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260B1 - 오토 스토퍼 - Google Patents

오토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260B1
KR101284260B1 KR1020110121488A KR20110121488A KR101284260B1 KR 101284260 B1 KR101284260 B1 KR 101284260B1 KR 1020110121488 A KR1020110121488 A KR 1020110121488A KR 20110121488 A KR20110121488 A KR 20110121488A KR 101284260 B1 KR101284260 B1 KR 10128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bar
inner cover
guide groov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850A (ko
Inventor
이찬봉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이찬봉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봉, 주식회사 나노렉스 filed Critical 이찬봉
Priority to KR102011012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2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도어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는 오토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지바를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자동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토 스토퍼{AUTO DOOR STOPPER}
본 발명은 오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되어 고정된 문을 매우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어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오토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 스토퍼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닫히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되, 주로 도어 클로우저가 장착되어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 강제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에 도어 스토퍼는 도어 상에 체결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일단이 지지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과 마찰되는 지지부재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작동 상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사용자가 발이나 손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당기면 중력에 의해 지지부재가 베이스부재 상에서 회동되어 아래로 내려와 저면이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로 정지되고, 도어를 닫을시 도어를 후방으로 살짝 밀면서 다시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들어올린 상태로 도어를 닫게 된다.
이처럼, 도어 스토퍼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시키거나 다시 닫을 경우 일일이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아래로 내리거나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따르고,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한발로 균형을 잡고 다른 한발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조작하는 동작이 사실상 어려워 주로 손을 사용함에 따라 상당히 비위생적인 실정이다.
한편, 상기 전술하는 도어 스토퍼의 조작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지지핀상에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을 개재하여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시 발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지지부재를 내리고, 도어를 닫을시 도어를 후방으로 살짝 밀어주면 지지부재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 도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닫을 수 있는 자동 도어 스토퍼(오토 스토퍼: auto stopper)가 시중에 제조/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도어 고정장치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개방방향으로 밀면 자동적으로 복귀되어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도어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한 도어 고정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장착편과 상하로 회동하는 지지대의 사이에 탄성편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편은 그 일단부가 장착편에 해제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지지대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해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다른 일예로서, 공공 주택 등의 여닫이형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방된 도어를 단순히 개방 방향으로 미는 간단한 행동만으로 용이하게 도어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복귀 도어스토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한 도어 스토퍼는 도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하로 회동하는 지지바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지지바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바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해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전술한 도어 고정장치와 도어 스토퍼는 바람 등에 의한 작은 충격에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바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문이 닫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면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때 바닥에 접촉 고정되는 논슬립부재가 마모되므로 상기 논슬립부재만으로는 도어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는 오토 스토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9320호)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오토 스토퍼는 종래의 오토 스토퍼에 비해 도어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고무줄이나 끈 등의 고정부재를 직접 설치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4622호(2002.11.1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4762호(2011.7.2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9320호(2011.05.1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별도의 조작 없이 지지바의 회동조작만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나 탄성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일부분이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도어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바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바의 회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바에 접촉되면 비틀림이 형성되고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어 지지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자동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인접한 내측커버에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2 가이드홈에 결속되고,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한 일부분이 지지바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와 함께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도어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압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굽힘 변형이 발생되는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자동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매우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오토 스토퍼가 제공된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문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있고,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에 따라 도어에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 의하여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토 스토퍼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오토 스토퍼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오토 스토퍼의 마모나 다양한 형태의 바닥면 및 높이에 대응하여 충분한 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접지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오토 스토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토퍼가 도어(D)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토 스토퍼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내측커버(20), 지지바(30), 탄성부재(40), 및 자동걸림고리(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D)를 강제로 정지시키는 오토 스토퍼에 관련되며, 이때 오토 스토퍼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D)의 하부 귀퉁이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D)를 강제로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키면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해 도어가 정지되므로 사용자가 도어(D)를 정지시키거나 다시 닫을 경우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내측커버(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커버(20)는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D)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가이드홈에는 지지바(30)가 탄성에 의하여 회동하는 경우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 지지핀(32a) 등이 안착된다. 상기 제1 지지핀(32a)은 상기 내측커버(20) 또는 지지바(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과는 분리된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은 도 1과 같이 가이드바(22)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이드바(22)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커버(20)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상기 도어(D)에 고정될 수도 있고, 내측커버(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체결공(24) 등을 통하여 나사결합 등의 방식 등으로 도어(D)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바(30)가 회동하는 경로의 상기 내측커버(20)의 표면에는 제1 홀딩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홀딩부(27)는 상기 지지바(30)가 상기 도어(D) 방향(상부 방향)으로 회동할 때 지지바(30)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지지바(30)를 점진적으로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 스토퍼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도어(D)에 힘을 가하면, 오토 스토퍼와 지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마찰력이 해소되면 상기 지지바(30)는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어(D)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D)는 작은 힘에도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가 이동하는 경로인 상기 내측커버(20)의 내측에 예를 들면, 돌출된 형태의 제1 홀딩부(27)를 형성하면, 상기 지지바(30)는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상기 제1 홀딩부(27)로부터 마찰력을 제공받아 점차 속도가 감소되다가 고정된다.
