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083Y1 - 건축물 내벽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벽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083Y1
KR200427083Y1 KR2020060017798U KR20060017798U KR200427083Y1 KR 200427083 Y1 KR200427083 Y1 KR 200427083Y1 KR 2020060017798 U KR2020060017798 U KR 2020060017798U KR 20060017798 U KR20060017798 U KR 20060017798U KR 200427083 Y1 KR200427083 Y1 KR 200427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ilding
support member
finishing materi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주)녹십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주)녹십자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2020060017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0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04F19/02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for outside use, e.g. imitating brick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비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를 건축물의 측벽 및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클린룸 등의 건축물 내벽 및 하부 바닥면 특히 바닥 모서리 부분에서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비선형 플레이트와 지지 부재를 직접 체결할 수 있어 마감재 시공의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는 청정을 요하는 공장, 연구소, 병원 등의 시설 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 공간, 도서관, 기타 다양한 고품격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다.
마감재, 클린룸, 비선형 플레이트, 직접 체결

Description

건축물 내벽 마감재{FINISHING MEMBER FOR INNER WALL IN BUILDING}
도 1은 건축물 내부 벽체를 보인 모식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체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비선형 플레이트 110a,110b:걸림쇠
120:돌편 130:돌출부
200:지지 부재 210a,210b:걸림턱
220a,220b:홈 240:체결부
본 고안은 건축물 내벽의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클린룸 등의 내벽 및 바닥에 적용될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새로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벽체의 단열 효과를 높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건물 벽체의 단열 시공은 벽체 안쪽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내벽 단열시공, 벽체 사이에 마감재를 매입하는 중간벽 단열 시공 및 마감재를 외벽에 시공하는 외벽 단열 시공이 있다.
내벽 또는 중간벽 단열시공법은 건물의 기둥, 창호, 슬라브, 기타 연결부분으로 발생되는 열손실과 결로 현상의 결점이 있어, 최근에는 신축 또는 보수 건물의 외벽에 직접 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 내부입주자의 불편이 없으며 실내 공간이 축소되지 않는 외벽 단열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외벽 단열 시공은 건물의 벽체 외면에 먼저 접착 모르타르를 바르고 스티로폼 등의 마감재를 벽면에 부착시킨 후, 마감재의 상부에 접착 모르타르를 바르고 충격 보강용 메쉬를 부착시킨 다음, 마감재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열을 위한 내벽 또는 외벽 마감 시공과 더불어 건축물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내벽 마감이 최근 활발하다.
예를 들어, 청정실 또는 무균실이라고도 하는 클린룸(clean room)은 반도체, LCD 제조 공장이나 바이오 연구소 등에 설치하는 먼지 없는 작업장으로서 전자, 우주 산업에 필요한 부품처럼 오염에 민감한 기재를 제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온도· 습도를 엄격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클린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머리까지 덮는 특수복을 입으며 들어갈 때는 인공 분사기류나 공기 샤워를 통과하여 먼지를 제거한다. 기계조립부품은 에어록을 통해 들어간다. 뿐만 아니라, 클린룸 내부는 이음새가 없는 플라스틱 벽과 천장으로 시공되며, 조명과 배선 등을 외부에 시공하여 청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청정 환경의 건축물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내벽의 마감에 특히 주의해야 하며, 먼지가 쌓일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벽체 모서리(X) 부분은 특히 청정 환경 조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분 영역이다. 또한, 건축물의 시공 비용 내지는 용도 변경을 위한 리모델링 비용 등을 줄이면서 건축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보다 기능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마감재가 요청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클린룸 등의 고부가가치 건축물의 내벽에 적합한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한 새로운 내벽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비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를 건축물의 측벽 및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는 평판형 상판부와 이 상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굴곡진 곡면으로 되어 있는 하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부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갈고리 형태의 걸림쇠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표면이 나사산 형태로 융기되어 있는 삽입 부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돌출부 표면에 대응하여 나사산 형태로 내면이 융기된 체결공이 있는 돌출형 체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 부재는 건축물 벽채 또는 판넬에 고정되도록 체결 부재의 삽입을 위한 홈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클린룸 등의 건축물 내벽 및 하부 바닥면 특히 바닥 모서리 부분에서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비선형 플레이트와 지지 부재를 직접 체결할 수 있어 마감재 시공의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는 청정을 요하는 공장, 연구소, 병원 등의 시설 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 공간, 도서관, 기타 다양한 고품격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비선형 플레이트(100)는 평판형의 상판부(A)와 이 상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굴곡진 곡면을 이루는 하판부(B)로 구성된다. 상판부(A) 보다 하판부(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판부(B)의 곡률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건축물의 내벽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는 알루미늄, 철, 기타 함금 재질이나 강화 플라스틱, 고분자 복합 재료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특별히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비선형 플레이트(100)의 하판부(B) 후면에는 돌출부로서 두 개의 갈고리 형태의 걸림쇠(110a, 110b)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쇠(110a, 11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비선형 플레이트가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비선형 플레이트(100)의 하판부(B) 후면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편(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돌편은 하판부(B)의 걸림쇠(110b)가 지지 부재와 안정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적절한 높이를 제공하는 한편, 하판부(B)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닿을 때 하판부 아래로 소정의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는 클린룸 등의 건축물 내벽 마감재로 사용되며 하부 표면이 굴곡진 곡면으로 처리되어 있어 먼지 등이 쌓일 가능성이 적으며, 먼지 등이 이물질이 쌓인다고 하더라도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연을 위한 시설물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방음 내지 음향 전달이 용이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도 2b에 도시한 지지 부재(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물로서 제1플레이트(C)와 제2플레이트(D)가 일단이 상호 연결된 채로 서로 수직적으로 배치되어 직각 구조를 형성한다.
지지 부재의 각 플레이트(C, D) 끝단은 안쪽으로 감아지는 형태의 걸림턱(210a, 210b)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210a, 210b)은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걸림쇠(110a, 110b)와 맞물려 비선형 플레이트가 지지 부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 부재의 각 플레이트(C, D) 내면에는 작은 홈(220a, 2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은 상기 지지 부재를 건축물의 측벽 및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의 삽입 홈으로 이용되며, 이 홈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된 부분의 지지 부재 후면(230a, 230b)은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지만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지지 부재의 길이는 비선형 플레이트 보다 크지 않으면 상관없고 비선형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와 지지 부재(200)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클린룸 등의) 건축물의 벽체(300) 모서리 즉 내부 벽면 및 하부 바닥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200)를 나사 또는 못 등의 고정 수단(250a, 250b)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를 지지 부재 쪽으로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걸림쇠(110a, 110b)와 걸림턱(210a, 210b)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비선형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는 벽체(300) 면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벽체(300) 대신 예를 들어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단열 판넬 등에도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도 4a에 도시된 비선형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하나의 돌출부(130)가 소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30)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표면은 나사산 형태로 융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지지 부재(200')는 내부 중앙에 돌출된 형태의 체결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는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의 돌출부(130) 표면에 대응하여 나사산 형태로 내면이 융기된 체결공이 있으며, 상기 돌출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0) 및 체결부(240) 표면에 융기되어 있는 나사산은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일방향으로 경사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100')와 지지 부재(200')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고정 수단(250a, 250b)으로 건축물의 벽체(300)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40) 내부 구멍에 비선형 플레이트(100')의 돌출부(130)가 삽입되어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다른 마감재는 설치 및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여 건축물의 내부 미관 내지는 기능적인 사항의 변경이 요구될 때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건축물 내벽 마감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는 평면부없이 곡면부만으로 형성된 비선형 플레이트(100a)를 포함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에 결합되어 건축물 내벽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2a, 2b, 3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형태이며, 변형된 예로서 별도의 평판형 상판을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기존의 건축물 내부 벽채와 연합하여 모서리 부분의 마감재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는 앞서 도 4a, 4b, 5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변형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제3실시예 및 앞선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는 바닥 모서리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건축물 내부 측면 모서리에 적용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본 고안은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벽 및 하부 바닥면 특히 바닥 모서리 부분에서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하여 건축물 가치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는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비선형 플레이트와 지지 부재를 직접 체결할 수 있어 마감재 시공 용이하며, 마감재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는 청정을 요하는 공장, 연구소, 병원 등의 시설 뿐만 아니라, 방음이 요구되는 예술 문화 공간, 도서관, 공간적 심미감이 요청되는 박물관, 미술관, 기타 다양한 고품격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비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를 건축물의 측벽 및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갈고리 형태의 걸림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표면이 나사산 형태로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돌출부 표면에 대응하여 나사산 형태로 내면이 융기된 체결공이 있는 돌출형 체결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건축물 벽채 또는 판넬에 고정되도록 체결 부재의 삽입을 위한 홈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플레이트는 평판형 상판부와 이 상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굴곡진 곡면으로 되어 있는 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KR2020060017798U 2006-06-30 2006-06-30 건축물 내벽 마감재 KR200427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798U KR200427083Y1 (ko) 2006-06-30 2006-06-30 건축물 내벽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798U KR200427083Y1 (ko) 2006-06-30 2006-06-30 건축물 내벽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083Y1 true KR200427083Y1 (ko) 2006-09-20

