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911Y1 - 도어 열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열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911Y1
KR200415911Y1 KR2020060005360U KR20060005360U KR200415911Y1 KR 200415911 Y1 KR200415911 Y1 KR 200415911Y1 KR 2020060005360 U KR2020060005360 U KR 2020060005360U KR 20060005360 U KR20060005360 U KR 20060005360U KR 200415911 Y1 KR200415911 Y1 KR 200415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door
support
hol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우
Original Assignee
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우 filed Critical 정성우
Priority to KR2020060005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여닫이형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도어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D)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스(111)를 형성하며 케이스(111)에 삽입 고정되는 수용공간(116)을 형성시킨 몸체(114)를 구비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 상부 내주연에 하부측이 삽입 수용되는 누름구(122)를 구비하고 누름구(122)를 가압하는 발판(121)을 누름구(122) 상면에 형성한 가압부(120)와, 상기 가압부(120)의 누름구(122)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승, 하강하여 바닥면에 밀착되는 작동부(130)와, 상기 작동부(130)를 상측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람이 선 자세에서 가압부의 발판을 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동부를 바닥면에 밀착시켜 도어의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 돌기, 누름톱니, 회전톱니, 스프링

Description

도어 열림 고정장치{Holding device for door}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고정부 몸체 하부측을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가압부와 작동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고정부의 몸체와 작동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장치 110: 고정부
111: 케이스 112: 삽입공
112a: 연장공 113: 체결공
114: 몸체 115: 고정편
115a: 고정공 116: 수용공간
117: 가이드돌기 117a: 경사면
117b: 연장돌기 117c: 안착홈
118: 가이드홈 119: 지지턱
120: 가압부 121: 발판
122: 누름구 123: 승강돌기
124: 누름톱니 130: 작동부
131: 회전구 131a: 스토퍼
132: 회전톱니 132a: 걸림돌기
133: 관통공 133a: 단턱
134: 샤프트 135: 걸림턱
136: 완충 스프링 137: 지지구
138: 수용홈 138a: 안착턱
139: 미끄럼방지구 140: 지지스프링
150: 체결수단
본 고안은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여닫이형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도어의 하부측에 부착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사무실의 도어는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를 통해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거나 또는 그 도어를 장시간 열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목재 또는 신문으로 임시로 만든 고정구를 도어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임시적이고 그 사용이 불편하며, 또한 도어를 열린 상태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도어가 불시에 폐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명 "노루발"이라 칭하는 도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도어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하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편(1)과, 연결편(2)에 의해 장착편(1)에 회동 가능하게 강제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3)를 구비한다. 물론, 지지대(3)에는 사용자가 발로 그 지지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발판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3)의 끝 부분에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패킹(4)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D)를 열린 상태로 고정 및 유지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D)를 연 상태에서 손으로 지지대(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패킹(4)이 바닥에 접하도록 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지지대(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패킹(4)이 바닥에 접촉 고정함으로써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도어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지지대(3)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어가 자유롭게 되어 이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어 사람이 손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보다 발로 작동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도어를 열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지지대를 발로 내려 지면에 고정하고, 다시 발을 이용하여 고정된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들어올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도어의 하단에 도어를 대각선방향으로 지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지지수단이 길이가 짧아 발을 이용하여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지지대를 하방으로 내리고 사용한 후 다시 위로 올리려면 일정한 힘을 계속 주고 도어 고정장치를 끝까지 상단으로 접혀지도록 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어를 연 상태에서 다시 고정장치를 해제시켜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비위생적이고 또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발이 손상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그 작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어 고정장치를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 장착편과 지지대 간의 접촉이 이완되거나 또는 연결핀의 고정력이 이완되어 지지대가 임의로 하방으로 회동 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종 몸을 구부려 손으로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목적은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발로 밟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작동되게 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 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도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는 케이스를 형성하며 케이스에 삽입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킨 몸체를 구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수용공간 상부 내주연에 하부측이 삽입 수용되는 누름구를 구비하고 누름구를 가압하는 발판을 누름구 상면에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누름구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승, 하강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를 상측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고정부 몸체 하부측을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가압부와 작동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고정부의 몸체와 작동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는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111)를 형성하고 케이스(111)에 상, 하측을 관통시켜 수용공간(116)을 형성한 몸체(114)를 삽입 고정하되 수용공간(116)의 상부 내주연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117a)을 구비한 가이드돌기(117)를 복수 형성하고 각 가이드돌기(117) 사이에 가이드홈(118)이 형성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에 하부측이 수용되어 가이드홈(118)에 삽입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123)를 외주연을 따라 복수 형성하고 하부면을 따라 대략 톱니형상의 누름톱니(124)를 형성시킨 누름구(122)를 구비하고 누름구(122)를 가압하는 발판(121)을 상면에 형성한 가압부(120)와, 상기 가압부(120)의 누름구(122)에 가압 되어 수용공간(116)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구(131)를 형성하되 회전구(131)를 상, 하측을 관통시켜 관통공(133)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가압부(120)의 누름톱니(124)에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톱니(132)를 구비하며 회전구(131) 하부측으로 바닥면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구(139)를 구비한 지지구(137)를 형성하며 지지구(137)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136)을 회전구(131)와 지지구(137)를 연결하는 샤프트(134)의 외주연에 형성한 작동부(130)와,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구(131) 외주연에 회전구(131)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에 수용시켜 고정하는 몸체(114)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110)의 케이스(111)는 상, 하측으로 관통된 적정의 삽입공(112)이 형성되며 삽입공(112)의 좌, 우측으로 삽입공(112)을 연장한 연장공(112a)을 형성한다.
