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771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771Y1
KR200427771Y1 KR2020060018541U KR20060018541U KR200427771Y1 KR 200427771 Y1 KR200427771 Y1 KR 200427771Y1 KR 2020060018541 U KR2020060018541 U KR 2020060018541U KR 20060018541 U KR20060018541 U KR 20060018541U KR 200427771 Y1 KR200427771 Y1 KR 200427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eceiving portion
plate
hol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한성
Original Assignee
염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한성 filed Critical 염한성
Priority to KR2020060018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771Y1/ko
Priority to PCT/KR2007/001361 priority patent/WO20071086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2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made of one pie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기존의 두개의 독립적인 물체를 연결 고정시에는 연결부재의 2개의 결합체에는 탄성적인 성질을 이용하거나 스프링등의 제3의 부품을 사용하여야만 했으며,
경첩같은 경우에는 연결부재인 경첩외에도 나사나 못이 있어야 했으며, 그에 따라 연장으로 도라이버나 망치 등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했다.
이에 본 고안은 결합체의 구조를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1
형태와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2
형태로 변형하여 억지끼움식이 아닌 자연스러운 결합식으로 한 것으로, 경첩의 경우에는 물체자체에 경첩을 수용할수 있는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3
형태의 홈을 형성시키거나,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4
형태의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물체에 먼저 부착 한 후, 기타의 도구나 연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첩 자체만으로 두개의 물체를 연결.고정 시켜주는 조립식경첩의 경첩브라켓과 경첩의 일부인 경첩판에 관한 고안이다.
경첩, 힌지, 연결장치, 결합장치

Description

경첩{Connection Device}
도 1은 직육면체 결합체의 기본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조립경첩의 사시도
도 3은 연결부가 경첩판과 일체로된 조립경첩의 사시도
도 4는 경첩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경첩브라켓과 조립경첩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물체 A, B에 수용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물체 A, B의 수용부에 조립경첩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물체 A, B에 경첩브라켓과 조립경첩이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9, 10는 경첩판의 다른 실시예
도 11은 경첩판이 마름모꼴로된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경첩
2, 2' : 경첩판
3 : 걸림부
4 : 구멍 또는 돌출부
5 : 핀
6 : 좌측경첩판(2)의 회동구
7 : 우측경첩판(2')의 회동구
8, 9 : 회동부
10 : 경첩브라켓
11 : 수용부
12 : 연결부
13 : 안내홈
14 : 안내경사부
15 : 고정구멍
16 : 보조구멍
기존에는 어떠한 두개의 물체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데는 연결에 필요한 경첩외에 못이나 나사, 그리고 연장으로는 망치나 도라이바등을 사용하여야 했다.
이에 그중 필요한 하나가 없는 경우에는 무척이나 난감한 상황을 맞이 해야했다.
또한 통상의 경첩은 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서는 나사나 못을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물체가 어느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져야만이 경첩을 사용할 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불편성을 없애고자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경첩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경첩판이 결합될수 있도록 물체자체에 수용부를 두거나 따로 수용부가 만들어져 있는 브라켓에 단순히 변경된 구조의 경첩(조립식경첩)을 끼워넣는것 만으로 못이나 나사 그리고 기타의 연장없이 두개의 독립적인 물체를 연결 고정 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조립식경첩은 구조적으로 감삽식이므로 연결하려는 물체의 두께가 통상의 경첩으로는 연결고정이 힘든 얇은 두께의 물체에도 경첩브라켓만 부착이 된상태이거나 물체자체에 경첩수용부만 형성시킬수 있다면 사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본 고안의 사용재료는 통상의 경첩 재질 또는 결합체의 제질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그 기본 구성구조는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천공된 경첩판(2)(2')과 좌측 경첩판(2)에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말려진 회동구(6), 우측 경첩판(2')에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말려진 회동구(7), 원통형의 회동구(6)(7) 내측에 끼워넣어져 회동의 중심이 되는 핀(5)으로 구성된 회동부(8)로 구성 되어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경첩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물체에 직접 고정되는 경첩판(2)(2')의 좌우측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만들어 걸림부(3)를 형성하고 걸림부의 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구멍(4) 또는 돌출부(4)를 형성한 것을 특 징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첩판(2)(2')으로 구성된 조립식경첩(1)으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물체 A, B자체에 연결부(12), 안내경사부(14), 안내홈(13)가 구비된 수용부(11)를 형성시키거나, 상기와 같은 수용부가 갖추어진 경첩브라켓(10)의 수용부(11)에 상기 조립식경첩(1)의 경첩판(2)(2')을 결합시켜 사용토록 한 것이다.