따라서 오토 스토퍼가 도어(D)에 강하게 부딪혀서 소음이나 도어(D)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오토 스토퍼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탄성부재(40)가 제공하는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 도어(D)가 닫혀 있을 때에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측에 고정되지 않고 아래로 늘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돌출된 형태의 제1 홀딩부(27) 쪽에 위치시키면 도어(D) 측으로 지지바(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지지바(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0)는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32a)을 중심으로 바닥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D)에 맞닿는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바(30)가 바닥면에 맞닿아진 경우에는 지지바(30)와 도어(D)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지지바(30)가 도어(D)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바(30)가 바닥면에 맞닿으면 상기 도어(D)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도어(D)에 상기 마찰력보다 강한 힘이 작용하면, 지지바(30)는 바닥면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 경우 후술하는 탄성부재(4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도어(D) 방향(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20)의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32a)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선단부에 제1 축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30)는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에 제1 축공(32)이 형성되어 제1 지지핀(32a)이 삽입된다. 제1 지지핀(32a)은 제1 축공(32)을 통하여 지지바(30)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이 내측커버(20)의 상기 제1 가이드홈에 맞물려 결속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마찰되어 도어(D)가 닫히지 않도록 제2 지지핀(52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지지하는 접지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부재(50)는 저면에 패드(50a)가 구비되면서 지지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축공(52)상에 제2 지지핀(52a)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3축공(53)이 형성되되, 지지바(30)와 접지부재(50) 사이에 코일스프링(54)이 개재되어 접지부재(50)가 일방향으로 탄지된다. 이러한 접지부재(50)는 지지바(30)와 별도로 분할제작되면서 도 5와 같이 제2, 3축공(52)(53)과 제2 지지핀(52a)을 통하여 지지바(30)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접지부재(50)가 설치되는 지지바(30)의 끝단위치에 제2 축공(52)이 관통되고, 제2 축공(52)과 대응하는 접지부재(50)의 양단에 제3축공(53)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바(30) 상에 접지부재(50)를 조립한 상태로 제2, 3축공(52)(53)이 연통되도록 일치시키고, 제2 지지핀(52a)을 체결하여 접지부재(50)가 제2 지지핀(52a)을 축으로 지지바(30)상에서 회동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접지부재(50)는 코일스프링(54)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스프링(5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핀(52a)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지부재(50)와 지지바(30)사이에 개재되되, 제2 지지핀(52a)의 측방에 설치되어 접지부재(50)를 일방향으로 탄지시킨다. 이에 따라, 접지부재(50)의 저면이 바닥면과 평형하게 유지되지 않더라도 제2 지지핀(52a)을 축으로 회동되어 저면이 전체적으로 바닥면에 접지되는 유연성이 제공되고, 특히 도어(D)가 미끄러지려고 할 때 더 강한 접지력이 발생되어 도어(D)를 더욱 건실하게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50)는 저면에 패드(50a)가 설치되는 바, 패드(50a)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부재(50)가 바닥면에 접지 시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도어(D)가 정지된 상태로 미끄러짐에 의해 닫히는 작동불량을 미연에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지지바(30)가 상기 내측커버(20)를 중심으로 바닥면에서 상기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항시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40)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30)는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항상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지만, 지지바(30)가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지지바(30)와 바닥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찰력이 없어지면 상기 지지바(30)는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스토퍼는 자동걸림고리(1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내측커버(20)를 중심으로 도어(D)에서 지면 방향(하부 방향)으로 소정위치 이상 회동한 지지바(30)에 결합되어 지지바(30)가 탄성부재(40)에 의해 도어(D)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동걸림고리(10)는 지지바(3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40)와 그 역할이 상반되는 구성으로, 탄성부재(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자동걸림고리(10)에 제공하여 지지바(3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걸림고리(10)는 상기 내측커버(20)나 탄성부재(4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일부분이 내측커버(20)를 중심으로 도어(D)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바(30)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바(30)의 