장치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KR101284260B1 (ko) 오토 스토퍼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KR200454897Y1 (ko)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200427827Y1 (ko)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CN207550812U (zh) 光罩盒
KR200454463Y1 (ko) 우산
KR101029832B1 (ko) 자동복귀가 가능한 출입문 닫힘 방지장치
KR200293478Y1 (ko) 현관문 고정장치
KR20060094507A (ko) 답식 도어스토퍼
KR200403431Y1 (ko) 포스트 길이 조절 스토퍼의 잠금장치
GB2239794A (en) Umbrella closure mechanism
EP1891286A1 (en) A kit for the assembly and removal of the mobile wings of door and window frames
KR101368786B1 (ko) 문 고정 장치
KR101628031B1 (ko) 공동주택용 내부도어 열림고정장치
CN218259636U (zh) 一种包装箱便携设备的取用装置
KR200284052Y1 (ko) 현관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