결합체로 사용시에는 탄성적인 성격이나 스프링등 제3의 부품의 사용없이 구조만으로 결합됨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판형의결합물체(100)와 수용부몸체(200)의 사시도이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형의물체(100) 좌우측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걸림부(101)를 형성시키고, 수용부몸체(200)는 일측에 개구된 연결부(202)가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연결부(202)가 상부에도 연속되어 후방의 개방부까지 일체로 연장 개구된 육면체상의 하우징의 구조이다.
이같은 구조의 판형의물체(100)와 수용부몸체(200)의 관계는 수용부몸체(200)안의 수용부(201)에 판형의물체(100)를 넣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수용부몸체(200)의 전방측 개구부인 연결부(202)와 상부의 개구부는 그 일부만 개구된 상태이므로 수용부(201)에 결합된 판형의 물체(100)는 걸림부(101)로 인해 결합 될 적에 사용된 후방의 개방부 외에는 그 어느 곳으로도 이탈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판형의물체(100) 앞부분에 다른 물체를 연결하고, 수용부몸체(200) 뒷부분에 또 다른 물체를 연결하고 서로 당기도록 하면 완벽한 결합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수잇다.(예:자동차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고리, 배낭가방의 결합고리 등등)
또는 수용부몸체(200)는 고정시킨채로 판형의물체(100) 앞부분만 연결시켜서 당기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도 그 결합성은 완벽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판형의물체(100)와 수용부몸체(200)의 기본 구조와 결합성을 이용한 것이다.
도 2는 상기에 언급한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경첩판(2)(2')의 좌우측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마치 좌우로 돌출된듯한 구조(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5
형태)로서 걸림부(3)를 형성하고 걸림부(3)의 일측에 다수개의 구멍(4) 또는 돌출부(3)를 형성한 것으로 그 위치는 경첩판(2)(2')이 수용부(11)에 결합시 수용부(11)의 보조구멍(16)과 동일한 위치로 형성된 조립식경첩(1)이며
도 4는 직육면체판형의 경첩브라켓(10)의 상부 전방에는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6
형의 감삽홈이 형성된 수용부(11)가 형성되어있고 그 수용부(11)의 바로뒤에 수용부(11)의 후방쪽 내측을 포함하고 있는 사각형의 안내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11)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외부와 통해진 개방된 연결부(12)의 개구부가 수용부(11)의 상측 개구부와 안내홈(13)의 개구부와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안내홈(13)의 크기는 수용부(11)의 바닥보다 폭과 길이가 더 큰 면적이며 그 깊이는 수용부(11)와 같고, 경첩수용부(11)와 안내홈(13)이 만나는 지점과 그 지점의 수용부(11)의 상부는 안내경사부(14)를 둔 상태다.
그리고 직육면체판형의 경첩브라켓(10)의 좌우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구멍(15)이 형성되어있으며,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7
형의 수용부(11)의 상부와 하부에도 일적선상으로 다수개의 보조구멍(16)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경첩브라켓(10)과 조립식경첩(1)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물체 A, B의 같은 위치의 모서리부분에 적당한 깊이의 홈을 판후 경첩브라켓(10)을 홈에 위치시킨후 나사나 못으로 경첩브라켓(10)의 고정구멍(15)에 박아넣어 고정시킨다(재질에 따라 그냥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A, B의 물체에 고정된 경첩브라켓(10)의 경첩수용부(11)안에 조립식경첩(1)의 경첩판(2)(2')을 각각 집어넣어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지만 그 구조상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른다.
먼저 조립식경첩(1)의 회동부(8)(9)를 중심으로 경첩판(2)과 경첩판(2')의 각도를 90도 이하로 만든후 안내홈(13)을 통하여 경첩판(2)을 안내경사부(14)를 지나 수용부(11)에 밀어넣는다.