아울러,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케이스(111)를 도어(D)에 고정 설치하는 체결수단(150)이 삽입 관통되는 체결공(113)을 형성한다.
여기서, 케이스(111)를 체결수단(150) 이외에도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을 제안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114)는 상, 하측을 관통시켜 내주연 일측으로 지지턱(119)을 구비한 수용공간(116)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의 좌, 우측에는 케이스(111)의 연장공(112a)에 삽입되는 고정편(115)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편(115)에는 케이스(111)에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113)과 동일선상으로 고정공(115a)을 형성하여 체결공(113)으로 삽입된 체결수단(150)을 관 통시켜 고정한다.
아울러, 몸체(114)의 수용공간(116) 상부 내주연에는 내주연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킨 가이드돌기(117)를 복수로 형성하고 이때 가이드돌기(117)와 가이드돌기(117) 사이에는 가이드홈(118)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돌기(117)의 하단면에는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17a)이 형성되며 경사면(117a)을 상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돌기(117b)를 가이드홈(118)에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이때, 연장돌기(117b)의 하측에는 소정의 안착홈(117c)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120)는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 상부 내주연에 삽입 가이드 되는 누름구(122)와, 누름구(122)를 가압하는 발판(121)으로 구성한다.
상기 누름구(122)의 외주연에는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8)에 삽입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123)를 복수로 형성한다.
여기서, 누름구(122)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 대략 톱니형상의 누름톱니(124)를 형성한다.
더불어, 누름구(122)에 고정되어 누름구(122)를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비를 갖는 발판(121)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부(130)는 가압부(120)의 누름톱니(124)에 맞물려 가압 회전되는 회전구(131)와, 상기 회전구(131)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한 샤프트(134)와, 상기 샤프트(134)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하측 방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136)과, 상기 샤프트(134)의 하부측이 수용되며 완충 스프링(136)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하측 방 으로 지지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구(139)를 구비한 지지구(137)로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구(131)는 상, 하측이 관통되어 관통공(133)이 중앙에 형성되며 관통공(133)의 하측에 단턱(133a)을 형성한다.
여기서, 회전구(131)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가압부(120)의 누름톱니(124)에 맞물려 가압 되는 회전톱니(132)를 형성하며 회전톱니(132)를 형성한 상부 외주연에는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8)이 가이드 되고 경사면(117a)에 슬라이딩 되어 안착홈(117c)에 안착 되는 걸림돌기(132a)를 복수로 형성한다.
아울러, 걸림돌기(132a) 하측으로 고정부(110)의 가이드돌기(117) 하단면에밀착되는 스토퍼(131a)를 대략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130)의 샤프트(134)는 상, 하측에 대칭되게 걸림턱(135)을 형성하되 상부측 걸림턱(135)을 회전구(131)의 관통공(133)에 수용시켜 단턱(133a)에 걸려 밀착 되게 한다.
상기, 작동부(130)의 완충 스프링(136)은 샤프트(134)의 외주에 형성되어 회전구(131)의 단턱(133a)에 밀착되어 지지구(137)를 하측 방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작동부(130)의 지지구(137)는 단면의 중앙이 중공 형태로 내부에 수용홈(138)이 형성되고 수용홈(138)의 상부 내주연에는 샤프트(134)의 하부측 걸림턱(135)이 수용홈(138)에 수용되어 하부측 걸림턱(135)에 안착 지지되는 안착턱(138a)을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구(137)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구(139)를 형성한다.