회동경로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일부분은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이거나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자동걸림고리(10)는 일부분이 지지바(30)의 회동 압력에 의해 비틀림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30)의 회동경로로부터 이탈되었다가, 지지바(30)가 분리된 직후 자체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지지바(3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밀착됨으로써 지지바(30)에 결합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원활한 비틀림 및 복원을 위해 횡탄성 계수가 약 8000㎏/㎟인 경강선, 피아노선, 또는 오일템퍼선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내측커버(2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지지바(30)의 회동경로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일단부는 상기 내측커버를 도어에 부착시키기 위해 내측커버(20)에 구비되는 나사에 연결되거나 내측커버(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고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내측커버(2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함몰고리(미도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전체적인 우수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측커버(20)로부터 시작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도어(D)의 반대방향으로 절곡이 형성된 절곡선부(11)와, 상기 절곡선부(11)로부터 연장되어 스프링 코일(12)과 상기 스프링 코일(12)로부터 지지바(30)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선부(13)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선부(13)는 비틀림 및 복원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예를 들면, '■' 형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탄성부재(40)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상기 탄성부재(40) 및 내측커버(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일부분이 지지바(30)의 회동경로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전체적으로 지지바(30)와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부재(40)로부터 시작하여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지지바(30)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바(3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도록 '??'형으로 형성된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연장부의 인접할 수 있도록 '??'형으로 형성된 제3연장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걸림고리(10)를 사용하여 내측커버(20) 또는 탄성부재(40)에 지지바(30)를 연결하면, 사람이 문을 밀어도 상기 지지바(30)가 도어(D) 쪽으로 회동하지 않고 바닥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어(D)가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 등으로 도어(D)가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자동걸림고리(10)로 상기 내측커버(20)와 지지바(30)를 연결하여 고정하면, 도어(D)가 바닥면을 지지하여 도어(D)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 및 타단부 모두가 내측커버(20)에 결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가이드홈(22a)에 인접한 내측커버(20)에 제2 가이드홈(28)이 형성되면, 상기 자동걸림고리(1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28)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 사이에 위치한 자동걸림고리(10)의 중간부는 지지바(30)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자동걸림고리(10)는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지지바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걸림고리(10)는 지지바(30)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는 "U"자형 몸통부와, 상기 "U"자형 몸통부 말단에서 상기 제2 가이드홈(28)에 결속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이란 외부로부터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에 굽힘 변형이 발생되어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의미한다. 이러한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은 또한 처음 작용한 압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면 복원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회복된다.
이때, 바람이 불거나 아이들의 장난에 의해 도어가 이동되지 않도록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은 성인이 제공할 수 있는 압력 정도에 초기 형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걸림고리(10)를 지지바(30)와 함께 내측커버(20)를 중심으로 도어(D)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자동걸림고리(10)는 회동압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굽힘 변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바(30)는 굽힘 변형이 형성된 자동걸림고리(10)에 의해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바(30)는 탄성부재에 의해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지만, 굽힘 변형된 자동걸림고리(10)에 의해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한다. 특히, 지지바가 상기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굽힘 변형된 자동걸림고리(10)가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자동걸림고리(10)로는 탄성부재(40)의 탄성력보다 더 큰 압력에 의해서 굽힘 변형의 복원이 가능한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해야 된다.