이때 경첩판(2)의 외부구조와 수용부(11)의 내부구조는 동일한 구조와 크기이므로 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수용부(11)의 연결부(12)는 그 내측 일부만이 외부와 개방된 연결부(12)로 사용되므로 경첩판(2)의 걸림부(3)가 수용부(11)내에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는 역할을 막아주면서 반대편의 경첩판(2')과 연결된 회동부(8)(9)는 통과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같이 구조로 수용부(11)안에 감삽되어 결합된 경첩판(2)은 통로쪽인 안내 경사부(14) 또는 안내홈(13)쪽 으로만이 이탈이 가능하며 그 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절대 이탈이 불가능한 상태이기에 안내경사부(14)방향으로의 이탈만 제외하면 완벽한 결합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안내경사부(14) 방향으로 이탈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완벽한 결합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식경첩(1)의 반대편 경첩판(2')도 또 다른 수용부(11)에 감삽되어 결합시킴으로써 해결할수 잇다.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나머지 경첩판(2')도 수용부(11)에 감삽된 경첩판(2)을 결합 할 때와 똑같은 방법으로 회동부(8)(9)를 중심으로 결합된 경첩판(2)과 90도 이하의 각도가 되게 한후 또 다른 경첩브라켓(10)의 안내홈(13)을 통하여 안내경사부(14)를 지나 수용부(11)안에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첩브라켓(10)의 수용부(11)안에 결합된 조립식경첩(10)은 회동부(8)(9)를 중심으로 경첩판(2)과 경첩판(2')이 91∼80도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경첩수용부(11)에서 각 경첩판(2)(2')의 이탈은 불가능하며 경첩판(2)과 경첩판(2')의 각도가 오직 90도 이하의 각도인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앞전에 조립식경첩(1)의 한곳의 경첩판(2)만이 경첩수용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된 통로(즉 연결경사부(14)쪽 또는 안내홈(13)쪽)방향으로의 이탈가능성이 있었으나 양쪽의 경첩판(2)(2')이 모두 경첩수용부(11)안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부(8)(9)를 중심으로 경첩판(2)과 경첩판(2')의 각도가 91∼180도 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어떠한 경우에도 경첩수용부(11)안에 결합된 경첩판(2)(2')의 해체는 불가능한 상태로서 일반 경첩과 똑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같은 상태에서 해체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조립식경첩(1)을 수용부(11)에 결합하던 방식과 같이 조립식경첩(1)의 회동부(8)(9)를 중심으로 경첩판(2)과 경첩판(2')의 각도를 90도 이하로 만든후 결합시켰던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안내경사부(14)나 안내홈(13)방향으로 경첩판(2)을 밀어 주기만 하면 쉽게 해체가 가능하다.
다른 하나의 경첩판(2')의 해체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보조구멍(16)은 경첩판(2)(2')의 걸림부(3)에 구멍(4)이 형성된 경우에는 경첩수용부(11)에 경첩판(2)이 결합된 상태에서 경첩판(2)의 걸림부(3)에 구멍(4)을 형성시킨경우에는 구멍(16)(4)과 같은 크기의 나사나 자석말뚝으로 고정시켜 사용할수 있도록 한것이고,
걸림부(3)에 구멍(4)이 아니라 돌출부(4)가 형성된 경우에는 경첩브라켓(10)의 재질이 약간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등의 재질이거나 물체 A, B가 약간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자체에 형성한 수용부(11) 엮시 약간 탄성이 있기에 걸림부(3)에 약간의 돌출부(4)가 형성된 상태라도 무리없이 수용부(11)에 결합이 가능하며 일단 결합한 후에는 걸림부(3)의 돌출부(4)가 수용부(11)의 상부쪽 보조구멍(16)에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경첩(1)은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경첩판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그러므로 통상의 경첩에 사용되는 회동부(8)는 경첩의 사용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그 한가지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경첩에는 회동부(9)의 구조가 단순히 조립식경첩(1)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여 경첩판(2)(2')에 연결된 상태로서 회동부(9)는 얇게하여 유연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일반적으로 씽크대, 방문, 상자 등등에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첩의 경우에도 경첩판의 구조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바꾸면 어떤 경첩에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예로 도 9, 10, 11은 경첩판(2)(2')의 구조를 사다리꼴형, 다면체형, 마름모꼴등으로 만든 것으로 형태는 조금 바뀌었지만 좌우의 걸림부(3)는 똑같이 'ㄴ' 자형으로 절곡된다.
경첩판(2)(2')의 변형에 따라 경첩브라켓(10)의 수용부(11)도 변형되지만 경첩판(2)(2')의 외형과 동일한 구조이기에 쉽게 유추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도면은 생략한다.
결합체의 기본 구조를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8
형태와
Figure 112006505485210-utm00009
형태로 하여 억지끼움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결합식으로 함으로써 그 결합성이 기존의 것보다 견고하며, 추가적인 부품이 없으므로 파손의 위험성도 적은 구조로써,
특히 조립식경첩(1) 같은 경우에는 수용부(11)에 감삽만 시키면 되므로 작업능률에서도 월등하다.
또한 이같은 구조의 조립식경첩(1)은 기존에 연결 고정 하고자 하는 2개의 물체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네는 경첩의 사용이 힘들었으나 본 조립식경첩(1)은 수용부(11)안에 경첩판(2)(2')을 넣기만 하면 되므로 물체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물체의 앞면과 뒷면에 2개의 수용부(11)를 가진 물체인경우에는 앞과 뒤로 계속해서 물체를 연결해 나갈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판과 같은 물체 얇은 물체에 사용하면 마치 일반 책이나 앨범처럼 사용도 가능하다.