아울러, 미끄럼방지구(139)를 탄성고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고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스프링(140)은 작동부(130)의 회전구(131) 외주연에 형성시키되 상부측이 스토퍼(131a)의 하측면에 밀착되고 지지스프링(140)의 하부측이 고정부(110)의 지지턱(119)에 지지 안착 되어 지지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부(130)를 상측방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는 도어(D)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도어(D)를 통해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거 또는 장시간 열린 상태로 고정하고자 할 때 닫힌 여닫이 도어(D)를 열고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발생하면 가압부(120)의 발판(121)을 발로 밟아 누름구(122)를 하측 방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가압부(120)의 누름구(122)가 하측 방으로 가압 되면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작동부(130)의 회전구(131)가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완충 스프링(136)을 가압하게 되고 완충 스프링(136)에 의해 지지구(137)가 하측 방으로 돌출되어 미끄럼방지구(139)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도어(D)의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120)를 가압하여 하측방으로 돌출되는 작동부(130)의 작동 관계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끄럼방지구(139)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면 작동부(120)의 승강돌기(123)가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8)에 삽입 가이드 되면 작동부(130)의 지지구(137)가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수용되어 있게된다.
이때,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에 의해 작동부(130)의 회전구(131)가 수용공간(116) 내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지지되며 이때 스토퍼(131a)가 경사면(117a)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을 저지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110)의 몸체(114) 상측에는 가압부(120)의 누름구(122) 상부측이 돌출되어 있어 케이스(111)와 발판(121)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120)의 누름톱니(124)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톱니(132)에 어긋나게 밀착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D)의 열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D)가 열리게 되면 도어(D)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위해 가압부(120)의 발판(121)을 밟아 하측으로 가압시킨다.
이때, 가압부(120)의 발판(121)을 밟아 가압하게 되면 누름구(122)가 가압 되고 누름톱니(124)가 회전구(131)의 회전톱니(132)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 되는 힘에 의해 가이드홈(118)에 삽입 가이드 된 가이드돌기(117)가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 되면서 회전구(131)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지지스프링(140)은 작동부(130)의 회전구(131)를 상측 방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131)가 하강하면서 걸림돌기(132a)의 상단이 가이드돌기(117)의 경사면(117a) 하측 끝단과 일치하게 될 때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에 의해 걸림돌기(132a)가 경사면(117a)을 따라 슬라이드 되고 이와 동시에 누름톱니(124)에 어긋나게 물려 있는 회전톱니(132)가 누름톱니(124)를 따라 경사면(117a)의 기울기 방향으로 톱니 한 칸 회전되어 다시 어긋나게 밀착되고 이때 걸림돌기(132a)가 슬라이드 되면서 안착홈(117c)에 안착고정되어 회전구(131)가 하측 방으로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회전구(131)가 회전되면서 하강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회전구(131)가 완충 스프링(136)을 가압하게 되고 완충 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구(137)가 하강하면서 미끄럼방지구(139)가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회전구(131)는 완충 스프링(136)의 완충력에 의해 지지구(137)를 하측으로 간접적으로 밀착 지지하게 된다.
한편, 열린 도어(D)를 닫을 때는 가압부(120)의 발판(121)를 다시 가압하면 걸림돌기(132a)가 안착홈(117c)으로 부터 가이드 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걸림돌기(132a)의 상단이 경사면(117a) 하측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에 의해 경사면(117a)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때, 누름톱니(124)에 어긋나게 물려 있는 회전톱니(132)가 누름톱니(124)을 따라 일 방향으로 톱니 한 칸 회전되어 다시 어긋나게 밀착됨과 동시에 걸림돌기(132a)는 교번적으로 형성된 연장돌기(117b)가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홈(118)에 삽입 수용되면서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에 의해 걸림돌기(132a)가 상측방으로 상승하여 회전구(131)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구(131)가 상승하게 되면 지지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구(131)가 누름구(122) 상승시키고 누름구(122)는 발판을 상승시켜 발판(121)이 케이스(111)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이때, 회전구(131)가 상승하면서 샤프트(134)를 끌어올리게 되고 샤프트(134)는 지지구(137)를 끌어올려 미끄럼방지구(139)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열린 도어가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도어가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정도로 열리게 되면 출입자가 선 자세에서 가압부의 발판을 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동부를 작동시켜 열려진 도어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 스프링에 의해 미끄럼 방지구가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불어, 