이와 같이,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자동걸림고리(1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굽힘 변형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지지바 및 자동걸림고리를 도어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압렵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굽힘 변형이 해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자동걸림고리 20: 내측커버
22 : 가이드바 30: 지지바
32 : 제1 축공 32a : 제1 지지핀
40 : 탄성부재 50: 접지부재
52 : 제2 축공 52a : 제2 지지핀
53: 제3 축공 54 : 코일스프링

Claims (4)

  1.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나 탄성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일부분이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도어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바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바의 회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바에 접촉되면 비틀림이 형성되고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어 지지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자동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걸림고리는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내측커버 및 지지바로부터 이격된 공간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상기 일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걸림고리는
    상기 일단부가 내측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일부분이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4. 제1 가이드홈을 가지고 도어에 고정되는 내측커버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제1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상기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지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인접한 내측커버에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2 가이드홈에 결속되고,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사이에 위치한 일부분이 지지바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와 함께 내측커버를 중심으로 도어에서 지면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압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굽힘 변형이 발생되는 굽힘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된 자동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토퍼.
KR1020110121488A 2011-11-21 2011-11-21 오토 스토퍼 KR10128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88A KR101284260B1 (ko) 2011-11-21 2011-11-21 오토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88A KR101284260B1 (ko) 2011-11-21 2011-11-21 오토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50A KR20130055850A (ko) 2013-05-29
KR101284260B1 true KR101284260B1 (ko) 2013-07-15

Family

ID=486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488A KR101284260B1 (ko) 2011-11-21 2011-11-21 오토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20Y1 (ko) * 2014-07-14 2014-10-14 이승무 관절 도어스토퍼
KR20180110871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나노렉스 다기능 도어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174B (zh) * 2021-12-01 2023-07-14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弹性插销式斜撑阻门器及安装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445A (ja) 2000-08-23 2002-02-28 Shinji Kishi ドアストッパー
KR100760777B1 (ko) 2006-11-27 2007-09-21 김광환 복귀장치를 구비한 도어 스톱퍼
KR20090019392A (ko) * 2007-08-21 2009-02-25 전기용 도어 스톱장치
KR20110049320A (ko) * 2009-11-05 2011-05-12 이찬봉 오토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445A (ja) 2000-08-23 2002-02-28 Shinji Kishi ドアストッパー
KR100760777B1 (ko) 2006-11-27 2007-09-21 김광환 복귀장치를 구비한 도어 스톱퍼
KR20090019392A (ko) * 2007-08-21 2009-02-25 전기용 도어 스톱장치
KR20110049320A (ko) * 2009-11-05 2011-05-12 이찬봉 오토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20Y1 (ko) * 2014-07-14 2014-10-14 이승무 관절 도어스토퍼
KR20180110871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나노렉스 다기능 도어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50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260B1 (ko) 오토 스토퍼
RU2734195C2 (ru) Дверной стопор
US8496278B2 (en) Portable devic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 door
US5060318A (en) Assembly for automatically closing a water closet cover in a controlled manner
AU2008300190A1 (en) Door safety mechanism
WO2011142578A3 (ko) 힌지장치
KR200429501Y1 (ko) 도어 스토퍼
KR102006434B1 (ko) 다기능 도어 스토퍼
JP7144372B2 (ja) ドアーストッパー
KR100916357B1 (ko) 도어 스톱장치
CN205456794U (zh) 一种防夹手开行李箱的旋转标牌机构
US1698944A (en) Doorstop
US2988392A (en) Combination door holder and stopper
KR101067600B1 (ko) 오토 스토퍼
KR20110009737U (ko) 발로 조작 가능한 도어스토퍼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100972789B1 (ko)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US20120272443A1 (en) Foot-Operated Toilet Seat Lift
KR200454897Y1 (ko)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101295636B1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0894137B1 (ko) 도어 스토핑 장치
KR200454762Y1 (ko) 자동복귀 도어스토퍼
JP4150048B2 (ja) ドアストッパ
JP5426466B2 (ja) 戸当り
KR200207162Y1 (ko) 여닫이문용 충격방지 및 개방상태 유지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