Claims (5)

  1. 판형의물체(100) 좌우측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걸림부(101)를 형성시키고, 수용부몸체(200)는 일측에 개구된 연결부(202)가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연결부(202)가 상부에도 연속되어 후방의 개방부까지 일체로 연장 개구된 육면체상의 하우징의 구조내측에 형성된 수용부(201) 결합되는 결합체.
  2.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경첩판(2)(2')의 좌우측을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마치 좌우로 돌출된듯한 구조(
    Figure 112006505485210-utm00010
    형태)로서 걸림부(3)를 형성하고 걸림부(3)의 일측에 다수개의 구멍(4) 또는 돌출부(3)를 형성한 것으로 그 위치는 경첩판(2)(2')이 수용부(11)에 결합시 수용부(11)의 보조구멍(16)과 동일한 위치로 형성시키고,
    직육면체판형의 경첩브라켓(10)의 상부 전방에는
    Figure 112006505485210-utm00011
    형의 감삽홈이 형성된 수용부(11)가 형성되어있고 그 수용부(11)의 바로뒤에 수용부(11)의 후방쪽 내측을 포함하고 있는 사각형의 안내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11)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외부와 통해진 개방된 연결부(12)의 개구부가 수용부(11)의 상측 개구부와 안내홈(13)의 개구부와 연결된 구조로서 경첩판(2)(2')이 수용부(11)에 감삽되는 구조의 조립식경첩.
  3. 1항, 2항에 있어서 수용부의 상하측에 보조구멍(16)이 천공되어 있고, 걸림부(3)의 일측에 구멍(4)이 천공된 조립식경첩.
  4. 3항에 있어서 걸림부(3)에 구멍(4)의 위치에 구멍(4)이 아니라 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조립식경첩
  5. 1항, 2항, 3항, 4항에 있어서 수용부(201)(11)와 그에 감합되는 수용부몸체(200), 경첩판(2)(2')의 형태가 직육면체형태가 아니라 마름모꼴, 사다리꼴등 다면체로 된 조립식경첩
KR2020060018541U 2006-03-20 2006-07-08 경첩 KR200427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541U KR200427771Y1 (ko) 2006-03-20 2006-07-08 경첩
PCT/KR2007/001361 WO2007108639A1 (en) 2006-03-20 2007-03-20 Hin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63 2006-03-20
KR2020060018541U KR200427771Y1 (ko) 2006-03-20 2006-07-08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771Y1 true KR200427771Y1 (ko) 2006-09-29

Family

ID=4177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541U KR200427771Y1 (ko) 2006-03-20 2006-07-08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7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69B1 (ko) * 2015-09-02 2017-02-13 김종석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KR200484592Y1 (ko) * 2017-04-27 2017-09-27 이동진 수조용 패널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69B1 (ko) * 2015-09-02 2017-02-13 김종석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KR200484592Y1 (ko) * 2017-04-27 2017-09-27 이동진 수조용 패널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383B1 (en) Hanger system
US6588971B2 (en) Fastener clip assembly and joint structure using same
CN108713104B (zh) 自加强夹
US6557956B2 (en) Cabinets with false fronts and associated false front connectors for engaging multiple sidewalls
ATE195164T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beschläge, sowie mit solchen elementen ausgerüstetes scharnier
AU2009222065B2 (en) Improved hollow wall fastener
US20090195974A1 (en) Tamper evident portable memory housing and device
JP4647381B2 (ja) バインダー及びその締結部材
KR200427771Y1 (ko) 경첩
US20100129146A1 (en) Shelf Clip
US6499198B2 (en) Retaining clip for computer expansion card
JP4875748B2 (ja) 夫々1つの連結カラーを備える2つのパイプ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スリーブ
JP4348551B2 (ja) フレーム連結具
US6628514B2 (en) Fastener for securing a data storage device to a bracket
JP3232200B2 (ja) 留付クリップおよび二つの部材の留付構造
WO2006041009A1 (ja) 扉用ラッチ
JP4690186B2 (ja) 電気機器収納箱
CN107084177B (zh) 紧固件及部件安装构造
JPWO2009084099A1 (ja) 組立式個室および接続具
CN110424652A (zh) 装配式建筑外装材料
SE526694C2 (sv) En list
JP7134363B2 (ja) サンバイザホルダ
US11686332B1 (en) Accordion clip
JP2008093291A (ja) パネルへの物品の取付構造
CN210239434U (zh) 滑轨结构及移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