작동부의 회전구와 지지구는 샤프트에 의해 분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구의 회전이 원활하며 완충 스프링을 통하여 바닥면에 지지구에 결합된 미끄럼방지구가 밀착하기 때문에 발판 가압과 동시에 미끄럼방지구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 회전구에 전달되지 않아 충격에 의해 회전구가 파손되지 않아 고장률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장치는 가압부를 한번 가압하는 동작으로 작동부의 회 전구가 회전되면서 수용공간에서 하측 방으로 돌출되고 다시 가압하게 되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편리함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111)를 형성하고 케이스(111)에 상, 하측을 관통시켜 수용공간(116)을 형성한 몸체(114)를 삽입 고정하되 수용공간(116)의 상부 내주연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117a)을 구비한 가이드돌기(117)를 복수 형성하고 각 가이드돌기(117) 사이에 가이드홈(118)이 형성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수용공간(116)에 하부측이 수용되어 가이드홈(118)에 삽입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123)를 외주연을 따라 복수로 형성하고 하부 외주연을 따라 대략 톱니형상의 누름톱니(124)를 형성시킨 누름구(122)를 구비하고 누름구(122)를 가압하는 발판(121)을 상면에 형성한 가압부(120)와,
    상기 가압부(120)의 누름구(122)에 가압 되어 수용공간(116)의 하측 방으로 하강하는 회전구(131)를 형성하되 회전구(131)를 상, 하측을 관통시켜 관통공(133)을 형성하고 상부 외주연에는 누름톱니(124)에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톱니(132)를 구비하고 회전구(131) 하부측으로 바닥면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구(139)를 구비한 지지구(137)를 형성하며 가압에 의해 지지구(137)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136)을 회전구(131)에 지지구(137)를 간접적으로 연결하고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134)의 외주연에 형성한 작동부(130)와,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구(131) 외주연에 회전구(131)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 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8)에 교번적으로 경사면(117a)을 상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돌기(117b)를 구비시켜 연장돌기(117b) 하측으로 안착홈(117c)이 형성되며 안착홈(117c)에 작동부(130)의 회전구(131) 상부 외주연을 따라 고정부(110)의 경사면(117a)에 슬라이드 되면서 안착홈(117c)에 안착 고정되어 작동부(130)를 고정하는 걸림돌기(132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구(131) 상부 외주연에 대략 띠 형상의 스토퍼(131a)를 형성하며 스토퍼(131a)를 회전구(131)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스프링(140)에 안착시키고 고정부(110)의 수용공간 하부 내주연에 지지턱(119)을 형성하여 지지스프링(140)을 안착시켜 완충력을 상측방으로 발생시켜 지지스프링(140)의 완충력에 의해 작동부(130)의 회전구(131)를 상측 방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30)의 샤프트(134)에 의해 회전구(131)와 지지구(137)를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형성하며 샤프트(134) 외주연에 형성된 완충 스프링(136)이 회전구(131)의 가압에 의해 지지구(137)를 하측방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여 지지구(137)의 하측에 형성된 미끄럼방지구(139)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열려진 도어를 지속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2020060005360U 2006-02-27 2006-02-27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200415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60U KR200415911Y1 (ko) 2006-02-27 2006-02-27 도어 열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60U KR200415911Y1 (ko) 2006-02-27 2006-02-27 도어 열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11Y1 true KR200415911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60U KR200415911Y1 (ko) 2006-02-27 2006-02-27 도어 열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25B1 (ko) 2006-08-23 2008-03-10 정성우 도어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25B1 (ko) 2006-08-23 2008-03-10 정성우 도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US6755450B1 (en) Safety door lock
US20050225100A1 (en) Rocking doorstop
US6691330B2 (en) Adjustable toilet seat handle
US9943198B2 (en) One-touch quick-release device of toilet cover
US4501444A (en) Collapsible door wedge with quick release mechanism
KR200415911Y1 (ko) 도어 열림 고정장치
US20040070217A1 (en) Door securing device
KR2009005345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JPS6058100B2 (ja) 開脚可能な脚を有する容器
KR200427827Y1 (ko) 탄성을 이용한 출입문 고정장치
KR100810525B1 (ko) 도어 고정장치
US6588027B1 (en) Toilet seat lifting mechanism
US3441272A (en) Adjustable stilts
KR200411560Y1 (ko) 문 고정구
KR20160000516U (ko)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200325008Y1 (ko) 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WO2020220241A1 (zh) 一种梯子
KR200300601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380467Y1 (ko) 신체 장애인용 가동식 손잡이 고정장치
KR200403431Y1 (ko) 포스트 길이 조절 스토퍼의 잠금장치
KR200421842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294622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100000289U (ko) 도어 열림상태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