Family

ID=4177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798U KR200427083Y1 (ko) 2006-06-30 2006-06-30 건축물 내벽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867A (ko) * 2014-04-23 2015-11-03 (주)다림시스템 조립식 가상 스튜디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867A (ko) * 2014-04-23 2015-11-03 (주)다림시스템 조립식 가상 스튜디오
KR101645348B1 (ko) 2014-04-23 2016-08-05 (주)다림시스템 조립식 가상 스튜디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4695B1 (en) Suspension systems
KR200399127Y1 (ko) 건축용 벽체의 고정부재
KR200427083Y1 (ko) 건축물 내벽 마감재
RU54056U1 (ru) Навесной вентилируемый фасад здания
KR20090067930A (ko)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KR100878145B1 (ko) 패널용 천장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패널 조립시스템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JP6530168B2 (ja) 壁や間仕切りの出隅部の保護構造
KR200373829Y1 (ko) 비내력 건식벽체 조립세트
JP2004100446A (ja) スタッド及び壁又は天井の構造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0716114B1 (ko) 도어프레임
KR200437801Y1 (ko) 천장재용 받침틀
KR200315869Y1 (ko) 건축물 천정용 마감몰딩
KR200406323Y1 (ko) 도어프레임
JP3625368B2 (ja) 内装システムの隅構造
JP2006274698A (ja) 間仕切り壁構造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KR20080057961A (ko) 벽체 가구 시스템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CN108951968B (zh) 一种装配式墙体的顶部固定结构及安装方法
KR102123691B1 (ko) 보조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브라켓
JPH11182078A (ja) 就寝用カプセ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